"지자총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건정보
+
{{물품정보
|사진=
+
|사진=chongtong.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신유사옥
+
|대표명칭=지자총통
|한자표기=辛酉邪獄
+
|한자표기=地字銃筒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신유박해(辛酉迫害)
+
|이칭=
|유형=사건
+
|유형=물품
|시대=조선
+
|시대=조선시대
|날짜=1801년
+
|용도=무기
|관련인물=[[조선 순조|순조]]
+
|관련인물=
|관련단체=벽파
+
|관련단체=
 
|관련장소=
 
|관련장소=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화포식언해]]
 
}}
 
}}
  
 
=='''정의'''==
 
=='''정의'''==
1801년(순조 1) 신유년에 일어난 천주교도 박해사건.
+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사용된 화기이다.  
 
=='''내용'''==
 
=='''내용'''==
===18세기 말 초기 [[천주교회]] 탄압에 대한 조선 정치 상황===
+
조선시대에서는 천자문 글자 순서대로 이름을 붙인 화포들이 존재하였다. 이들 앞에 붙는 한자는 대부분 크기의 차이를 판가름 하는 데 이용되며 그중에서 제일 큰 것이 바로 [[천자총통]]이고 그 다음으로 큰 형태가 [[지자총통]]이다. 전체 총 길이는 89.5cm 이고, 구경은 153mm 이다. [[화포식언해]]』에 따르면 한번 쏘는 데 드는 화약이 20량(약 730g)이며, 조란환(소형 철제탄)은 동시에 200발이 장전 가능하고, [[장군전|장군전(將軍箭)]]도 쓸 수 있었다. 사거리는 약 800보(1.44km) 정도라고 한다.
[[천주교회]]는 1785년의 [[을사추조적발사건|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 등으로 순교자들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1794년 말에는 중국인 신부 [[주문모|주문모(周文謨)]]를 영입하는 등 조직적인 교회활동으로 1800년에는 교인 1만 명으로 교세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천주신앙의 전파에 대하여 [[천주교]]를 공격하는 [[공서파|공서파(攻西派)]]의 세력에 의한 성토·상소·박해운동이 일어났다. 그러나 [[조선 정조|정조]]는 “사교(邪敎)는 자기자멸(自起自滅)할 것이며 유학의 진흥에 의해 사학을 막을 수 있다.”고 적극적 박해를 회피하였다. 또한 [[천주교]]를 신봉하는 양반 [[남인 시파|시파(時派)]]의 실권자인 재상 [[채제공|채제공(蔡濟恭)]]의 묵인도 있었다. 그러나 [[조선 정조|정조]]와 [[채제공]]이 죽자 정계의 주도세력이 [[벽파|벽파(僻派)]]로 바뀌면서 박해가 일어나게 되었다.<ref>이원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49 신유박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ref>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256쪽</ref>
</ref>
 
  
===[[벽파]]의 집권과 [[신유사옥]]의 시작===
+
[[지자총통]]에 쓰이는 발사체 중에서 [[장군전]]은 화살의 전신은 벌목한지 2년이 된 나무로 만들며, 총 길이가 9척 2촌 3푼(약 2.8미터)이고 둘레가 4촌 5푼이다. 무게는 33근(약 20kg) 정도이며 몸통에 세모 모양의 날개가 네 방향으로 붙어 있다.  
[[정순왕후|정순왕후 대왕대비]] 김씨가 어린 [[조선 순조|순조]]의 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벽파]]는 [[남인 시파]]의 세력을 꺾기 위하여 [[대왕대비]]를 움직여 [[시파]]와 종교적 [[신서파|신서파(信西派)]]에 대하여 일대 정치적 공세를 취하게 되었다. [[벽파]]는 [[천주교]]를 무부무군(無父無君)의 멸륜지교(滅倫之敎)로 몰아붙여 탄압을 가하였다. 또한 그의 배후 정치세력을 일소하고자 1801년 [[정순왕후|대왕대비]] 언교(諺敎)로 박해령을 선포, 전국의 천주교도를 수색하였다. [[오가작통법|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을 동원한 수색에서 많은 교인들이 체포되었고 300여 명의 순교자가 생겼다. [[신유사옥]]의 대표적 순교자로는 중국인 [[주문모]]와 초대 교회의 창설자인 지도적 평신도들이었다. [[주문모]]는 한때 피신하였다가 스스로 [[의금부]]에 나타나 취조를 받은 뒤 새남터에서 군문효수(軍門梟首)되었다.<ref>이원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49 신유박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ref>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317 장군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ref>  
 
 
===[[신유사옥]] 시기 수많은 사람들의 죽음===
 
죽음을 당한 사람들 중에서는 초기교회의 지도자이던 [[이승훈|이승훈(李承薰)]]·[[정약종|정약종(丁若鍾)]]·[[최창현|최창현(崔昌顯)]]·[[강완숙|강완숙(姜完淑)]]·[[최필공|최필공(崔必恭)]]·[[홍교만|홍교만(洪敎萬)]]·[[김건순|김건순(金健淳)]]·[[홍낙민|홍낙민(洪樂敏)]] 등은 서소문 밖에서 참수(斬首)되었고, 왕족인 [[송씨|송씨(宋氏 : 정조의 서제(庶弟)인 은언군(恩彦君)의 부인)]]와 [[신씨|신씨(申氏 : 은언군(恩彦君)의 며느리)]]도 사사(賜死)되었다. 한편, 지방교회 지도자들도 다수 순교하였다.내포교회(內浦敎會)의 사도로 불리던 [[이존창|이존창(李存昌)]]은 공주에서, 전주교회의 지도적 교인이던 [[유항검|유항검(柳恒儉)]]·[[관검|관검(觀儉)]] 형제는 전주에서 순교하였다.<ref>이원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49 신유박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신유사옥]]이후 조선 사회에 끼진 영향력===
 
[[신유사옥]]는 한국 [[천주교회]]에 가해진 최초의 대대적인 박해로, 큰 타격을 받았다. 그러나 살아남은 교도들은 위험을 피하여 경기도의 야산지대나 강원도나 충청도의 산간지방, 태백산맥·소백산맥의 심산유곡에 숨어, 천주신앙의 전국적 확산을 촉진하였다. 한편, 종래 지식인 중심의 조선[[천주교회]]가 [[신유사옥]]를 전후하여 서민사회로 뿌리를 내리게 된 점도 [[신유사옥]]와 관계되는 [[천주교회]] 발전의 모습이었다.<ref>이원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49 신유박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화포식언해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42/A04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유사옥]]||[[을사추조적발사건]]||A는 B와 관련이 있다||1801년
+
|[[화포식언해]]||[[지자총통]]||A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
 
|[[을사추조적발사건]]||[[천주교]]||A는 B와 관련이 있다||1785년
 
|-
 
|[[을사추조적발사건]]||[[공서파]]||A는 B와 관련이 있다||1785년
 
 
|-
 
|-
|[[을사추조적발사건]]||[[벽파]]||A는 B와 관련이 있다||1785년
+
|[[지자총통]]||[[조란환]]||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천주교]]||[[천주교회]]||A는 B를 포함한다||
+
|[[지자총통]]||[[장군전]]||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천주교회]]||[[남인 시파]]||A는 B와 관련이 있다||
+
|[[지자총통]]||[[국립진주박물관]]||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남인 시파]]||[[채제공]]||A는 B를 포함한다||
 
|-
 
|[[채제공]]||[[조선 정조|정조]]||A는 B와 관련이 있다||
 
|-
 
|[[조선 순조|순조]]||[[조선 정조|정조]]||A는 B의 아들이다||
 
|-
 
|[[신유사옥]]||[[정순왕후]]||A는 B와 관련이 있다||1801년
 
|-
 
|[[신유사옥]]||[[조선 순조|순조]]||A는 B와 관련이 있다||1801년
 
|-
 
|[[신유사옥]]||[[남인 시파]]||A는 B와 관련이 있다||1801년
 
|-
 
|[[신유사옥]]||[[천주교]]||A는 B와 관련이 있다||1801년
 
|-
 
|[[신유사옥]]||[[이승훈]]||A는 B와 관련이 있다||1801년
 
|-
 
|[[신유사옥]]||[[정약종]]||A는 B와 관련이 있다||1801년
 
|-
 
|[[신유사옥]]||[[최창현]]||A는 B와 관련이 있다||1801년
 
|-
 
|[[신유사옥]]||[[강완숙]]||A는 B와 관련이 있다||1801년
 
|-
 
|[[신유사옥]]||[[주문모]]||A는 B와 관련이 있다||1801년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1801년||[[신유사옥]]이 일어났다
+
|1445년||[[지자총통]]이 제작되었다
 
|}
 
|}
<!--
+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5.188924||128.076968||[[지자총통]]은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갤러리===
 
<gallery>
 
파일: |
 
</gallery>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인용 및 참조===
*논문
+
*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337 지자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성래, 「조선시대 재해행정과 17세기 후반 진휼청의 상설화」, 『사목』, Vol 2001, 2001, 26-34쪽.  
+
*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317 장군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정병설, 「신유박해 순교자 이순이의 옥중편지 재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Vol 42, 2013, 1-10쪽.  
+
 
===유용한 정보===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이원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249 신유박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사건]]
+
[[분류:물품]]
[[분류:이창섭]]
 

2017년 11월 22일 (수) 23:38 기준 최신판

지자총통(地字銃筒)
Chongtong.png
대표명칭 지자총통
한자표기 地字銃筒
유형 물품
시대 조선시대
용도 무기
관련유물유적 화포식언해



정의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사용된 화기이다.

내용

조선시대에서는 천자문 글자 순서대로 이름을 붙인 화포들이 존재하였다. 이들 앞에 붙는 한자는 대부분 크기의 차이를 판가름 하는 데 이용되며 그중에서 제일 큰 것이 바로 천자총통이고 그 다음으로 큰 형태가 지자총통이다. 전체 총 길이는 89.5cm 이고, 구경은 153mm 이다. 『화포식언해』에 따르면 한번 쏘는 데 드는 화약이 20량(약 730g)이며, 조란환(소형 철제탄)은 동시에 200발이 장전 가능하고, 장군전(將軍箭)도 쓸 수 있었다. 사거리는 약 800보(1.44km) 정도라고 한다. [1]

지자총통에 쓰이는 발사체 중에서 장군전은 화살의 전신은 벌목한지 2년이 된 나무로 만들며, 총 길이가 9척 2촌 3푼(약 2.8미터)이고 둘레가 4촌 5푼이다. 무게는 33근(약 20kg) 정도이며 몸통에 세모 모양의 날개가 네 방향으로 붙어 있다. [2]

지식 관계망

  • 화포식언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포식언해 지자총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지자총통 조란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자총통 장군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자총통 국립진주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445년 지자총통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188924 128.076968 지자총통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주석

  1.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256쪽
  2. 이강칠, 장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이강칠, 지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강칠, 장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