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봉 유서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 유물정보
+
 
 +
{{유물유적정보
 
|사진= 한글팀_학봉_유서함_01_표지.jpg
 
|사진= 한글팀_학봉_유서함_01_표지.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학봉 유서함
+
|대표명칭= [[학봉 유서통]]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 鶴峯 諭書函
+
|한자표기= 鶴峯 諭書筒
|문화재지정=
+
|이칭=
|문화재지정일=
+
|유형=
|분류=  
+
|시대= 조선시대(1592년)
|소장처= 의성김씨 학봉종택
+
|지정번호=
|경도=  
+
|지정일=
|위도=  
+
|소장처= [[의성김씨 학봉종택]]
|소유자=
+
|경도=
|관리자=
+
|위도=
|시대= 조선시대
+
|수량=
|제작시기= 1592년
+
|관련인물= [[김성일]]
|수량=  
+
|관련단체= [[의성 김씨]]
|필드수= 6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
 
 
==정의==
 
==정의==
유서(諭書)는 [[세종]](1418~1450) 시기에 만든 왕명이며, 1592년에 [[김성일|학봉 김성일]]에게 내린 유서를 담은
+
1592년 [[김성일]]에게 [[조선 선조]]내린 유서(諭書)를 담던 통(筒)을 말한다.
  
 
==내용==
 
==내용==
[[세종]]시기 이전 내전소식(內傳消息)이라는 왕명을 쓰고 있었는데, 이는 국왕이 신속하게 처리해야 할 사안이 있을시 승정원(承政院)을 통해 내리는 간단한 왕명이었다.<ref>『태종실록』권32, 태종 16년(1416), 12월 2일(기미), 1번째 기사</ref>
+
[[학봉 유서통]]은 1592년(선조 25) 4월 11일에 [[선조]]가 [[김성일]]에게 내린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임명 문서를 보관한 것이다. 길이는 1미터가 조금 안되며, 굵기는 대략 20센티미터 정도이다. ()자체는 원이 아니라 팔각형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팔각형 한 면에 기이한 동물 형상이 주조되어 있는데, 머리는 개처럼 생겼고 꼬리는 긴데, 몸통은 비늘로 덮여 있다. 그리고 머리 부분에 사슴 뿔 두개가 돋아나 있다. 통 마개와 가까운 부분은 동물의 형체가 온전히 남아있고, 그 아래쪽에 위치한 동물은 머리와 앞다리가 파손된 상태이다. 그리고 통 마개와 가까운 동물이 머리를 수직으로 세우고 앉아있는 것과 달리 파손된 동물의 형태는 납짝 엎드린 모습이다. 마개 부분은 이무기가 몸을 웅크리고 있다. 그리고 마개 반대쪽은 4개의 구슬이 박혀 있는데, 구슬들은 학봉 유서통을 안정적으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개를 열면 안쪽에 [[김성일|학봉 선생]]의 친필 수결이 쓰여 있다.
이같은 서식은 고려의 선전소식(宣傳消息)에서 유래하였다. 선전소식은 충렬왕대에 만든 왕명으로, 당시에 몽골과의 관계로 인해 국정에 긴급하게 처리해야 할 사안이 많았는데, 왕명을 받은 사신이 지방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데 있어 선지(宣旨)를 반포하였을 경우에 의례 절차가 매우 번거로웠다. 그래서 승선이 국왕의 명령을 받들어 작성하고 서명하는 선전소식이라는 간단한 왕명을 만들었다.
 
<ref>『고려사』권123, 「열전」권36, 폐행(嬖幸), 이분희, 이습, "이습이 응방 오숙부가 안찰사를 참소한 일을 논박하다."</ref>
 
이것이 기원이 된 조선의 내전소식은 국왕의 명령 가운데 정식 행정 절차를 거쳐 공문을 보내는 것이 시간적으로 여의치 않거나 사안이 중요하지 않은 잡사(雜事)일 경우에, 비교적 형식에 매이지 않고 어보(御寶)나 담당 관청의 인신이 없이 승지 한 사람의 서명만으로 시행하였던 왕명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문서 서식은 어보나 승정원의 인신이 찍히지 않았기에 위조 가능성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 문제를 [[세종]]이 제기하였고<ref>『세종실록』권30, 세종 7년(1425) 11월 22일(정사), 2번째기사</ref> 논의가 진행되어 1443년(세종 25)에
 
  
==부연설명==
+
{{연계자원정보
 +
|연계자원1=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
|연계자원2=
 +
|연계자원3=
 +
}}
  
==시각자료==
+
==지식 관계망==
 +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1/A2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학봉 유서통]]||[[조선 선조]]||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김성일]]||[[학봉 유서통]]||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학봉 유서통]]||[[의성김씨 학봉종택]]||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
|[[조선 선조]]||[[임진왜란]]||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김성일]]||[[임진왜란]]||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김성일]]||[[조선 선조]]||A는 B의 신하이다||A ekc:isSubjectOf B
 +
|}
  
==관련항목==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592||[[조선 선조]]가 [[학봉 유서통]]을 학봉 [[김성일]]에게 내렸다.
 +
|}
  
==시각정보==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6.609727||128.669678||[[학봉 유서통]]은 [[의성김씨 학봉종택]]에 소장되어 있다
 +
|}
  
==공간정보==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한글팀_학봉유서통_01_전면사진.jpg|한글팀_학봉유서통_01_전면사진
 +
파일:한글팀_학봉유서통_02_장식1.jpg|한글팀_학봉유서통_02_장식1
 +
파일:한글팀_학봉유서통_03_장식2.jpg|한글팀_학봉유서통_03_장식2
 +
파일:한글팀_학봉유서통_04_측면.jpg|한글팀_학봉유서통_04_측면
 +
파일:한글팀_학봉유서통_05_봉인1.jpg|한글팀_학봉유서통_05_봉인1
 +
파일:한글팀_학봉유서통_06_봉인2.jpg|한글팀_학봉유서통_06_봉인2
 +
파일:한글팀_학봉유서통_07_봉인3.jpg|한글팀_학봉유서통_07_봉인3
 +
파일:한글팀_학봉유서통_08_학봉수결.jpg|한글팀_학봉유서통_08_학봉수결
 +
</gallery>
 +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문화유산]]

2017년 11월 22일 (수) 23:18 기준 최신판


학봉 유서통
(鶴峯 諭書筒)
한글팀 학봉 유서함 01 표지.jpg
대표명칭 학봉 유서통
한자표기 鶴峯 諭書筒
시대 조선시대(1592년)
소장처 의성김씨 학봉종택
관련인물 김성일
관련단체 의성 김씨


정의

1592년 김성일에게 조선 선조가 내린 유서(諭書)를 담던 통(筒)을 말한다.

내용

학봉 유서통은 1592년(선조 25) 4월 11일에 선조김성일에게 내린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임명 문서를 보관한 것이다. 길이는 1미터가 조금 안되며, 굵기는 대략 20센티미터 정도이다. 통(筒)자체는 원이 아니라 팔각형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팔각형 한 면에 기이한 동물 형상이 주조되어 있는데, 머리는 개처럼 생겼고 꼬리는 긴데, 몸통은 비늘로 덮여 있다. 그리고 머리 부분에 사슴 뿔 두개가 돋아나 있다. 통 마개와 가까운 부분은 동물의 형체가 온전히 남아있고, 그 아래쪽에 위치한 동물은 머리와 앞다리가 파손된 상태이다. 그리고 통 마개와 가까운 동물이 머리를 수직으로 세우고 앉아있는 것과 달리 파손된 동물의 형태는 납짝 엎드린 모습이다. 마개 부분은 이무기가 몸을 웅크리고 있다. 그리고 마개 반대쪽은 4개의 구슬이 박혀 있는데, 이 구슬들은 학봉 유서통을 안정적으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개를 열면 안쪽에 학봉 선생의 친필 수결이 쓰여 있다.


연계 자원 보러 가기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지식 관계망

  •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학봉 유서통 조선 선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성일 학봉 유서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학봉 유서통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조선 선조 임진왜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성일 임진왜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성일 조선 선조 A는 B의 신하이다 A ekc:isSubjectOf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92 조선 선조학봉 유서통을 학봉 김성일에게 내렸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609727 128.669678 학봉 유서통의성김씨 학봉종택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