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분류: | + | {{개념정보 |
+ | |사진=한글팀 운서 01 광운.jpg | ||
+ | |사진출처="[https://www.itsfun.com.tw/%E5%BB%A3%E9%9F%BB/wiki-9380706-6997585 廣韻]", <html><online style="color:purple">『華人百科』<sup>online</sup></online></html>. | ||
+ | |대표명칭=운서 | ||
+ | |한자표기=韻書 | ||
+ | |영문명칭= | ||
+ | |이칭= | ||
+ | |유형=개념 | ||
+ | |관련개념=운학(韻學) | ||
+ | }} | ||
+ | =='''정의'''== | ||
+ | 한시(漢詩)를 지을 때, 서로 압운(押韻: 일종의 rhyme)할 수 있는 한자들을 분류하여 엮은 책이다. | ||
+ | |||
+ | =='''내용'''== | ||
+ | ===운학(韻學)에서 [[운서]]으로=== | ||
+ | 본래 [[운서]]는 중국의 한자 발음에 대한 연구를 써놓은 서책으로, 중국의 [[운학|운학(韻學)]]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중국의 [[운학]]이 발달하기 시작한 것은 6세기 중반으로 중국의 남북조시대인데, 주로 남조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자음(字音)을 성모(聲母)와 운모(韻母)로 나누어서 고찰하는 방법이 발달하였으며, 남조사람들은 음률에 민감하여 인도음운학의 영향을 받아 자음의 사성(四聲)을 구분하게 되었다. 이런 연구 결과들을, 한자들의 운별(韻別)로 분류하여 서책에 정리하였고, 이런 종류의 서책들을 [[운서]]라 불렀다. | ||
+ | <ref>강신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04 운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ref> | ||
+ | |||
+ | ===중국에서 편찬된[[운서]]=== | ||
+ | 중국에서 등장한 운서 중 제일 먼저 등장한 것은 [[절운|『절운(切韻)』]]으로 수나라 시기 601년에 편찬되었다. 그리고 400년 후 [[광운|『광운(廣韻)』]]이 북송시기 1008년에 편찬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예부운략|『예부운략(禮部韻略)』]]이 1037년에 편찬되었다. 그리고 남송에서 원나라 때에는 [[임자신간예부운략|『임자신간예부운략(壬子新刊禮部韻略)』(1252)]], [[고금운회|『고금운회(古今韻會)』]](1292·1297년에 古今韻會擧要로 개편), [[중원움운|『중원음운(中原音韻)』(1324)]] 등 3책이 완성되었다. 명나라 시기에는 [[홍무정운|『홍무정운(洪武正韻)』(1375)]] 이 만들어졌다. | ||
+ | <ref>강신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314 운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ref> | ||
+ | |||
+ | ===중국에서 한반도로 넘어간 [[운서]]=== | ||
+ | 옛날부터 우리나라는 중국과 빈번하게 접촉을 하였으므로 운서가 한반도로 넘어온 것은 당연한 사실이나 정확한 시간은 현재까지도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한 가지 확실한 사실은 고려 중기부터 한시와 한문이 일반적인 문인들의 학문적 소양이었기 때문에 운서의 위상도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 당시 들어온 운서는 북송시기 널리 알려진 [[예부운략]]이다. 고려시대 이후에 전해진 운서는 평수본(平水本)이라고 하는 금나라 [[왕문욱|왕문욱(王文郁)]]의 [[평수신간운략|『평수신간운략(平水新刊韻略)』]](1229년 편찬)이 있다. | ||
+ | <ref>강신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314 운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ref> | ||
+ | |||
+ | ===한국의 독자적 [[운서]]=== | ||
+ | 운서는 본래 목적이 중국의 발음을 표기하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한국의 음성과는 다르다. 그 뿐만 아니라 전래된 운서의 발음 또한 한국 국어의 어음(語音)으로 동화되어 중국의 본토 운음과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는 조선 초기에 들어서면서 우리 한자음에 부합할 수 있는 운서를 제작하기에 이른다. 그 결과가 바로 [[동국정운|『동국정운』]]이다. 『동국정운』의 큰 특징은 훈민정음이라는 표음문자로 한자음을 표시한 운서라는 것이다. 『동국정운』 이후로 만들어진 운서는, 1455년에 편찬된 [[홍무정운역훈|『홍무정운역훈』]]이 있으며 1517년에는 [[사성통해|『사성통해』]]라는 운서가 편찬되었다. 1747년에는 박성원이 [[화동정음통석운고|『화동정음통석운고(華東正音通釋韻考)』]]를 저술하였으며, 1751년 정약용이 [[규장정운|『규장전운(奎章全韻)』]]을 편찬하였다. | ||
+ | <ref>강신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314 운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세종의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에 관한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11/A211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3/A003.htm 동국정운에 관한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4/A004.htm 홍무정운역훈에 관한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13/A013.htm 화동정음통석운고 지식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운서]]||[[절운]]||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광운]]||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예부운략]]||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임자신간예부운략]]||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고금운회]]||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중원음운]]||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홍무정운]]||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평수신간운략]]||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동국정운]]||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홍무정운역훈]]||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사성통해]]||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화동정음통석운고]]||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운서]]||[[규장전운]]||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6세기 중반||남북조 시기 남조에서 [[운서]]가 발전하였다 | ||
+ | |- | ||
+ | |11세기 ||중국에서 한반도로 [[운서]]가 전파되었다 | ||
+ | |- | ||
+ | |15세기 이후||한국형 [[운서]]가 만들어졌다 |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 한글팀 운서 01 광운.jpg| 광운 첫부분 | ||
+ | 파일: 한글팀 홍무정운역훈 05 팔진.jpg| 홍무정운역훈 팔진 | ||
+ | 파일: 한글팀 동국정운 스캔본 01.jpg | 동국정운 스캔본 | ||
+ | </gallery>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강신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04 운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강신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314 운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개념]] | ||
[[분류:이창섭]] | [[분류:이창섭]] |
2017년 11월 22일 (수) 22:56 기준 최신판
운서 (韻書) |
|
대표명칭 | 운서 |
---|---|
한자표기 | 韻書 |
유형 | 개념 |
관련개념 | 운학(韻學) |
목차
정의
한시(漢詩)를 지을 때, 서로 압운(押韻: 일종의 rhyme)할 수 있는 한자들을 분류하여 엮은 책이다.
내용
운학(韻學)에서 운서으로
본래 운서는 중국의 한자 발음에 대한 연구를 써놓은 서책으로, 중국의 운학(韻學)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중국의 운학이 발달하기 시작한 것은 6세기 중반으로 중국의 남북조시대인데, 주로 남조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자음(字音)을 성모(聲母)와 운모(韻母)로 나누어서 고찰하는 방법이 발달하였으며, 남조사람들은 음률에 민감하여 인도음운학의 영향을 받아 자음의 사성(四聲)을 구분하게 되었다. 이런 연구 결과들을, 한자들의 운별(韻別)로 분류하여 서책에 정리하였고, 이런 종류의 서책들을 운서라 불렀다. [1]
중국에서 편찬된운서
중국에서 등장한 운서 중 제일 먼저 등장한 것은 『절운(切韻)』으로 수나라 시기 601년에 편찬되었다. 그리고 400년 후 『광운(廣韻)』이 북송시기 1008년에 편찬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예부운략(禮部韻略)』이 1037년에 편찬되었다. 그리고 남송에서 원나라 때에는 『임자신간예부운략(壬子新刊禮部韻略)』(1252), 『고금운회(古今韻會)』(1292·1297년에 古今韻會擧要로 개편), 『중원음운(中原音韻)』(1324) 등 3책이 완성되었다. 명나라 시기에는 『홍무정운(洪武正韻)』(1375) 이 만들어졌다. [2]
중국에서 한반도로 넘어간 운서
옛날부터 우리나라는 중국과 빈번하게 접촉을 하였으므로 운서가 한반도로 넘어온 것은 당연한 사실이나 정확한 시간은 현재까지도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한 가지 확실한 사실은 고려 중기부터 한시와 한문이 일반적인 문인들의 학문적 소양이었기 때문에 운서의 위상도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 당시 들어온 운서는 북송시기 널리 알려진 예부운략이다. 고려시대 이후에 전해진 운서는 평수본(平水本)이라고 하는 금나라 왕문욱(王文郁)의 『평수신간운략(平水新刊韻略)』(1229년 편찬)이 있다. [3]
한국의 독자적 운서
운서는 본래 목적이 중국의 발음을 표기하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한국의 음성과는 다르다. 그 뿐만 아니라 전래된 운서의 발음 또한 한국 국어의 어음(語音)으로 동화되어 중국의 본토 운음과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는 조선 초기에 들어서면서 우리 한자음에 부합할 수 있는 운서를 제작하기에 이른다. 그 결과가 바로 『동국정운』이다. 『동국정운』의 큰 특징은 훈민정음이라는 표음문자로 한자음을 표시한 운서라는 것이다. 『동국정운』 이후로 만들어진 운서는, 1455년에 편찬된 『홍무정운역훈』이 있으며 1517년에는 『사성통해』라는 운서가 편찬되었다. 1747년에는 박성원이 『화동정음통석운고(華東正音通釋韻考)』를 저술하였으며, 1751년 정약용이 『규장전운(奎章全韻)』을 편찬하였다. [4]
지식 관계망
- 세종의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에 관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운서 | 절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광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예부운략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임자신간예부운략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고금운회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중원음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홍무정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평수신간운략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동국정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홍무정운역훈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사성통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화동정음통석운고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운서 | 규장전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6세기 중반 | 남북조 시기 남조에서 운서가 발전하였다 |
11세기 | 중국에서 한반도로 운서가 전파되었다 |
15세기 이후 | 한국형 운서가 만들어졌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강신항, 운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신항, 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신항, 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신항, 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