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헌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잔글 (→내용) |
(→내용)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단체정보 | {{단체정보 | ||
− | |사진= | + | |사진=government_office.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사헌부 | |대표명칭=사헌부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시대 언론의 역할을 하던 관청이다. | |
==내용== | ==내용== | ||
===설립과 해체=== | ===설립과 해체=== | ||
− | 상대(霜臺)·오대(烏臺)·백부(柏府)라고도 한다. | + | 상대(霜臺)·오대(烏臺)·백부(柏府)라고도 한다. 고려 공민왕 이전까지 사헌대(司憲臺)·금오대(金吾臺)·어사대·감찰사(監察司)·사헌부 등 명칭과 관직이 여러 차례 변경되다가 공민왕 때 다시 사헌부로 개칭되었다. 조선이 개창된 뒤 조선은 고려 말의 사헌부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사헌부는 조선 말까지 존속하다가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관제 개혁으로 폐지되었다. <ref>최승희,"[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104 사헌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업무=== | ===업무=== | ||
− | + | [[사간원]]과 함께 '언론 양사(言論兩司)'라 불리며 간쟁·탄핵·시정·인사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의정부]]·[[육조]]의 대신들과 함께 왕이 중신을 접견해 정치적 보고와 자문을 받는 자리에도 참여하였다. 또한 왕을 모시고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강론하는 자리인 경연과 세자를 교육하는 자리인 서연에 입시했고, 왕의 행행(行幸)에도 반드시 호종하였다. 이 외에도 법령의 집행, 백관에 대한 규찰, 죄인에 대한 국문(鞫問), 결송(決訟) 등의 일도 사헌부에서 맡아 행사하였다.<ref>최승희,"[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104 사헌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왕을 모시고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강론하는 자리인 경연과 세자를 교육하는 자리인 서연에 입시했고, 왕의 행행(行幸)에도 반드시 호종하였다. | ||
− | |||
− | |||
− | |||
− | |||
− | |||
− | 법령의 집행, 백관에 대한 규찰, 죄인에 대한 국문(鞫問), 결송(決訟) 등의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어제계주윤음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26/A02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사헌부]] || [[홍문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사헌부]] || [[홍문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사헌부]] || [[사간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사헌부]] || [[사간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사헌부]] || [[성균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사헌부]] || [[성균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사헌부]] || [[의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사헌부]] || [[의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사헌부]] || [[의금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사헌부]] || [[의금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사헌부]] || [[갑오개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사헌부]] || [[갑오개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78번째 줄: | 65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 | |||
− | |||
*단행본 | *단행본 | ||
**이성무, 『조선은 어떻게 부정부패를 막았을까 : 목숨 걸고 직언하고 가차 없이 탄핵하다』, 청아, 2009. | **이성무, 『조선은 어떻게 부정부패를 막았을까 : 목숨 걸고 직언하고 가차 없이 탄핵하다』, 청아, 2009. | ||
**김경수, 『언론이 조선왕조 500년을 일구었다 : 조선시대의 언론과 출판』, 가람기획, 2000. | **김경수, 『언론이 조선왕조 500년을 일구었다 : 조선시대의 언론과 출판』, 가람기획, 2000. | ||
+ | *논문 | ||
+ | **김재명, 「朝鮮初期의 司憲府 監察」, 『한국사연구』Vol.65, 한국사연구회, 1989. | ||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단체]] |
2017년 11월 22일 (수) 22:41 기준 최신판
사헌부(司憲府) | |
대표명칭 | 사헌부 |
---|---|
한자표기 | 司憲府 |
창립시대 | 고려 말 |
해체일 | 1894년 |
주요업무 | 언론 |
관련기관 | 홍문관, 사간원 |
정의
조선시대 언론의 역할을 하던 관청이다.
내용
설립과 해체
상대(霜臺)·오대(烏臺)·백부(柏府)라고도 한다. 고려 공민왕 이전까지 사헌대(司憲臺)·금오대(金吾臺)·어사대·감찰사(監察司)·사헌부 등 명칭과 관직이 여러 차례 변경되다가 공민왕 때 다시 사헌부로 개칭되었다. 조선이 개창된 뒤 조선은 고려 말의 사헌부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사헌부는 조선 말까지 존속하다가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관제 개혁으로 폐지되었다. [1]
업무
사간원과 함께 '언론 양사(言論兩司)'라 불리며 간쟁·탄핵·시정·인사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의정부·육조의 대신들과 함께 왕이 중신을 접견해 정치적 보고와 자문을 받는 자리에도 참여하였다. 또한 왕을 모시고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강론하는 자리인 경연과 세자를 교육하는 자리인 서연에 입시했고, 왕의 행행(行幸)에도 반드시 호종하였다. 이 외에도 법령의 집행, 백관에 대한 규찰, 죄인에 대한 국문(鞫問), 결송(決訟) 등의 일도 사헌부에서 맡아 행사하였다.[2]
지식 관계망
- 어제계주윤음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사헌부 | 홍문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헌부 | 사간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헌부 | 성균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헌부 | 의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헌부 | 의금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헌부 | 갑오개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94년 | 갑오개혁으로 인해 사헌부가 해체되었다. |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이성무, 『조선은 어떻게 부정부패를 막았을까 : 목숨 걸고 직언하고 가차 없이 탄핵하다』, 청아, 2009.
- 김경수, 『언론이 조선왕조 500년을 일구었다 : 조선시대의 언론과 출판』, 가람기획, 2000.
- 논문
- 김재명, 「朝鮮初期의 司憲府 監察」, 『한국사연구』Vol.65, 한국사연구회,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