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해남 대흥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지식 관계망)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대표명칭=해남 대흥사
 
|대표명칭=해남 대흥사
|영문=  
+
|영문= Daeheungsa Temple, Haenam
|한자=
+
|한자= 海南 大興寺
|이칭=
+
|이칭= 대둔사(大芚寺)
|지정번호=
+
|지정번호= 사적 제508호
|지정일=  
+
|지정일= 2009년 12월 21일
|주소=
+
|주소=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위도=
+
|위도= 34.477328
|경도=
+
|경도= 126.616718
 
|소유자=
 
|소유자=
|관리자=  
+
|관리자= 해남 대흥사
 
|교구정보= [http://www.buddhism.or.kr 대한불교조계종]
 
|교구정보= [http://www.buddhism.or.kr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건립시기=
 
|창건자=  
 
|창건자=  
|경내문화재=
+
|경내문화재=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해남 대흥사 대웅보전]],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해남 대흥사 삼층석탑]],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 의발 등 유물 일괄]],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유물]],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해남 대흥사 석가여래삼불좌상]], [[해남 대흥사 천불전]] 
 
}}
 
}}
  
 
=='''정의'''==
 
=='''정의'''==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頭輪山)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절.<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277 해남 대흥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의 본사이다. 면적은 약 60,163㎡에 이른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231 해남 대흥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명칭유래===
 +
대둔사(大芚寺)는 남쪽 바닷가 구석에 자리잡은 작은 절이었다. 절이 들어앉은 두륜산의 옛이름이 한듬이었으므로 절도 오랫동안 한듬절로 불렸다. 세월이 지나면서 한듬은 한자와 섞여 대듬이 되었다가 다시 대둔(大芚)으로 바뀌었고 그에 따라 절도 대듬절, 대둔사로 바뀌어 불렸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76&cid=42840&categoryId=42849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한편, 대둔산은 중국 곤륜산(崑崙山) 줄기가 한반도로 흘러 백두산을 이루고 계속 뻗어내려와 마지막으로 맺은 산이라 하여 다시 백두의 두(頭), 곤륜의 륜(崙)을 따서 두륜산(頭崙山)이 되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76&cid=42840&categoryId=42849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일제 때 지명을 새로 표기하면서 '頭崙山'은 '頭輪山'으로 바뀌었고, 대둔사는 대흥사(大興寺)로 고정되었다. 절이 두륜산 대둔사(頭崙山 大芚寺)라는 이름을 회복한 것이 겨우 1993년, 그래서 사람들은 요즘도 대흥사라는 이름에 더 익숙하다. 일주문이나 천왕문에도 대흥사라고 적혀 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76&cid=42840&categoryId=42849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대흥사의 역사===
 +
대흥사 즉, 대둔사가 처음 생긴 것은 언제일까? 대둔사의 내력을 적은 것으로는 1823년([[조선 순조|순조]] 23)에 [[초의|초의선사(草衣禪師)]]와 [[수룡|수룡선사(袖龍禪師)]]가 편집해 낸 『대둔사지』가 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76&cid=42840&categoryId=42849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우선 『죽미기』에서는 514년([[신라 법흥왕|법흥왕]] 1)에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절을 창건했다고 하였다. 또 『만일암고기』에는 875년 ([[신라 헌강왕|헌강왕]] 원년)에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가 당나라에서 귀국한 후 나라 안에 절 500개를 짓는 것이 좋다고 상소할 때 대둔사도 거기에 포함되어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대둔사지』의 자료를 모은 [[혜장|혜장선사(惠藏禪師)]]는 [[아도화상]]이 절을 지었다는 시기가 그가 활약한 시기인 265년([[신라 미추왕|미추왕]] 2)보다 300년 가까이 앞선다는 것, [[도선|도선국사]]가 당에 갔었다는 기록이 없으며 886년([[신라 헌강왕|헌강왕]] 원년)은 [[도선]]이 태어난 해라는 것을 지적하며 두 설을 모두 일축하고, 대둔사 창건 연대를 신라 말로 보았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76&cid=42840&categoryId=42849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금 절 안에 있는 유물 가운데 가장 오래 된 응진전 앞 삼층석탑(보물 제320호)과 북미륵암 마애불(보물 제48호), 북미륵암 삼층석탑(보물 301호)이 모두 나말여초의 것임을 보더라도 대둔사는 나말여초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76&cid=42840&categoryId=42849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임진왜란]] 이후 [[휴정|서산대사(西山大師)]]가 의발(衣鉢)을 전하고부터 대둔사의 사세는 크게 일어났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76&cid=42840&categoryId=42849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1665년([[조선 현종|현종]] 6) [[심수|심수(心粹)]]가 대웅전을 중창하고, 1669년에는 표충사(表忠祠)를 건립하였으며, 1813년에는 불탄 천불전(千佛殿: 지방유형문화재 제48호)이 재건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231 해남 대흥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내용'''==
+
조선시대에는 억불(抑佛)의 탄압 속에서도 많은 인재를 길러 내어 의심(義諶)·삼우(三遇)·도안(道安)·문신(文信)·추붕(秋鵬) 등 13인의 대종사(大宗師)와 원오(圓悟)·광열(廣悅)·영우(永愚) 등 13인의 대강사(大講師)를 배출시킨 명찰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231 해남 대흥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사찰령 때 쌍봉사가 대흥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라는 내용을 넣으면 좋을 듯
+
===역사===
+
1998년 12월 23일 대둔산 대흥사 일원으로 지정되었다가 2009년 12월 21일 사적 제508호 해남 대흥사와 명승 제66호 두륜산 대흥사 일원으로 나뉘어 다시 지정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231 해남 대흥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한편, 사찰령 때 [[화순 쌍봉사|쌍봉사]]가 대흥사의 말사로 편입되기도 하였다.
  
 
===해남 대흥사 초의매===
 
===해남 대흥사 초의매===
 
대흥사 경내 숙정당 앞에는 수령 200년, 나무 높이 4.5m의 매화나무가 자라고 있다.<ref>김현우, 『매화나무』, 이담북스,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77109&cid=42926&categoryId=42926 해남 대흥사 초의매]", 매화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대흥사 경내 숙정당 앞에는 수령 200년, 나무 높이 4.5m의 매화나무가 자라고 있다.<ref>김현우, 『매화나무』, 이담북스,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77109&cid=42926&categoryId=42926 해남 대흥사 초의매]", 매화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우리나라에 차 문화를 보급한 [[초의|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가 심은 매화나무인데, 이 나무가 ‘초의매(草衣梅)’이다.<ref>김현우, 『매화나무』, 이담북스,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77109&cid=42926&categoryId=42926 해남 대흥사 초의매]", 매화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우리나라에 차 문화를 보급한 [[의순|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가 심은 매화나무인데, 이 나무가 ‘초의매(草衣梅)’이다.<ref>김현우, 『매화나무』, 이담북스,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77109&cid=42926&categoryId=42926 해남 대흥사 초의매]", 매화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
*'''해남 대흥사와 관련 있는 인물들의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32/E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해남 대흥사]] || A는 B에 있다 ||
+
|[[의순]] || [[해남 대흥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
|-
 +
|[[해남 대흥사 청허당 휴정대사비]] || [[해남 대흥사]] || A는 B에 있다 ||
 +
|-
 +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 [[해남 대흥사]] || A는 B에 있다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해남 대흥사]] || A는 B에 있다 ||
+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 의발 등 유물 일괄]] || [[해남 대흥사]] || A는 B에 있다 ||
 
|-
 
|-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해남 대흥사]] || A는 B에 있다 ||
+
|[[해남 대흥사 청허당 휴정대사비]] || [[휴정]]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도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해남 대흥사 청허당 서산대사탑]] || [[휴정]]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도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해남 대흥사]] || [[화순 쌍봉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혜철]] || [[화순 쌍봉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1604년|| 휴정이 자신의 의발을 이 절에 전한 후 크게 중창되었다.
 
|-
 
|-
|[[도윤]] || [[화순 쌍봉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1665년 || 대웅전을 중창하였다.
 
|-
 
|-
|[[혜심]] || [[화순 쌍봉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1669년 || 표충사를 건립하였다.
 
|-
 
|-
|[[화순 쌍봉사]] || [[사자선문]] || A는 B에 포함된다||
+
| 1813년|| 불탄 천불전이 재건되었다.
 
|-
 
|-
|[[사자선문]] || [[구산선문]] || A는 B에 포함된다||
+
| 일제강점기 || 대둔사가 대흥사로 이름이 바꼈다.
 
|-
 
|-
|[[화순 쌍봉사]] || [[해남 대흥사]] || A는 B와 관련있다||
+
| 1993년 || 다시 대둔사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
 
|-
|[[화순 쌍봉사]] || [[순천 송광사]] || A는 B에 포함된다||
+
|1998년 || 대둔산 대흥사 일원으로 지정되었다.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2009년 || 사적 제508호 해남 대흥사와 명승 제66호 두륜산 대흥사 일원으로 나뉘어 다시 지정되었다.
 
|}
 
|}
  
71번째 줄: 105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231 해남 대흥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277 해남 대흥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현우, 『매화나무』, 이담북스,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77109&cid=42926&categoryId=42926 해남 대흥사 초의매]", 매화나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76&cid=42840&categoryId=42849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11월 22일 (수) 17:16 기준 최신판

해남 대흥사
(海南 大興寺)
대표명칭 해남 대흥사
한자 海南 大興寺
이칭 대둔사(大芚寺)
주소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508호
문화재 지정일 2009년 12월 21일
관리자 해남 대흥사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경내문화재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 해남 대흥사 대웅보전,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해남 대흥사 삼층석탑,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 의발 등 유물 일괄,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유물,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해남 대흥사 석가여래삼불좌상, 해남 대흥사 천불전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頭輪山)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절.[1]

내용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의 본사이다. 면적은 약 60,163㎡에 이른다.[2]

명칭유래

대둔사(大芚寺)는 남쪽 바닷가 구석에 자리잡은 작은 절이었다. 절이 들어앉은 두륜산의 옛이름이 한듬이었으므로 절도 오랫동안 한듬절로 불렸다. 세월이 지나면서 한듬은 한자와 섞여 대듬이 되었다가 다시 대둔(大芚)으로 바뀌었고 그에 따라 절도 대듬절, 대둔사로 바뀌어 불렸다.[3]

한편, 대둔산은 중국 곤륜산(崑崙山) 줄기가 한반도로 흘러 백두산을 이루고 계속 뻗어내려와 마지막으로 맺은 산이라 하여 다시 백두의 두(頭), 곤륜의 륜(崙)을 따서 두륜산(頭崙山)이 되었다.[4]

일제 때 지명을 새로 표기하면서 '頭崙山'은 '頭輪山'으로 바뀌었고, 대둔사는 대흥사(大興寺)로 고정되었다. 절이 두륜산 대둔사(頭崙山 大芚寺)라는 이름을 회복한 것이 겨우 1993년, 그래서 사람들은 요즘도 대흥사라는 이름에 더 익숙하다. 일주문이나 천왕문에도 대흥사라고 적혀 있다.[5]

대흥사의 역사

대흥사 즉, 대둔사가 처음 생긴 것은 언제일까? 대둔사의 내력을 적은 것으로는 1823년(순조 23)에 초의선사(草衣禪師)수룡선사(袖龍禪師)가 편집해 낸 『대둔사지』가 있다.[6]

우선 『죽미기』에서는 514년(법흥왕 1)에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절을 창건했다고 하였다. 또 『만일암고기』에는 875년 (헌강왕 원년)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당나라에서 귀국한 후 나라 안에 절 500개를 짓는 것이 좋다고 상소할 때 대둔사도 거기에 포함되어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대둔사지』의 자료를 모은 혜장선사(惠藏禪師)아도화상이 절을 지었다는 시기가 그가 활약한 시기인 265년(미추왕 2)보다 300년 가까이 앞선다는 것, 도선국사가 당에 갔었다는 기록이 없으며 886년(헌강왕 원년)은 도선이 태어난 해라는 것을 지적하며 두 설을 모두 일축하고, 대둔사 창건 연대를 신라 말로 보았다.[7]

지금 절 안에 있는 유물 가운데 가장 오래 된 응진전 앞 삼층석탑(보물 제320호)과 북미륵암 마애불(보물 제48호), 북미륵암 삼층석탑(보물 301호)이 모두 나말여초의 것임을 보더라도 대둔사는 나말여초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8]

임진왜란 이후 서산대사(西山大師)가 의발(衣鉢)을 전하고부터 대둔사의 사세는 크게 일어났다.[9]

1665년(현종 6) 심수(心粹)가 대웅전을 중창하고, 1669년에는 표충사(表忠祠)를 건립하였으며, 1813년에는 불탄 천불전(千佛殿: 지방유형문화재 제48호)이 재건되었다.[10]

조선시대에는 억불(抑佛)의 탄압 속에서도 많은 인재를 길러 내어 의심(義諶)·삼우(三遇)·도안(道安)·문신(文信)·추붕(秋鵬) 등 13인의 대종사(大宗師)와 원오(圓悟)·광열(廣悅)·영우(永愚) 등 13인의 대강사(大講師)를 배출시킨 명찰이다.[11]

1998년 12월 23일 대둔산 대흥사 일원으로 지정되었다가 2009년 12월 21일 사적 제508호 해남 대흥사와 명승 제66호 두륜산 대흥사 일원으로 나뉘어 다시 지정되었다.[12]

한편, 사찰령 때 쌍봉사가 대흥사의 말사로 편입되기도 하였다.

해남 대흥사 초의매

대흥사 경내 숙정당 앞에는 수령 200년, 나무 높이 4.5m의 매화나무가 자라고 있다.[13]

우리나라에 차 문화를 보급한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가 심은 매화나무인데, 이 나무가 ‘초의매(草衣梅)’이다.[14]

지식 관계망

  • 해남 대흥사와 관련 있는 인물들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순 해남 대흥사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해남 대흥사 청허당 휴정대사비 해남 대흥사 A는 B에 있다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해남 대흥사 A는 B에 있다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 의발 등 유물 일괄 해남 대흥사 A는 B에 있다
해남 대흥사 청허당 휴정대사비 휴정 A는 B를 위한 비이다
해남 대흥사 청허당 서산대사탑 휴정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해남 대흥사 화순 쌍봉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04년 휴정이 자신의 의발을 이 절에 전한 후 크게 중창되었다.
1665년 대웅전을 중창하였다.
1669년 표충사를 건립하였다.
1813년 불탄 천불전이 재건되었다.
일제강점기 대둔사가 대흥사로 이름이 바꼈다.
1993년 다시 대둔사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1998년 대둔산 대흥사 일원으로 지정되었다.
2009년 사적 제508호 해남 대흥사와 명승 제66호 두륜산 대흥사 일원으로 나뉘어 다시 지정되었다.

주석

  1. 김위석, "해남 대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해남 대흥사", 『두산백과』online.
  3.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9.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0. "해남 대흥사", 『두산백과』online.
  11. "해남 대흥사", 『두산백과』online.
  12. "해남 대흥사", 『두산백과』online.
  13. 김현우, 『매화나무』, 이담북스, 2010. 온라인 참조: "해남 대흥사 초의매", 매화나무,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4. 김현우, 『매화나무』, 이담북스, 2010. 온라인 참조: "해남 대흥사 초의매", 매화나무,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해남 대흥사", 『두산백과』online.</ref>
  • 김위석, "해남 대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현우, 『매화나무』, 이담북스, 2010. 온라인 참조: "해남 대흥사 초의매", 매화나무,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대둔사(대흥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