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적 소재주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향토적 소재주의(鄕土的 素材主義) 일본의 관전(官展)을 따라 만들어진 조선미술전람회는 내용상으로도 일본의 그것과 다를 수 없었다....) |
(→유용한 정보)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향토적 소재주의 | + | {{개념정보 |
− | 일본의 관전(官展)을 따라 만들어진 | + | |사진= 민족팀_일러_화풍.png |
− | 이렇듯 식민지의 현실을 은폐하고 민족적 현실을 외면하도록 한 현실도피적인 소재의 그림들은 | + | |사진출처= |
+ | |대표명칭= 향토적 소재주의 | ||
+ | |한자표기= 鄕土的 素材主義 | ||
+ | |영문명칭= | ||
+ | |이칭= | ||
+ | |유형= | ||
+ | |관련개념= | ||
+ | }} | ||
+ | =='''정의'''== | ||
+ | 1930년대 계몽운동의 영향으로 한국미술에서 유행한 사조이다. | ||
+ | |||
+ | =='''내용'''== | ||
+ | ===[[조선미술전람회]]의 영향=== | ||
+ | 일본의 관전(官展)을 따라 만들어진 [[조선미술전람회|조선미술전람회(선전)]]는 내용상으로도 일본의 그것과 다를 수 없었다. 초기의 일부를 제외한 심사위원은 일본인 화가였으며 이들은 대부분 일본식 아카데미즘 화풍을 가졌다는 점에서 선전 출품작 역시 그들의 취향에 부합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br/> | ||
+ | 아울러 심사는 저항적인 내용을 배제하고 민족이나 역사, 현실에 대한 인식을 제한하는 수단이 되었다. 그리하여 다수의 출품작은 현실과 동떨어진 한가로운 도시의 일상이나 취미의 한 장면을 묘사하였다. 일본인의 이국적 취미에 따른 조선의 자연풍경 또한 실제의 삶과 무관한 목가적이고 평화로운 정경을 담은 이른바 향토적 소재주의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 ||
+ | |||
+ | ===현실도피적 소재=== | ||
+ | 이렇듯 식민지의 현실을 은폐하고 민족적 현실을 외면하도록 한 현실도피적인 소재의 그림들은 [[조선미술전람회|선전]]을 통한 성공의 수단이 되었다. 나아가 역사나 사회에 대한 인식을 외면하고 권위의식에 젖은 한국의 [[아카데미즘]]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결국 한국미술의 건강한 발전에 폐단으로 작용하였으며 예술과 예술가의 역할에 대한 표피적이고 왜곡된 인식을 낳게 하였다.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향토적 소재주의]]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향토적 소재주의]] || [[아카데미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유용한 정보=== | ||
+ | #웹 자원 | ||
+ | #* 김현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657 향토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
+ | [[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22일 (수) 13:43 기준 최신판
향토적 소재주의 (鄕土的 素材主義) |
|
대표명칭 | 향토적 소재주의 |
---|---|
한자표기 | 鄕土的 素材主義 |
정의
1930년대 계몽운동의 영향으로 한국미술에서 유행한 사조이다.
내용
조선미술전람회의 영향
일본의 관전(官展)을 따라 만들어진 조선미술전람회(선전)는 내용상으로도 일본의 그것과 다를 수 없었다. 초기의 일부를 제외한 심사위원은 일본인 화가였으며 이들은 대부분 일본식 아카데미즘 화풍을 가졌다는 점에서 선전 출품작 역시 그들의 취향에 부합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아울러 심사는 저항적인 내용을 배제하고 민족이나 역사, 현실에 대한 인식을 제한하는 수단이 되었다. 그리하여 다수의 출품작은 현실과 동떨어진 한가로운 도시의 일상이나 취미의 한 장면을 묘사하였다. 일본인의 이국적 취미에 따른 조선의 자연풍경 또한 실제의 삶과 무관한 목가적이고 평화로운 정경을 담은 이른바 향토적 소재주의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현실도피적 소재
이렇듯 식민지의 현실을 은폐하고 민족적 현실을 외면하도록 한 현실도피적인 소재의 그림들은 선전을 통한 성공의 수단이 되었다. 나아가 역사나 사회에 대한 인식을 외면하고 권위의식에 젖은 한국의 아카데미즘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결국 한국미술의 건강한 발전에 폐단으로 작용하였으며 예술과 예술가의 역할에 대한 표피적이고 왜곡된 인식을 낳게 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향토적 소재주의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향토적 소재주의 | 아카데미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웹 자원
- 김현숙, "향토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현숙, "향토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