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승탑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영문명칭= Stupa of Buddhist Monk Samyeong of Haeinsa Temple, Hapcheon |한자=(陜...)
 
(지식관계망)
31번째 줄: 31번째 줄: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사명대사 유정의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31/monk_samyeong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D031/stele_samyeong_haeinsa.htm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39번째 줄: 47번째 줄: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 [[유정]]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 [[유정]]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합천 해인사 홍제암]] || [[합천 해인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합천 해인사 홍제암]] || [[광해군]]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
 
|}
  

2017년 11월 21일 (화) 23:28 판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陜川 海印寺 弘濟庵 四溟大師塔)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영문명칭 Stupa of Buddhist Monk Samyeong of Haeinsa Temple, Hapcheon
한자 (陜川 海印寺 弘濟庵 四溟大師塔
주소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54, 홍제암 (치인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301호
문화재 지정일 2000년 9월 28일
소유자 해인사
관리자 홍제암
건립시대 조선시대
관련승려 유정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홍제암(弘濟庵)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사명대사 유정(惟政)의 승탑.

내용

홍제암은 사명대사가 수도하다가 세상을 떠난 곳으로 암자 이름은 사명대사 입적 후 광해군이 내린 ‘자통홍제존자’라는 시호에서 따온 것이다.[1]

홍제암의 북동쪽 약 20m 지점의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사명대사탑은 조선 후기를 대표할 수 있는 거대한 종 모양의 탑으로, 당당한 형태와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다. 기단은 하나의 돌로 2단을 이루었는데, 아랫단은 사각형이고 윗단은 둥근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그 위에 종 모양의 몸돌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탑의 꼭대기에는 연꽃 봉오리 모양의 보주(寶珠)를 올려 놓았다.[2]

주변에 있는 석장비와 함께 사명대사탑은 건립연대가 확실하여 다른 석조물의 연대추정에 근거를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양식적인 면에 있어서는 17세기 초반에 유행되던 석조미술의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3]

지식관계망

  • 사명대사 유정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합천 해인사 홍제암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유정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박경식,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