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 의복 반사도 (해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해독문안내 |해독자= 이민호 }} center {{옛한글해독 |원문1= 당져고리 ᄉᆡᆼ쵸(生綃)...)
 
(주석)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해독자= 이민호
 
|해독자= 이민호
 
}}
 
}}
[[file: 한글팀 왕실 의복 반사도01 표지.jpg|800xpx|center]]
+
[[file: 한글팀 왕실 의복 반사도02 앞면.jpg|800xpx|center]]
 
{{옛한글해독
 
{{옛한글해독
 
|원문1=   당져고리 ᄉᆡᆼ쵸(生綃)
 
|원문1=   당져고리 ᄉᆡᆼ쵸(生綃)
80번째 줄: 80번째 줄: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이혜영]]
+
[[분류:해독자료]]

2017년 11월 21일 (화) 21:05 기준 최신판

Pici.png

본 기사의 해독문 초안 작성자는 이민호입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한글팀 왕실 의복 반사도02 앞면.jpg
원문 해석문
당져고리 ᄉᆡᆼ쵸(生綃) 당저고리 생초
병인(丙寅) 계츈(季春) 쟈근져고리 뎌포(苧布) 반ᄉᆞ도(頒賜圖) 병인년 늦봄 작은저고리 저포 반사도
토듀(吐紬) 의ᄎᆞ(衣次) 토주 옷감
동길이 󰠓 각 쟈근져고리ᄎᆞ 오쳑 동길이 󰠓 각 작은저고리용 5척
󰠙 볼동이 [1]ᄎᆞ 이쳑 삼촌 󰠙 볼동이용 2척 3촌
필슌이 󰠓 각 쟈근져고리ᄎᆞ ᄉᆞ쳑 필순이 󰠓 각 작은저고리용 4척
종복이 󰠙 볼동이ᄎᆞ 이쳑 삼촌 종복이 󰠙 볼동이용 2척 3촌
봉보부인 [2] 󰠓 각 쟈근져고리ᄎᆞ 십이쳑 봉보부인 󰠓 각 작은저고리용 12척
아지 [3] 󰠙 볼동이ᄎᆞ 이쳑 삼촌 아지 󰠙 볼동이용 2척 3촌
침실 침실
샹궁 󰠓 상궁 󰠓
안샹궁 󰠛 토듀 십이쳑 안상궁 󰠛 토주 12척
안샹궁 󰠛 각 ᄉᆡᆼ쵸 십이쳑 안상궁 󰠛 각 생초 12척
김샹궁 󰠛 뎌포 십이쳑 김상궁 󰠛 저포 12척
엄샹궁 󰠙 엄상궁 󰠙
토듀 십이쳑 토주 12척
츄현이 ᄉᆡᆼ쵸 십이쳑 추현이 생초 12척
뎌포 십이쳑 저포 12척
슈현이 󰠓 토듀 팔쳑 수현이 󰠓 토주 8척
션현이 󰠛 각 ᄉᆡᆼ쵸 팔쳑 선현이 󰠛 각 생초 8척
ᄎᆡ현이 󰠙 뎌포 팔쳑 채현이 󰠙 저포 8척
토듀 십이쳑 토주 12척
냥ᄉᆡᆨ쟝(兩色掌) [4] 각 ᄉᆡᆼ쵸 십이쳑 두 색장 각 생초 12척
뎌포 십이쳑 저포 12척
토듀 십쳑 토주 10척
복념이 ᄉᆡᆼ쵸 십쳑 복념이 생초 10척
뎌포 십쳑 저포 10척
ᄎᆡ셕이 󰠓 토듀 팔쳑 채석이 󰠓 토주 8척
경셩이 󰠙 각 ᄉᆡᆼ쵸 팔쳑 경성이 󰠙 각 생초 8척
뎌포 팔쳑 저포 8척
아ᄒᆡ사ᄅᆞᆷ 십ᄉᆞ인 각 뎌포 오쳑 어린이 14인 각 저포 오가리솥척
봉보부인 󰠓 토듀 십이쳑 봉보부인 󰠓 토주 12척
아지 󰠙 각 ᄉᆡᆼ쵸 십이쳑 아지 󰠙 각 생초 12척
뎌포 십이쳑 저포 12척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

  1. 미상. ‘볼’을 ‘동이는 것’으로 풀이되며, 너울, 쓰개치마 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됨.
  2. 봉보부인 : 왕의 유모에게 내린 종1품 작호.
  3. 아지 : 유모.
  4. ᄉᆡᆨ쟝 : 색장. 조선 시대 궁중에서 임금, 왕비, 왕세자 등을 시중들던 궁녀(宮女). 색장나인이라 칭하기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