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부여 보광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지식 관계망)
28번째 줄: 28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충감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5/stele_chunggam_bogwa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2017년 11월 21일 (화) 09:35 판

부여 보광사
(扶餘 普光寺)
대표명칭 부여 보광사
한자 扶餘 普光寺
주소 충남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 618-1번지 외 19필지
관리자 부여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있었던 절.

내용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의 비문에 따르면 보광사는 1336년(충숙왕 5) 원명국사 충감(圓明國師 冲鑑)이 중건했다고 전한다.[1] 비문의 후면에는 임진왜란으로 절이 소실되자 1750년(영조 26)에 승려들이 비문을 다시 새겼다고 전하고 있어, 적어도 보광사가 임진왜란 무렵까지는 맥을 이어왔던 것으로 추정한다.[2]

관련 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충감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부여 보광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부여 보광사 충감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부여 보광사지 부여 보광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36년 충감부여 보광사를 중창하였다
1995년 부여 보광사지가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주석

  1. 서오선, "부여보광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 서오선, "부여보광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