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고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중국으로 유학) |
(→지식 관계망)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기획기사보기| | ||
+ | |기획기사=[[고려 태고가 원 석옥에게]] | ||
+ | }} | ||
{{승려정보 | {{승려정보 | ||
|사진=BHST Beopjusa Bou.jpg | |사진=BHST Beopjusa Bou.jpg | ||
4번째 줄: | 7번째 줄: | ||
|대표명칭=보우 | |대표명칭=보우 | ||
|한자=普愚 | |한자=普愚 | ||
− | |생년= | + | |생년=1301년 |
− | |몰년= | + | |몰년=1382년 |
|시호=원증(圓證) | |시호=원증(圓證) | ||
|호=태고(太古) | |호=태고(太古) | ||
16번째 줄: | 19번째 줄: | ||
|속명= | |속명= | ||
|출신지=홍주(洪州: 현재 충청남도 홍성) | |출신지=홍주(洪州: 현재 충청남도 홍성) | ||
− | |승탑=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 | |승탑=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사나사원증국사탑]] |
− | |승탑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 | |승탑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 |
− | |||
}} | }} | ||
=='''정의'''== | =='''정의'''== | ||
− | 고려시대의 승려 | + | 고려시대의 승려. |
=='''생애'''== | =='''생애'''== | ||
===가계와 탄생=== | ===가계와 탄생=== | ||
− | 태고 보우는 1301년(충렬왕 27년) | + | 태고 보우는 1301년([[고려 충렬왕|충렬왕]] 27년) 충청남도 홍주(洪州, 현재의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홍주(洪州). 속성은 홍씨(洪氏). 첫 법명은 보허(普虛)이고 호는 태고(太古). 법명은 보우(普愚). 아버지는 홍연(洪延)이며,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다. <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475 보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Blockquote|국사의 휘는 보우(普愚)요 호는 태고(太古)이며 속성은 홍씨(洪氏)이니 충남 홍주(洪州) 출신이다. 아버지의 휘는 연(延)이니,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 + | {{Blockquote|국사의 휘는 보우(普愚)요 호는 태고(太古)이며 속성은 홍씨(洪氏)이니 충남 홍주(洪州) 출신이다. 아버지의 휘는 연(延)이니,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상주국(上柱國) 문하시중(門下侍中) 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 홍양공(洪陽公)에 추증(追贈)되었다.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니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추증되었다. 부인이 어느 날 밤 태양이 가슴으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임신하여 대덕(大德) 5년 신축(辛丑) 9월 21일에 스님을 낳았다. 스님은 성동(成童)의 나이에도 영오(穎悟)함이 남달리 뛰어났다.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 ||
− | === | + | ===출가 수행=== |
− | {{Blockquote|13살 때 회암사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은사로 하여 스님이 되었다. 19살 적부터 만법귀일(萬法歸一)이언만 일귀하처화(一歸何處話)를 들어 참선하였다 | + | 태고 보우는 13세 때 [[양주 회암사]]의 [[광지|광지선사(廣智禪師)]]를 스승으로 하여 득도했다. 19세 때 가지산 업림에서 만법귀일(萬法歸一)의 설두로 선지를 참구했으나 대중은 아무도 그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26세에 화엄선에 합격하고 경전을 두루 연구하여 그 뜻을 깊이 각인했다.<ref>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3쪽</ref> |
−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 + | {{Blockquote|13살 때 회암사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은사로 하여 스님이 되었다. 19살 적부터 만법귀일(萬法歸一)이언만 일귀하처화(一歸何處話)를 들어 참선하였다. |
+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 ||
− | === | + | ===구법 유학=== |
+ | 태고 보우는 46세떄에 중국으로 건너가 약 2년 동안 행류(行遊)하는 가운데 원나라 황제에게 우대 받아 두 차례 법회를 주관했다. 또한 임제선사의 18대손으로 부터 당시 중국에서 으뜸가는 [[청공|석옥(石屋) 청공선사(淸珙禪師)]]를 만나 심계를 얻었다. 보우는 연경의 대관사에서 [[원 순제|순제]]의 청으로 『[[반약경]]』을 강의한다. <ref>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6-27쪽.</ref> 이때 명성이 높아져 원나라 태자의 생일을 맞아, 영녕사에서 개당설법하니 원 황실에서 보우에게 향과 폐백과 금란가사를 증정했다. 이때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세자로 연경에 와 있었는데 감탄하여 말하기를 "내가 만약 고려에 돌아가 친정을 도모하게 되면 스님을 나의 스승으로 모시리라" 하였다. 이러한 [[고려 공민왕|공민왕]]과의 만남은 후일 보우가 [[왕사]]와 [[국사]]의 자리에 오르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ref>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2쪽.</ref> | ||
{{Blockquote|지정(至正) 병술년(丙戌年)에 스님의 나이 46세 때 원(元)나라 연도(燕都)로 입원유학(入元遊學)하였다. | {{Blockquote|지정(至正) 병술년(丙戌年)에 스님의 나이 46세 때 원(元)나라 연도(燕都)로 입원유학(入元遊學)하였다. | ||
44번째 줄: | 48번째 줄: | ||
===귀국 및 활동=== | ===귀국 및 활동=== | ||
− | ==== | + | ====왕사로 임명되다==== |
+ | 1356년 왕의 청으로 [[서울 봉은사|봉은사(奉恩寺)]]에서 설법했고, 그해 4월 [[왕사|왕사(王師)]]로 책봉되어 [[개성 광명사|광명사(廣明寺)]]에 머물렀다. 1362년 왕은 그를 희양산 [[문경 봉암사|봉암사(鳳巖寺)]]에 머물게 했고, 1363년 가지산 [[장흥 보림사|보림사(寶林寺)]]로 옮기게 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475 보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Blockquote|임진년(壬辰年) 여름 현릉(玄陵)께서 스님을 왕도(王都)로 맞이하여 모시려 하였으나, 응하지 않자 재차 사신을 보내오므로 스님은 하는 수 없이 나아가서 잠시 있다가 그 해 가을 고사(固辭)하고 산으로 돌아갔는데, ... (중략)... 병신년(丙申年) 3월 나라에서 스님을 청하여 봉은사(奉恩寺)에서 법회(法會)를 열었는 바, 전국의 선사와 강사가 함께 수없이 모였다. 현릉(玄陵)도 친히 법회에 임석하여 만수가사(滿綉袈裟)와 수정념주(水精念珠)와 기타 복용물(服用物) 등을 헌납하였고, 스님께서 법상에 올라 앉아 종지(宗旨)를 천양하였다. ...(중략)... 4월 24일 왕사(王師)로 책봉하고 광명사(廣明寺)에 원융부(圓融府)를 설치하여 정3품직 장관(長官)을 두어 선문구산(禪門九山)을 일종(一宗)으로 통합하려 하였으니, 스님을 존숭(尊崇)함이 지극함을 보인 것이다. 광명사에 있다가 이듬해에 왕사직(王師職)을 사양하였으나, 왕(王)이 윤허(允許)하지 않으므로 마침내 스님은 밤을 이용하여 왕성(王城)을 빠져나와 산중으로 은둔하였다. 현릉(玄陵)이 스님의 확고한 뜻을 움직일 수 없음을 알고 법복(法服)·인장(印章) 등을 모두 스님의 처소로 되돌려 보냈다. 임인년(壬寅年) 가을 양산사(陽山寺)에 주지하도록 청하였으며, 계묘년(癸卯年) 봄에는 가지사(迦智寺)의 주지를 맡도록 청하므로, 스님은 모두 왕명에 따랐다. | {{Blockquote|임진년(壬辰年) 여름 현릉(玄陵)께서 스님을 왕도(王都)로 맞이하여 모시려 하였으나, 응하지 않자 재차 사신을 보내오므로 스님은 하는 수 없이 나아가서 잠시 있다가 그 해 가을 고사(固辭)하고 산으로 돌아갔는데, ... (중략)... 병신년(丙申年) 3월 나라에서 스님을 청하여 봉은사(奉恩寺)에서 법회(法會)를 열었는 바, 전국의 선사와 강사가 함께 수없이 모였다. 현릉(玄陵)도 친히 법회에 임석하여 만수가사(滿綉袈裟)와 수정념주(水精念珠)와 기타 복용물(服用物) 등을 헌납하였고, 스님께서 법상에 올라 앉아 종지(宗旨)를 천양하였다. ...(중략)... 4월 24일 왕사(王師)로 책봉하고 광명사(廣明寺)에 원융부(圓融府)를 설치하여 정3품직 장관(長官)을 두어 선문구산(禪門九山)을 일종(一宗)으로 통합하려 하였으니, 스님을 존숭(尊崇)함이 지극함을 보인 것이다. 광명사에 있다가 이듬해에 왕사직(王師職)을 사양하였으나, 왕(王)이 윤허(允許)하지 않으므로 마침내 스님은 밤을 이용하여 왕성(王城)을 빠져나와 산중으로 은둔하였다. 현릉(玄陵)이 스님의 확고한 뜻을 움직일 수 없음을 알고 법복(法服)·인장(印章) 등을 모두 스님의 처소로 되돌려 보냈다. 임인년(壬寅年) 가을 양산사(陽山寺)에 주지하도록 청하였으며, 계묘년(癸卯年) 봄에는 가지사(迦智寺)의 주지를 맡도록 청하므로, 스님은 모두 왕명에 따랐다. |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60-462쪽.}}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60-462쪽.}} | ||
====신돈과의 악연==== | ====신돈과의 악연==== | ||
+ | 보우는 [[장흥 보림사|가지사(迦智寺, 장흥 보림사)]]로 옮겼을 때 [[고려 공민왕|공민왕]]에게 [[신돈]]을 가까이 하지 말라고 상소하기도 하였다. 3년 후 66세가 되던 겨울, [[신돈]]의 일로 인장을 보내고 [[왕사]]를 사임했다. 이후 68세가 되던 1368년 여름, [[신돈]]에 의해 [[보은 법주사|속리사(俗離寺, 보은 법주사)]]에 금고되었다가 69세 3월 소설산(小雪山)으로 돌아왔다.<ref>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5쪽.</ref> | ||
{{Blockquote|병오년(丙午年) 10월에 또 왕사직(王師職)의 사임서를 인장(印章)과 함께 보내면서 깊은 산중에서 임성양진(任性養眞)하도록 허락을 간청하였다. 현릉(玄陵)이 윤허하였으니 이는 간특한 신돈(辛旽)이 권세를 마음대로 부렸기 때문이었다. '''...(중략)...''' 신돈은 보우가 마치 눈엣가시와 같아 그를 사지(死地)로 몰아 넣으려고 백계(百計)를 꾸몄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후 스님이 강절(江浙) 지방인 해외로 가서 유학코자 하니, 신돈이 현릉(玄陵)에게 고하기를 “태고(太古)는 폐하(陛下)의 총은(寵恩)을 입음이 지극하옵니다. 앞으로 편안하고 조용하게 노기(老期)를 보내는 것이 그가 해야할 도리입니다. 이제 멀리 해외로 유학(遊學)하려 함은 반드시 다른 의도(意圖)가 있어서이니 청하옵건대 폐하(陛下)께서는 통찰하여 주십시오” 하였는데, 그 말이 매우 위급하게 느껴져서 현릉(玄陵)은 하는 수 없이 따랐다. 그리하여 신돈(辛旽)은 그 일을 형조에 내려 추문(推問)하여 신문토록 하여 스님의 좌우(左右)에 있는 이들을 무복(誣服)케 하고는 스님을 속리사(俗離寺)에 금고(禁錮)시켰다.기유년(己酉年) 3월에 이르러 현릉(玄陵)이 스님을 금고(禁錮)한 것을 후회하고 소설암(小雪庵)으로 돌아오도록 청하였다 | {{Blockquote|병오년(丙午年) 10월에 또 왕사직(王師職)의 사임서를 인장(印章)과 함께 보내면서 깊은 산중에서 임성양진(任性養眞)하도록 허락을 간청하였다. 현릉(玄陵)이 윤허하였으니 이는 간특한 신돈(辛旽)이 권세를 마음대로 부렸기 때문이었다. '''...(중략)...''' 신돈은 보우가 마치 눈엣가시와 같아 그를 사지(死地)로 몰아 넣으려고 백계(百計)를 꾸몄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후 스님이 강절(江浙) 지방인 해외로 가서 유학코자 하니, 신돈이 현릉(玄陵)에게 고하기를 “태고(太古)는 폐하(陛下)의 총은(寵恩)을 입음이 지극하옵니다. 앞으로 편안하고 조용하게 노기(老期)를 보내는 것이 그가 해야할 도리입니다. 이제 멀리 해외로 유학(遊學)하려 함은 반드시 다른 의도(意圖)가 있어서이니 청하옵건대 폐하(陛下)께서는 통찰하여 주십시오” 하였는데, 그 말이 매우 위급하게 느껴져서 현릉(玄陵)은 하는 수 없이 따랐다. 그리하여 신돈(辛旽)은 그 일을 형조에 내려 추문(推問)하여 신문토록 하여 스님의 좌우(左右)에 있는 이들을 무복(誣服)케 하고는 스님을 속리사(俗離寺)에 금고(禁錮)시켰다.기유년(己酉年) 3월에 이르러 현릉(玄陵)이 스님을 금고(禁錮)한 것을 후회하고 소설암(小雪庵)으로 돌아오도록 청하였다 |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60-462쪽.}}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60-462쪽.}} | ||
===입적=== | ===입적=== | ||
− | {{Blockquote|신유년(辛酉年) 겨울 양산사(陽山寺)로 옮겨 입원(入院)하는 날에 우왕(禑王)이 다시 국사(國師)로 책봉하였으니, 선군(先君)의 뜻을 따른 것이다. 임술년(壬戌年)여름 소설암(小雪庵)으로 돌아와 그 해 12월 17일 미질(微疾)을 느끼게 되었다. 23일에 이르러 문인(門人)을 불러 앉히고 이르기를 “내일 유시(酉時)에 나는 떠날 것이니 지군(知郡)에게 청하여 국사의 인장(印章)과 구점(口占)으로 남긴 사세장(辭世狀) 수통(數通)등을 봉하여 임금께 전달하라”고 당부하였다. 때가 다가옴에 목욕하고 옷을 갈아 입은 다음 단정히 앉아 임종게(臨終偈) 사구(四句)를 설하고, 그 소리가 끝나자마자 조용히 입적(入寂)하였다. 부음을 우왕(禑王) 임금에게 아뢰니, 임금이 심히 진도(震悼)하였다. | + | 보우는 71세에 [[국사]]로 책봉되고 81세에 [[고려 우왕|우왕]]에게 재차 [[국사]]로 책봉되는 등 [[왕사]]로 16년, 그리고 [[국사]]로 12년 동안 봉직한다. 이후 1382년 그의 나이 82세, 법랍 69세가 되던 1382년에 소설암에서 입적한다. 다음해 1월 12일에 화장하니 헤아릴 수도 없는 사리가 나왔다고 한다.<ref>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5-36쪽.</ref> |
+ | {{Blockquote|신유년(辛酉年, 1381) 겨울 양산사(陽山寺)로 옮겨 입원(入院)하는 날에 우왕(禑王)이 다시 국사(國師)로 책봉하였으니, 선군(先君)의 뜻을 따른 것이다. 임술년(壬戌年, 1382)여름 소설암(小雪庵)으로 돌아와 그 해 12월 17일 미질(微疾)을 느끼게 되었다. 23일에 이르러 문인(門人)을 불러 앉히고 이르기를 “내일 유시(酉時)에 나는 떠날 것이니 지군(知郡)에게 청하여 국사의 인장(印章)과 구점(口占)으로 남긴 사세장(辭世狀) 수통(數通)등을 봉하여 임금께 전달하라”고 당부하였다. 때가 다가옴에 목욕하고 옷을 갈아 입은 다음 단정히 앉아 임종게(臨終偈) 사구(四句)를 설하고, 그 소리가 끝나자마자 조용히 입적(入寂)하였다. 부음을 우왕(禑王) 임금에게 아뢰니, 임금이 심히 진도(震悼)하였다. | ||
+ | 계해년(癸亥年) 1월 12일 향목(香木)을 하사하여 화장하였다. 그 날 밤 광명(光明)이 하늘에 뻗쳤고 사리의 수도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 그 중 100과를 내전(內殿)의 임금에게 올리니, 이로 말미암아 임금은 더욱 경중(敬重)하시고 유사(攸司)에 명하여 시호를 원증(圓證)이라 하고 탑을 중흥사(重興寺)의 동쪽 봉우리에 세우고, 보월승공탑(寶月昇空塔)이라 이름하였다. 석종(石鍾)을 만들어 사리를 진장(鎭藏)한 것이 무려 세 곳이니, 가은(加恩)의 양산사(陽山寺)와 양근(楊根)의 사나사(舍那寺)와 이 절 부도(浮圖) 옆에 서있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석탑(石塔)으로 만들어 조장(厝藏)한 곳은 미원현(迷源縣)의 소설암(小雪庵)이다. |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60-462쪽.}}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60-462쪽.}} | ||
− | ==''' | + | =='''지식 관계망'''== |
+ | *'''원증국사 보우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1/monk_bou.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보우]]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 | ||
+ | | [[사나사원증국사탑]]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 | ||
+ | |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 + | | [[청공]] || [[보우(고려)]]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 | | [[보우(고려)]] || [[고려 공민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보우]] || [[ | + | | [[보우(고려)]] || [[신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고양 태고사]] || [[보우(고려)]]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보우]] || [[ | + | | [[보우(고려)]] || [[장흥 보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보우]] || [[ | + | | [[보우(고려)]] || [[소설암]]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보우(고려)]] || [[보은 법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태고화상어록]]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태고암가]]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양평 사나사]] || [[보우(고려)]]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 |||
+ | =='''시각자료'''== | ||
+ | |||
+ | ===가상현실=== | ||
+ | |||
+ | ===갤러리=== | ||
+ | |||
+ | ===영상=== | ||
+ | *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https://www.youtube.com/watch?v=NJnrrdSANmo BTN뉴스 태고종, 태고문화축제], Youtube, 게시일: 2015. 11. 1.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NJnrrdSANm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empiricalalchemist, [https://www.youtube.com/watch?v=gVDinIvpQzU 윤홍식의 큰스님 시리즈 #02 - 태고국사 보우], Youtube, 게시일: 2013. 3. 12.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gVDinIvpQzU"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475 보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서정문, 「太古普愚의 禪風에 관한 硏究」, 『中央增伽大學論文集』, 중앙승가대학교, 1994, 7-31쪽. | * 서정문, 「太古普愚의 禪風에 관한 硏究」, 『中央增伽大學論文集』, 중앙승가대학교, 1994, 7-31쪽. |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
91번째 줄: | 134번째 줄: | ||
* 황인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3373 36. 태고보우 선사]", 불교신문, 2007.10.10. | * 황인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3373 36. 태고보우 선사]", 불교신문, 2007.10.10. | ||
* 허정철,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6611 ⑪ 태고 보우국사-한국불교 대선사의 풍모 '장엄']", 불교신문, 2008.03.19. | * 허정철,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6611 ⑪ 태고 보우국사-한국불교 대선사의 풍모 '장엄']", 불교신문, 2008.03.19. | ||
− | |||
− | |||
− | |||
− | |||
− | |||
−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103번째 줄: | 140번째 줄: | ||
[[분류:승려]] | [[분류:승려]] | ||
[[분류:고려]] | [[분류:고려]]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21일 (화) 09:08 기준 최신판
특별기고: 고려 태고가 원 석옥에게 |
보우(普愚) | |
대표명칭 | 보우 |
---|---|
한자 | 普愚 |
생몰년 | 1301년-1382년 |
시호 | 원증(圓證) |
호 | 태고(太古) |
휘 | 보우(普愚) |
탑호 | 보월승공(寶月昇空) |
성씨 | 홍씨(洪氏) |
본관 | 홍주(洪州) |
출신지 | 홍주(洪州: 현재 충청남도 홍성) |
승탑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사나사원증국사탑 |
승탑비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 |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생애
가계와 탄생
태고 보우는 1301년(충렬왕 27년) 충청남도 홍주(洪州, 현재의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홍주(洪州). 속성은 홍씨(洪氏). 첫 법명은 보허(普虛)이고 호는 태고(太古). 법명은 보우(普愚). 아버지는 홍연(洪延)이며,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다. [1]
출가 수행
태고 보우는 13세 때 양주 회암사의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스승으로 하여 득도했다. 19세 때 가지산 업림에서 만법귀일(萬法歸一)의 설두로 선지를 참구했으나 대중은 아무도 그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26세에 화엄선에 합격하고 경전을 두루 연구하여 그 뜻을 깊이 각인했다.[2]
13살 때 회암사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은사로 하여 스님이 되었다. 19살 적부터 만법귀일(萬法歸一)이언만 일귀하처화(一歸何處話)를 들어 참선하였다. | ||
출처: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
구법 유학
태고 보우는 46세떄에 중국으로 건너가 약 2년 동안 행류(行遊)하는 가운데 원나라 황제에게 우대 받아 두 차례 법회를 주관했다. 또한 임제선사의 18대손으로 부터 당시 중국에서 으뜸가는 석옥(石屋) 청공선사(淸珙禪師)를 만나 심계를 얻었다. 보우는 연경의 대관사에서 순제의 청으로 『반약경』을 강의한다. [3] 이때 명성이 높아져 원나라 태자의 생일을 맞아, 영녕사에서 개당설법하니 원 황실에서 보우에게 향과 폐백과 금란가사를 증정했다. 이때 공민왕이 세자로 연경에 와 있었는데 감탄하여 말하기를 "내가 만약 고려에 돌아가 친정을 도모하게 되면 스님을 나의 스승으로 모시리라" 하였다. 이러한 공민왕과의 만남은 후일 보우가 왕사와 국사의 자리에 오르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4]
귀국 및 활동
왕사로 임명되다
1356년 왕의 청으로 봉은사(奉恩寺)에서 설법했고, 그해 4월 왕사(王師)로 책봉되어 광명사(廣明寺)에 머물렀다. 1362년 왕은 그를 희양산 봉암사(鳳巖寺)에 머물게 했고, 1363년 가지산 보림사(寶林寺)로 옮기게 했다.[5]
신돈과의 악연
보우는 가지사(迦智寺, 장흥 보림사)로 옮겼을 때 공민왕에게 신돈을 가까이 하지 말라고 상소하기도 하였다. 3년 후 66세가 되던 겨울, 신돈의 일로 인장을 보내고 왕사를 사임했다. 이후 68세가 되던 1368년 여름, 신돈에 의해 속리사(俗離寺, 보은 법주사)에 금고되었다가 69세 3월 소설산(小雪山)으로 돌아왔다.[6]
입적
보우는 71세에 국사로 책봉되고 81세에 우왕에게 재차 국사로 책봉되는 등 왕사로 16년, 그리고 국사로 12년 동안 봉직한다. 이후 1382년 그의 나이 82세, 법랍 69세가 되던 1382년에 소설암에서 입적한다. 다음해 1월 12일에 화장하니 헤아릴 수도 없는 사리가 나왔다고 한다.[7]
지식 관계망
- 원증국사 보우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사나사원증국사탑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청공 | 보우(고려)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보우(고려) | 고려 공민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우(고려) | 신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고양 태고사 | 보우(고려)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보우(고려) | 장흥 보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보우(고려) | 소설암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보우(고려) | 보은 법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태고화상어록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태고암가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양평 사나사 | 보우(고려)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BTN뉴스 태고종, 태고문화축제, Youtube, 게시일: 2015. 11. 1.
- empiricalalchemist, 윤홍식의 큰스님 시리즈 #02 - 태고국사 보우, Youtube, 게시일: 2013. 3. 12.
주석
- ↑ 김위석, "보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3쪽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6-27쪽.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2쪽.
- ↑ 김위석, "보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5쪽.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5-36쪽.
참고문헌
- 김위석, "보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서정문, 「太古普愚의 禪風에 관한 硏究」, 『中央增伽大學論文集』, 중앙승가대학교, 1994, 7-31쪽.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450-472쪽.
- 최연식, 「신돈(辛旽)의 불교 신앙과 불교 정책」, 『불교학보』 86,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267-291쪽.
- 한기두, 「太古 普愚 硏究」, 『원광대학교 논문집』, 1973, 83-105쪽.
- 황인규, "36. 태고보우 선사", 불교신문, 2007.10.10.
- 허정철, "⑪ 태고 보우국사-한국불교 대선사의 풍모 '장엄'", 불교신문, 200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