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도암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헌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도암집 |한자표기= 陶庵集 |영문명칭= |이칭= |유형= |저자= 이재 |역자= |편자= 이재의 후손...)
 
(참고문헌)
58번째 줄: 58번째 줄: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헌]]
 
[[분류:문헌]]
 
[[분류:문헌]]

2017년 11월 20일 (월) 19:32 판

도암집(陶庵集)
대표명칭 도암집
한자표기 陶庵集
저자 이재
편자 이재의 후손들
간행시기 1854년
간행인 이재의 후손들
시대 조선
수량 50권 25책
판본 목활자본
소장처 규장각, 고려대학교도서관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재(李縡)의 시문집.

내용

1∼4권은 시, 5∼7권은 소 ·계가 있다. '입성후진소회소(入城後陳所懷疏)'는 경종(景宗)이 사망한 직후 도성에 들어와 올린 글이다. 저자는 ‘임금은 후사(後嗣)가 없으면 아우가 후사가 된다’는 고례를 거론함으로써 영조의 정통성을 인정하고 있다. 아울러 왕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1]

4권은 서(書)와 기 ·발이 있다. 서계는 1708년(숙종 34) 평안도어사로 있을 때 올린 글이다. 서계의 내용은 인재 수습 ·민폐 ·변경의 군사 문제(邊事) 등을 다루고 있다.[2] 서(書)는 대부분 학문적 입장과 업적을 알 수 있는 기본 자료로써, 안부나 의례적인 수미(首尾)의 번거로운 수식을 하지 않고 학문과 시사(時事)에 관한 요점만 진술하는 데 주력하였다. 서한의 대상은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유척기(兪拓基)에게 보낸 30여 통을 비롯해 그의 외숙 민진후(閔鎭厚)에게 20여 통, 그리고 제자 민우수(閔遇洙)·박성원(朴聖源)·이인석(李仁錫)·최우(崔祐)·임성주(任聖周) 등에게 보낸 서한인데, 인물성상이론(人物性相異論)에 대한 질의와 답변 형식으로 편집되어 있다.[3]

25권은 잡저이다. '심곡서원학규(深谷書院學規)'는 학습의 요체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잘 드러내고 있다. 내용은 독서의 순서, 원임(院任)과 원생(院生)에 대한 규정, 서원의 기능과 운영 및 원생이 지켜야 할 도리 등이 정리되어 있다.[4]

26권은 교서와 상량문 ·잠명 ·고축문 ·제문 ·애사가 있다. 27∼46권은 묘비문이, 47∼50권은 시장(諡狀)과 행장이 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도암집 이재 A는 B가 저술하였다 A ekc:writer B

주석

  1. "도암집", 『두산백과』online.
  2. "도암집", 『두산백과』online.
  3. "도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도암집", 『두산백과』online.
  5. "도암집",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도암집", 『두산백과』online.
    • "도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