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 + |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국가산업단지이다. |
=='''내용'''== | =='''내용'''== |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핵심사업으로 1962년 2월 울산공업센터의 기공식을 계기로 1966년까지 공장 부지 등 지원 시설의 착수가 이루어졌다. 1967년 7월 지역 확장 공고를 통하여 울산정유공장이 확장되어 석유화학공업단지로 선정되었다.<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70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핵심사업으로 1962년 2월 울산공업센터의 기공식을 계기로 1966년까지 공장 부지 등 지원 시설의 착수가 이루어졌다. 1967년 7월 지역 확장 공고를 통하여 울산정유공장이 확장되어 석유화학공업단지로 선정되었다.<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70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 1971년까지 21개의 대규모 공장이 장생포·여천지구에 건설되었으며, 간접자본시설이 부분적으로 완공되었다. 1972년부터 1976년까지는 염포·미포지구의 자동차 및 조선공업이 본격 건설, | + | 1971년까지 21개의 대규모 공장이 장생포·여천지구에 건설되었으며, 간접자본시설이 부분적으로 완공되었다. 1972년부터 1976년까지는 염포·미포지구의 자동차 및 조선공업이 본격 건설, 가동되면서 효문지구에 부품 및 계열 공장도 일부 건설, 가동되었다.<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70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이에 따라 1987년부터 울산공단의 주도 공업이 석유화학공업에서 자동차 및 조선공업 중심의 기계장치공업으로 변화되었다. 그 뒤 1991년 1월 공업 배치 및 공장 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울산미포국가공업단지]]로 | + | 이에 따라 1987년부터 울산공단의 주도 공업이 석유화학공업에서 자동차 및 조선공업 중심의 기계장치공업으로 변화되었다. 그 뒤 1991년 1월 공업 배치 및 공장 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울산미포국가공업단지]]로 불리다가 1996년 1월 [[한국산업단지공단]]으로 통합되었다.<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70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단지 현황=== | ===단지 현황=== | ||
− | 공단 조성 개발 과정 및 계열 공장의 집적 과정, 업종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여수지구, 매암지구, 용연지구, 효문지구, | + | 공단 조성 개발 과정 및 계열 공장의 집적 과정, 업종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여수지구, 매암지구, 용연지구, 효문지구, 미포지구 등 6개 지구로 구분된다. 1996년 현재 단지의 총 규모는 4,616만 1000㎡이며 이 가운데 공장 용지는 2,916만 8,000㎡, 공공 시설은 1,699만 3000㎡로 구성되어 있다.<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70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단지내 지구현황=== | ===단지내 지구현황=== | ||
− | 석유화학공업단지는 화학섬유를 비롯한 화학공업의 원료를 | + | 석유화학공업단지는 화학섬유를 비롯한 화학공업의 원료를 국산화한다는 목표 아래 1966년 12월 개발 계획을 확정하고 1971년 공장을 착공하여 1972년 10월에 준공하였다. 1996년 현재 이 단지의 총 규모는 393만 2,000㎡이며, 이 중 공장 용지는 324만 2,000㎡이고, 공공 용지는 69만㎡이다.<ref>박양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470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77번째 줄: | 77번째 줄: | ||
#* 김종경, "[http://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704 울산공단 50년 ⑧ 석유화학단지·현대자동차·중공업]", 『울산신문』, 2011년 06월 29일. | #* 김종경, "[http://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704 울산공단 50년 ⑧ 석유화학단지·현대자동차·중공업]", 『울산신문』, 2011년 06월 29일.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분류:민족/교열요청2]]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분류:민족/교열요청2]][[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20일 (월) 15:54 판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蔚山石油化學工業團地) | |
대표명칭 |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
---|---|
한자표기 | 蔚山石油化學工業團地 |
유형 | 산업단지 |
주소 | 울산광역시 남구 |
관련단체 | 한국산업단지공단 |
정의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국가산업단지이다.
내용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핵심사업으로 1962년 2월 울산공업센터의 기공식을 계기로 1966년까지 공장 부지 등 지원 시설의 착수가 이루어졌다. 1967년 7월 지역 확장 공고를 통하여 울산정유공장이 확장되어 석유화학공업단지로 선정되었다.[1]
1971년까지 21개의 대규모 공장이 장생포·여천지구에 건설되었으며, 간접자본시설이 부분적으로 완공되었다. 1972년부터 1976년까지는 염포·미포지구의 자동차 및 조선공업이 본격 건설, 가동되면서 효문지구에 부품 및 계열 공장도 일부 건설, 가동되었다.[2]
이에 따라 1987년부터 울산공단의 주도 공업이 석유화학공업에서 자동차 및 조선공업 중심의 기계장치공업으로 변화되었다. 그 뒤 1991년 1월 공업 배치 및 공장 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울산미포국가공업단지로 불리다가 1996년 1월 한국산업단지공단으로 통합되었다.[3]
단지 현황
공단 조성 개발 과정 및 계열 공장의 집적 과정, 업종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여수지구, 매암지구, 용연지구, 효문지구, 미포지구 등 6개 지구로 구분된다. 1996년 현재 단지의 총 규모는 4,616만 1000㎡이며 이 가운데 공장 용지는 2,916만 8,000㎡, 공공 시설은 1,699만 3000㎡로 구성되어 있다.[4]
단지내 지구현황
석유화학공업단지는 화학섬유를 비롯한 화학공업의 원료를 국산화한다는 목표 아래 1966년 12월 개발 계획을 확정하고 1971년 공장을 착공하여 1972년 10월에 준공하였다. 1996년 현재 이 단지의 총 규모는 393만 2,000㎡이며, 이 중 공장 용지는 324만 2,000㎡이고, 공공 용지는 69만㎡이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여수지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매암지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용연지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용연지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미포지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한국산업단지공단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107호-울산 공업단지 동정, YouTube, 작성일: 1976년 11월 08일.
주석
- ↑ 박양춘,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양춘,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양춘,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양춘,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양춘,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박양춘,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김종경, "울산공단 50년 ⑧ 석유화학단지·현대자동차·중공업", 『울산신문』, 2011년 06월 29일.
- 박양춘,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