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할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복식구성)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조선시대 왕실 혼례시 비빈(妃嬪:왕이나 왕위 계승자와 혼례를 올린 여성), 상궁(尙宮), 시녀(侍女), 유모(乳母)가 착용하는 예복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75쪽.</ref>
+
조선의 왕실 혼례시 [[왕비]]나 [[왕세자빈]], [[상궁|상궁(尙宮)]], [[시녀|시녀(侍女)]], [[유모|유모(乳母)]]가 착용하는 옷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75쪽.</ref>
  
==내용==
+
=='''내용'''==
===복식 세부===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에는 [[왕세자빈]] 어머니가 착용하는 아청색 필단 [[할의]]가 나오고, [[혜경궁 홍씨]]가 지은 [[한중록|『한중록』]]에는 '모친이 [[원삼]]을 입고 [[큰머리]]를 얹었다.'고 기록하여 [[원삼]]과 [[할의]]가 같은 옷임을 알 수 있다. [[할의]]는 ‘큰옷’이라는 의미를 가진 이두어 표기법이다. [[원삼]] 또한 큰옷[大衣]이라고도 하였기 때문에 [[할의]]와 [[원삼]]은 동일한 의복에 대한 다른 표기일 수 있다.<ref>김소현,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服飾』59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9, 105쪽.</ref> [[할의]]의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으나 후에 [[원삼]]의 형태와 같아진 것으로 보아, 현재 전해지고 있는 [[궁녀]]의 포(袍)류 중에 소매가 넓은 [[원삼]]이 있는데 [[할의]]도 이와 비슷한 형태일 것으로 보고 있다.<ref>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90쪽.</ref>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550px>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세부명칭_할의(브루클린).jpg|할의. 브루클린박물관 소장.
 
</gallery>
 
 
 
===착용신분===
 
[[외명부]]의 빈모와 [[궁녀]] 중 상궁, 시녀, 유모가 착용한다.
 
 
 
===착용상황===
 
왕실 혼례시 참여하는 여성들이 착용하는 기록이 있다.
 
  
===형태===
+
=='''지식 관계망'''==
 
 
 
 
===기타===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의 세자빈 어머니 예복으로 아청색 필단 할의가 나오는데, 혜경궁 홍씨가 지은 『한중록』에는 모친이 [[원삼]]을 입고 [[큰머리]]를 얹었다고 기록하여 원삼과 할의를 동일시했음을 알 수 있다. 할의는 ‘큰옷’이라는 의미를 가진 이두어 표기법이며 원삼을 큰옷[大衣]이라고도 하였으므로 할의와 원삼은 동일한 의복에 대한 다른 표기일 수 있다고 본다. <ref>김소현,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服飾』59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9, 105쪽.</ref>
 
따라서 처음 할의가 어떤 형태였는지 알 수 없으나 후에 원삼의 형태와 같아진 것으로 보이며, 현재 전해지고 있는 궁녀의 포(袍)류 중에 소매가 넓은 것은 원삼이므로 할의를 원삼의 형태와 비슷한 것으로 보았다.<ref>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90쪽.</ref>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비]] ||  할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비]] || 할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PAGENAME}}'''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상궁]] ||  할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 || A는 B에 착용한다
+
| [[시녀]] ||  할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유모]] || 할의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할의 || [[너울]]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52번째 줄: 38번째 줄:
 
===공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550px>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세부명칭_할의(브루클린).jpg|조선시대 상궁 원삼.<ref>브루클린박물관(https://www.brooklynmuseum.org/)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할의02 석주선박물관.jpg|조선시대 흑원삼.<ref>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ref>
 
</gallery>
 
</gallery>
  
 
===영상===
 
===영상===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1.
===더 읽을거리===
+
* 김소현,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服飾』59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9.
 
+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유용한 정보===
+
* 朴東媛, 「圓衫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6.
 +
* 李眞英ㆍ金仁淑 「韓國 圓衫의 由來 糾明을 위한 形態的 考察」,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 이태옥ㆍ김혜영ㆍ조우현, 「안동김씨묘 출토 조선후기 원삼의 특징」,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권 2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5.
 +
*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 전정희ㆍ박현정, 「靑色 圓衫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제2권, 한복문화학회, 1999.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1월 19일 (일) 15:24 기준 최신판


할의
(割衣)
대표명칭 할의
한자표기 割衣
이칭별칭 활의(闊衣)
구분 의복
착용신분 외명부, 궁녀
착용성별 여성



정의

조선의 왕실 혼례시 왕비왕세자빈, 상궁(尙宮), 시녀(侍女), 유모(乳母)가 착용하는 옷이다.[1]

내용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에는 왕세자빈 어머니가 착용하는 아청색 필단 할의가 나오고, 혜경궁 홍씨가 지은 『한중록』에는 '모친이 원삼을 입고 큰머리를 얹었다.'고 기록하여 원삼할의가 같은 옷임을 알 수 있다. 할의는 ‘큰옷’이라는 의미를 가진 이두어 표기법이다. 원삼 또한 큰옷[大衣]이라고도 하였기 때문에 할의원삼은 동일한 의복에 대한 다른 표기일 수 있다.[2] 할의의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으나 후에 원삼의 형태와 같아진 것으로 보아, 현재 전해지고 있는 궁녀의 포(袍)류 중에 소매가 넓은 원삼이 있는데 할의도 이와 비슷한 형태일 것으로 보고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비 할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비 할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상궁 할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시녀 할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유모 할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할의 너울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75쪽.
  2. 김소현,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服飾』59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9, 105쪽.
  3.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90쪽.
  4. 브루클린박물관(https://www.brooklynmuseum.org/) 소장.
  5.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1.
  • 김소현,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服飾』59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9.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朴東媛, 「圓衫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6.
  • 李眞英ㆍ金仁淑 「韓國 圓衫의 由來 糾明을 위한 形態的 考察」,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이태옥ㆍ김혜영ㆍ조우현, 「안동김씨묘 출토 조선후기 원삼의 특징」,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권 2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5.
  •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전정희ㆍ박현정, 「靑色 圓衫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제2권, 한복문화학회,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