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장소정보 | {{장소정보 | ||
|사진=민족_일러_평야지대.png | |사진=민족_일러_평야지대.pn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황산벌 | |대표명칭=황산벌 | ||
|한자표기=黃山─ | |한자표기=黃山─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連山面) 일대를 차지하는 넓은 들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792 황산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내용'''== | =='''내용'''== | ||
천호리(天護里) ·연산리 ·표정리(表井里) ·관동리(官洞里) ·송정리(松亭里) 등을 포함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792 황산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천호리(天護里) ·연산리 ·표정리(表井里) ·관동리(官洞里) ·송정리(松亭里) 등을 포함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792 황산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명칭 유래=== | ===명칭 유래=== | ||
− | 황산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 | + | 황산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 태종무열왕조에 ‘황산지원(黃山之原)’,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충청도 연산현 산천조에 ‘황산지야(黃山之野)’라는 내용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황산’이라는 지명은 삼국시대부터 이미 있었으며,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논산시 연산면 신량리에 황산리라는 지명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황산벌은 신양리 일대의 분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ref>강종원,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2002519 황산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역사적 격전지=== | ===역사적 격전지=== | ||
− | 백제 말기에 [[계백]](階伯) 장군이 [[김유신]](金庾信)의 신라군(軍)을 맞아 싸운 격전지로 알려져 있으며, 후백제의 [[신검]](神劍)도 이 벌판에서 고려의 [[고려 태조|왕건]](王建)에게 항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792 황산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 백제 말기에 [[계백]](階伯) 장군이 [[김유신]](金庾信)의 신라군(軍)을 맞아 싸운 격전지로 알려져 있으며, 후백제의 [[신검]](神劍)도 이 벌판에서 고려의 [[고려 태조|왕건]](王建)에게 항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792 황산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후백제를 멸망시킨 후 이를 기념하고자 태조는 황산을 [[천호산]](天護山)이라 개칭하고 [[논산 개태사|개태사]](開泰寺)를 창건하였다고 전한다.<ref>강종원,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2002519 황산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8/C008.htm "계백장군의 황산싸움"(오승우)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57번째 줄: | 58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황산벌_안내판_01.jpg | 황산벌 전투도 | +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황산벌_안내판_01.jpg | 황산벌 전투도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안내판 03.jpg | 황산벌 전적지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안내판 03.jpg | 황산벌 전적지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홍살문 01.jpg | 충렬사 홍살문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홍살문 01.jpg | 충렬사 홍살문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01.jpg | 충렬사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01.jpg | 충렬사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계백영정 01.jpg | 충렬사내 계백 표준영정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황산벌 충렬사 계백영정 01.jpg | 충렬사내 계백 표준영정 |
</gallery> | </gallery> | ||
80번째 줄: | 81번째 줄: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분류:민족/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18일 (토) 18:19 판
황산벌(黃山─) | |
대표명칭 | 황산벌 |
---|---|
한자표기 | 黃山─ |
유형 | 지명 |
주소 | 충남 논산시 연산면(連山面) |
관련인물 | 계백,김유신,관창 |
|
목차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連山面) 일대를 차지하는 넓은 들이다.[1]
내용
천호리(天護里) ·연산리 ·표정리(表井里) ·관동리(官洞里) ·송정리(松亭里) 등을 포함한다.[2]
명칭 유래
황산이라는 지명은 『삼국사기(三國史記)』 태종무열왕조에 ‘황산지원(黃山之原)’,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충청도 연산현 산천조에 ‘황산지야(黃山之野)’라는 내용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황산’이라는 지명은 삼국시대부터 이미 있었으며,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논산시 연산면 신량리에 황산리라는 지명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황산벌은 신양리 일대의 분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3]
역사적 격전지
백제 말기에 계백(階伯) 장군이 김유신(金庾信)의 신라군(軍)을 맞아 싸운 격전지로 알려져 있으며, 후백제의 신검(神劍)도 이 벌판에서 고려의 왕건(王建)에게 항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후백제를 멸망시킨 후 이를 기념하고자 태조는 황산을 천호산(天護山)이라 개칭하고 개태사(開泰寺)를 창건하였다고 전한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 황산벌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황산벌싸움 | 황산벌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황산벌 | 신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황산벌 | 고려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승우-황산싸움 | 황산벌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황산벌전투[6]
주석
- ↑ "황산벌",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황산벌",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강종원, "황산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황산벌",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강종원, "황산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백제문화단지, Youtube, 작성일: 2016년 05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