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보가 이 진사에게 보낸 간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문헌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박태보가 이진사에게 보낸 간찰 |한자표기= |영문명칭= |이칭= |유형= 간찰 |저자= 박태보 |역자...)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간행인= | |간행인= | ||
|시대= 조선 | |시대= 조선 | ||
− | |수량= | + | |수량= 5점 |
|크기= | |크기= | ||
|판본= | |판본= | ||
|판사항= | |판사항= | ||
|형태사항= | |형태사항= | ||
− | |표기문자= | + | |표기문자= 행초 |
|소장처= | |소장처= | ||
|청구기호= | |청구기호=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박태보]]가 이진사에게 보낸 간찰 5점이다. | |
=='''내용'''== | =='''내용'''== | ||
− | |||
− | |||
− | |||
− | == | + | [http://jsg.aks.ac.kr/cmm/fms/FileDown.do?fileSn=0&atchFileId=OLD_000000000001443] |
− | + | ||
+ | |||
+ | 『[[서계유묵]]』 하첩에는 [[박태보|박태보(1654~1689)]] 명의로 보낸 간찰 6점이 실려 있는데, 그 중 5점은 겉봉의 수신처가 ‘李進士’ 또는 ‘伯翼兄’이라 씌어있어 자가 백익(伯翼)인 이진사에게 보낸 간찰임을 알 수 있는데 인명은 자세하지 않다. [[행초]]로 씌어있는 5점은 부친 [[박세당]]의 영정을 그리는 일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간찰이라 회화사적으로 주목을 받는 자료이다. | ||
+ | |||
+ | 영정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과 재료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과 함께 영정을 그릴 화사(畵師)를 당시 명성이 있던 평양화가 [[조세걸|조세걸(曺世傑, 1635~?)]]로 결정하려는 과정이 담겨있다. 그 내용에 따르면 수신인 이진사는 박태보에게 조세걸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영정제작에 관한 제반 사항을 주선한 인물로 보이는데, 그 인명이 명확하지 않은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25) | ||
+ | |||
+ | 이진사에게 보낸 5점의 간찰 중 앞의 2점은 유려한 행초로 씌어있다(도 8). 아버지 박세당의 행초 필적에 비해 둥글게 돌아가는 원필세의 흐름이 더욱 돋보인다. 이를 윤순거와 조속의 글씨와 비교하면 윤순거의 호방하고 자유분방한 필치와 조속의 깔끔하고 단아한 필치를 섞어놓은 듯한 운필을 보여 외가쪽으로부터 전승되어 온 서풍이 박태보의 글씨에 절충되어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 ||
+ | |||
+ | |||
+ | 25)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거주지가 평양이라는 점과 대대로 사환을 지속한 집안이라는 근거를 들어 이진사를 昌謙(1645~?)으로 추정한 사례가 있다(김학수, 2012, 앞의 논문, 29~30쪽 참조). 이러한 추정은 이창겸의 자가 ‘伯益’이라는 점이 전제된 것인데, 첫 번째 간찰 피봉에는 수신인이 伯翼兄이라고 씌어있고 다섯 번째 간찰에는 피봉이 아닌 편지 내용 중에 ‘伯益兄’이라고 되어 있어 동일인인지 여부가 의심된다. 다섯 번째의 간찰 내용 중 영정을 그리는 일이 현재 실마리가 잡혀가고 있다는 내용과 아울러 “이 일은 伯益兄에게 전적으로 의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내용이 있다. 이는 현재 편지를 보내는 상대방을 보고 伯益兄이라 부른 것이 아니라 제 삼자인 伯益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따라서 이진사를 이창겸으로 보기위해서는 이러한 의문이 차제에 해결되어야 할 것 이다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52번째 줄: | 58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박태보]] || [[박세당]]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
− | |||
|- | |- | ||
− | | | + | | ||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2017년 11월 18일 (토) 02:39 판
박태보가 이진사에게 보낸 간찰() | |
대표명칭 | 박태보가 이진사에게 보낸 간찰 |
---|---|
유형 | 간찰 |
저자 | 박태보 |
시대 | 조선 |
수량 | 5점 |
표기문자 | 행초 |
정의
박태보가 이진사에게 보낸 간찰 5점이다.
내용
[1]
『서계유묵』 하첩에는 박태보(1654~1689) 명의로 보낸 간찰 6점이 실려 있는데, 그 중 5점은 겉봉의 수신처가 ‘李進士’ 또는 ‘伯翼兄’이라 씌어있어 자가 백익(伯翼)인 이진사에게 보낸 간찰임을 알 수 있는데 인명은 자세하지 않다. 행초로 씌어있는 5점은 부친 박세당의 영정을 그리는 일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간찰이라 회화사적으로 주목을 받는 자료이다.
영정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과 재료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과 함께 영정을 그릴 화사(畵師)를 당시 명성이 있던 평양화가 조세걸(曺世傑, 1635~?)로 결정하려는 과정이 담겨있다. 그 내용에 따르면 수신인 이진사는 박태보에게 조세걸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영정제작에 관한 제반 사항을 주선한 인물로 보이는데, 그 인명이 명확하지 않은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25)
이진사에게 보낸 5점의 간찰 중 앞의 2점은 유려한 행초로 씌어있다(도 8). 아버지 박세당의 행초 필적에 비해 둥글게 돌아가는 원필세의 흐름이 더욱 돋보인다. 이를 윤순거와 조속의 글씨와 비교하면 윤순거의 호방하고 자유분방한 필치와 조속의 깔끔하고 단아한 필치를 섞어놓은 듯한 운필을 보여 외가쪽으로부터 전승되어 온 서풍이 박태보의 글씨에 절충되어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25)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거주지가 평양이라는 점과 대대로 사환을 지속한 집안이라는 근거를 들어 이진사를 昌謙(1645~?)으로 추정한 사례가 있다(김학수, 2012, 앞의 논문, 29~30쪽 참조). 이러한 추정은 이창겸의 자가 ‘伯益’이라는 점이 전제된 것인데, 첫 번째 간찰 피봉에는 수신인이 伯翼兄이라고 씌어있고 다섯 번째 간찰에는 피봉이 아닌 편지 내용 중에 ‘伯益兄’이라고 되어 있어 동일인인지 여부가 의심된다. 다섯 번째의 간찰 내용 중 영정을 그리는 일이 현재 실마리가 잡혀가고 있다는 내용과 아울러 “이 일은 伯益兄에게 전적으로 의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내용이 있다. 이는 현재 편지를 보내는 상대방을 보고 伯益兄이라 부른 것이 아니라 제 삼자인 伯益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따라서 이진사를 이창겸으로 보기위해서는 이러한 의문이 차제에 해결되어야 할 것 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태보 | 박세당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한양하, "모기 없는 구시장터",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양하, "모기 없는 구시장터",
더 읽을거리
- 장덕순·조동일·서대석·조희웅 공저,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