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학문과 정치 사상)
44번째 줄: 44번째 줄:
 
===사후의 평가===
 
===사후의 평가===
 
조광조는 지치주의에 입각하여 지나치게 과격한 개역정치를 단행하다가 훈구세력의 견제로 사사되었다. 그러나 사림 세력이 주도권을 잡게 된 후 조광조는 도학의 정통으로 추종되었으며 1569년 신원되어 [[문묘]]에 배향되었다.<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90 조광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같은 시기 그를 기리기 위해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가 제작되었는데 이 비의 비문을 쓴 사람이 바로 [[송시열 |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다.<ref>"[http://contents.history.go.kr/mfront/ti/view.do?treeId=05018&levelId=ti_018_0090 조광조 유허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조광조의 행장인 [[정암 조선생 행장]]은 [[이황 | 퇴계 이황]]이 작성하였다.
 
조광조는 지치주의에 입각하여 지나치게 과격한 개역정치를 단행하다가 훈구세력의 견제로 사사되었다. 그러나 사림 세력이 주도권을 잡게 된 후 조광조는 도학의 정통으로 추종되었으며 1569년 신원되어 [[문묘]]에 배향되었다.<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90 조광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같은 시기 그를 기리기 위해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가 제작되었는데 이 비의 비문을 쓴 사람이 바로 [[송시열 |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다.<ref>"[http://contents.history.go.kr/mfront/ti/view.do?treeId=05018&levelId=ti_018_0090 조광조 유허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조광조의 행장인 [[정암 조선생 행장]]은 [[이황 | 퇴계 이황]]이 작성하였다.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조광조]] || [[안당]]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광조]] || [[소격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광조]] || [[현량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광조]] || [[기묘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조광조]] || [[윤자임]]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조광조]] || [[이자]]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조광조]] || [[김구]]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조광조]] || [[박세희]]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윤자임]] || [[기묘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자]] || [[기묘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구]] || [[기묘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박세희]] || [[기묘사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종직]] || [[김굉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김굉필]] || [[조광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정암집]] || [[조광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조광조]] || [[문묘]]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 || [[조광조]]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 || [[송시열]]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암 조선생 행장]] || [[조광조]]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정암 조선생 행장]]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주석==
 +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이재룡,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606 조광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90 조광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contents.history.go.kr/mfront/ti/view.do?treeId=05018&levelId=ti_018_0090 조광조 유허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문화유산]]

2017년 11월 16일 (목) 22:26 판

조광조(趙光祖)
대표명칭 조광조
한자표기 趙光祖
생몰년 1482-1519
본관 한양(漢陽)
정암(靜菴)
효직(孝直)
시대 조선
국적 조선
조원강(趙元綱)
민의(閔誼)의 딸 여흥 민씨


정의

조광조(趙光祖)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내용

생애

1510년 사마시에 장원으로 합격, 성균관 유생들의 천거와 이조판서 안당(安塘)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1515년 조지서사지(造紙署司紙)에 초임되었다. 그 해 가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전적·감찰·예조좌랑을 역임하게 되었고, 이 때부터 왕의 두터운 신임을 얻게 되었다[1] 1518년 소격서(昭格署)의 폐지를 강력히 주청하였으며, 그 해 11월에는 현량과(賢良科)의 시행을 추진하였다. [2] 1519년 가을 정국공신(靖國功臣) 의 개정 문제를 주장하였다. 이를 반대하던 기존 훈구세력과 대립으로 기묘사화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어 조광조와 그의 일파인 윤자임(尹自任), 이자(李耔), 김구(金絿), 박세희(朴世熹) 등의 신진세력들이 축출되었다.[3]

학문과 정치 사상

성리학은 이미 고려 말에 전래되어 학자들에게 알려졌으나, 성리학을 실천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은 성종(成宗) 때 김종직의 문인들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한훤당 김굉필이 그 정통을 이었다고 평가되는데, 조광조는 김굉필의 문인이었다.[4] 스승의 영향을로 조광조는 유교로써 정치와 교화의 근본을 삼아야 한다는 지치주의(至治主義)에 입각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역설하였다. [5] 조광조는 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스림이 나오는 근본인 군주의 마음을 바로잡아야 하며 다스림의 근본인 임금의 마음이 바르지 않으면 정치의 주체가 의지하여 설 수 없고 교화가 행해질 수 없다고 보았다.[6] 저서로 『정암집』이 있는데, 그 중 대부분은 소(疏)·책(策)·계(啓) 등의 상소문과 몇 가지의 제문이고, 그 밖에 몇 편의 시도 실려 있다.[7]

사후의 평가

조광조는 지치주의에 입각하여 지나치게 과격한 개역정치를 단행하다가 훈구세력의 견제로 사사되었다. 그러나 사림 세력이 주도권을 잡게 된 후 조광조는 도학의 정통으로 추종되었으며 1569년 신원되어 문묘에 배향되었다.[8] 같은 시기 그를 기리기 위해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가 제작되었는데 이 비의 비문을 쓴 사람이 바로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다.[9] 또한 조광조의 행장인 정암 조선생 행장 퇴계 이황이 작성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광조 안당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광조 소격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광조 현량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광조 기묘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광조 윤자임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조광조 이자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조광조 김구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조광조 박세희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윤자임 기묘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자 기묘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구 기묘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박세희 기묘사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종직 김굉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굉필 조광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정암집 조광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조광조 문묘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 조광조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정암 조광조선생 적려 유허비 송시열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dcterms:creator B
정암 조선생 행장 조광조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정암 조선생 행장 이황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주석

  1. 이재룡, "조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재룡, "조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영두, "조광조",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김영두, "조광조",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이재룡, "조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김영두, "조광조",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7. 이재룡, "조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김영두, "조광조",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9. "조광조 유허비", 『우리역사넷』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이재룡, "조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두, "조광조",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조광조 유허비", 『우리역사넷』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