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노의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60번째 줄: 60번째 줄: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백영자, 「嘉禮都監을 통해 본 법복[翟衣]의 附隨服飾 의대(露衣, 長衫)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8.
 
* 백영자, 「嘉禮都監을 통해 본 법복[翟衣]의 附隨服飾 의대(露衣, 長衫)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8.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66번째 줄: 66번째 줄:
 
* 이성희, 「조선후기 노의에 관한 연구: 청연군주 출토복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이성희, 「조선후기 노의에 관한 연구: 청연군주 출토복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더 읽을거리===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11월 15일 (수) 23:38 판


노의대
(露衣帶)
궁중기록화팀
대표명칭 노의대
한자표기 露衣帶
구분
착용신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착용성별 여성



정의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등이 혼례친영 을 행하거나 길[露]을 갈 때 입는 노의 위에 두르는 직물로 만든 긴 띠이다.[1]

내용

겹으로 된 직사각형의 긴 끈으로 안쪽 중앙에는 허리 너비 만큼 간격을 두고 좌우로 작은 끈이 달려 있어 허리에 고정시켰으며, 대의 남은 부분은 등 뒤쪽으로 고리를 내어 묶어 늘여 장식하였다. 왕비는 자적색, 왕세자빈은 남색이며, 금박을 더한다. 군부인공주옹주 등도 색은 남색이나 금박에 대한 기록은 없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비 노의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빈 노의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내명부 노의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외명부 노의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비의 소례복 노의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빈의 소례복 노의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노의대 노의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노의(露衣) 일습(一襲) 복원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7쪽.
  2.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노의(露衣) 일습(一襲) 복원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7~39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고궁박물관, 『사농공상의 나라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2010.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노의(露衣) 일습(一襲) 복원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백영자, 「嘉禮都監을 통해 본 법복[翟衣]의 附隨服飾 의대(露衣, 長衫)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78.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수학사, 1991.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이성희, 「조선후기 노의에 관한 연구: 청연군주 출토복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