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이칭= | |이칭= | ||
|유형= | |유형= | ||
− | |관련개념= | + | |관련개념= [[모더니즘]] |
}} | }} | ||
=='''정의'''== | =='''정의'''== | ||
− | + | 1960년대에 일어난 문화운동이면서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영역과 관련되는 한 시대의 이념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3768 포스트모더니즘]",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내용'''== | =='''내용'''== | ||
− | === | + |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 |
− | 포스트모더니즘은 서구 문화, 예술, 사고를 지배해 온 이성 중심의 | + | 포스트모더니즘은 서구 문화, 예술, 사고를 지배해 온 이성 중심의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났다. 모더니즘이 문화를 고급과 저급으로 구분하고, 각 예술 장르를 엄격하게 분리한 데 대한 반발이었다. 프랑스와 미국 등지의 학생운동, 여성운동, 흑인민권운동, 제3세계운동 등의 대두와 전위예술, 그리고 해체(deconstruction)와 후기 구조주의 등으로 대변되는 변화된 사상으로 시작되었다. 계몽주의 이후 객관성과 이성에 몰입한 서구 합리주의의 도그마에 대해 반기를 들게 된 것이다. [[프리드리히 니체]]와 [[마르틴 하이데거]]를 넘어 [[자크 데리다]], [[미셸 푸코]], [[자크 라캉]],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등으로 이어지면서 그 이론은 구체화되었다. |
===다양성과 대중성=== | ===다양성과 대중성=== | ||
− | 혁신으로 시작된 | + | 혁신으로 시작된 [[모더니즘]]은 개성 보다는 보편성을 추구했고 난해하고 추상적인 기법으로 대중과 유리되었다. 이에 반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은 개인의 목소리와 다양성의 회복, 대중과의 소통을 중시하였다. 미술에서는 대중성의 회복과 구상의 재등장이 이루어지는 한편, 무수한 복제를 통해 절대적 권위를 가진 단 하나의 원본으로서의 미술품을 거부하기도 하였다.<br/> |
− | 주제에 있어서도 개인의 사소한 이야기로부터 인종차별, 폭력, 소수자 등 정치적이고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는 가운데, 저급문화로 취급받던 만화, 잡지, 광고를 이용하고 과거의 작품들을 차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현대화에 따른 부작용, [[모더니즘]] 자체의 부조리함, [[마르크시즘]], 그리고 세계 각지의 사회문화운동 등에서 비롯된 포스트모더니즘은 확정적이거나 일관된 사상체계라기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려는 비판적인 흐름이자 [[모더니즘]]의 대안을 세우려는 | + | 주제에 있어서도 개인의 사소한 이야기로부터 인종차별, 폭력, 소수자 등 정치적이고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는 가운데, 저급문화로 취급받던 만화, 잡지, 광고를 이용하고 과거의 작품들을 차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현대화에 따른 부작용, [[모더니즘]] 자체의 부조리함, [[마르크시즘]], 그리고 세계 각지의 사회문화운동 등에서 비롯된 포스트모더니즘은 확정적이거나 일관된 사상체계라기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려는 비판적인 흐름이자 [[모더니즘]]의 대안을 세우려는 노력으로 보아야 한다.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 [[포스트모더니즘]] || [[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포스트모더니즘]] || [[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니체]]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프리드리히 니체]]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하이데거]]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마르틴 하이데거]]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푸코]]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자크 데리다]]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미셸 푸코]]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자크 라캉]]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43번째 줄: | 49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5289&cid=42642&categoryId=42642 포스트모더니즘]", 세계미술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5289&cid=42642&categoryId=42642 포스트모더니즘]", 세계미술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
− | [[분류:민족/ | + | [[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14일 (화) 23:01 기준 최신판
포스트모더니즘 () |
|
대표명칭 | 포스트모더니즘 |
---|---|
영문명칭 | Post-Modernism |
관련개념 | 모더니즘 |
정의
1960년대에 일어난 문화운동이면서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영역과 관련되는 한 시대의 이념이다.[1]
내용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
포스트모더니즘은 서구 문화, 예술, 사고를 지배해 온 이성 중심의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났다. 모더니즘이 문화를 고급과 저급으로 구분하고, 각 예술 장르를 엄격하게 분리한 데 대한 반발이었다. 프랑스와 미국 등지의 학생운동, 여성운동, 흑인민권운동, 제3세계운동 등의 대두와 전위예술, 그리고 해체(deconstruction)와 후기 구조주의 등으로 대변되는 변화된 사상으로 시작되었다. 계몽주의 이후 객관성과 이성에 몰입한 서구 합리주의의 도그마에 대해 반기를 들게 된 것이다. 프리드리히 니체와 마르틴 하이데거를 넘어 자크 데리다, 미셸 푸코, 자크 라캉,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등으로 이어지면서 그 이론은 구체화되었다.
다양성과 대중성
혁신으로 시작된 모더니즘은 개성 보다는 보편성을 추구했고 난해하고 추상적인 기법으로 대중과 유리되었다. 이에 반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은 개인의 목소리와 다양성의 회복, 대중과의 소통을 중시하였다. 미술에서는 대중성의 회복과 구상의 재등장이 이루어지는 한편, 무수한 복제를 통해 절대적 권위를 가진 단 하나의 원본으로서의 미술품을 거부하기도 하였다.
주제에 있어서도 개인의 사소한 이야기로부터 인종차별, 폭력, 소수자 등 정치적이고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는 가운데, 저급문화로 취급받던 만화, 잡지, 광고를 이용하고 과거의 작품들을 차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현대화에 따른 부작용, 모더니즘 자체의 부조리함, 마르크시즘, 그리고 세계 각지의 사회문화운동 등에서 비롯된 포스트모더니즘은 확정적이거나 일관된 사상체계라기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려는 비판적인 흐름이자 모더니즘의 대안을 세우려는 노력으로 보아야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포스트모더니즘 | 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프리드리히 니체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마르틴 하이데거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자크 데리다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미셸 푸코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자크 라캉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포스트모더니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 참조: "포스트모더니즘", 세계미술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 참조: "포스트모더니즘", 세계미술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