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경궁 홍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혜경궁 홍씨
 
|대표명칭= 혜경궁 홍씨
31번째 줄: 31번째 줄:
  
 
=='''정의'''==
 
=='''정의'''==
[[사도세자]]의 비로, 생전에는 [[왕세자빈]]이었으며, 조선 제22대 왕 [[조선 정조]]의 어머니이다.
+
[[사도세자]]의 비로, 생전에는 [[왕세자빈]]이었으며, 조선 제22대 왕 [[조선 정조|정조]]의 어머니이다.
  
 
=='''내용'''==
 
=='''내용'''==
 
===생애===
 
===생애===
영풍부원군(永豐府院君) [[홍봉한|홍봉한(洪鳳漢)]]과 [[한산부부인|한산부부인(韓山府夫人) 이씨(李氏)]] 의 딸이다. [[사도세자]]와 혼인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나 장남인 [[의소세손|의소세손(懿昭世孫)]]은 3세 때 죽었다.<ref>『영조실록』 76권, 영조 28년 3월 4일 을축 2번째 기사, ‘왕세손이 통명전에서 훙서하다.</ref>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죽고 난 뒤, 차남이 [[왕세손]]이 되었다가 왕위에 오른 [[조선 정조]]이다. 딸인 [[청연공주|청연공주(淸衍公主)]]는 광은부위(光恩副尉) [[김두성|김두성(金斗性)]]에게,<ref>『영조실록』 105권, 영조 41년 윤 2월 2일 정미 1번째 기사, ‘청연 군주를 김두성과 정혼시키고 광은 부위로 호하다.</ref> [[청선공주|청선공주(淸璿公主)]]는 흥은위(興恩尉) [[정재화|정재화(鄭在和)]]에게 시집갔다.<ref>『영조실록』 107권, 영조 42년 2월 10일 경술 2번째 기사, ‘유학 정인환의 아들 정재화가 청선 군주에게 장가들어 흥은위의 칭호를 내리다.</ref> [[사도세자]]가 죽기 직전 폐세자가 되었을 때 폐세자빈이 되었다가 [[사도세자]] 사후 [[혜경궁 홍씨 | 혜빈(惠嬪)]]의 칭호를 받았다.<ref>『영조실록』 99권, 영조 38년 윤5월 21일 계미 2번째 기사, ‘사도세자가 훙서하다. 왕세자의 호를 회복하다.</ref> [[조선 정조]]가 즉위한 뒤 '혜경궁(惠慶宮)'이 되었으며,<ref>『정조실록』 1권, 정조 즉위년 3월 10일 신사 2번째 기사, 왕비를 왕대비로 삼고 혜빈을 혜경궁으로 삼았으며 빈궁을 왕비로 삼다.</ref> 1815년(순조 15) 죽었다.<ref>『순조실록』 18권, 순조 15년 12월 15일 을축 4번째 기사, 신시에 혜경궁이 경춘전에서 훙서하다.</ref> [[고종|고종(高宗)]]때 추숭되어 [[혜경궁 홍씨|헌경왕후(獻敬王后)]]가 되었다.<ref>『고종실록』 39권, 고종 36년 9월 1일 양력 3번째 기사, ‘장헌 세자의 묘호망 등과 혜빈의 휘호망과 정종 대왕, 효의 왕후의 존호망을 올리다.</ref> 저서로 『[[혜경궁 읍혈록|한중록(閑中錄)]]』이 전해진다.
+
1735년(영조 11) 풍산홍씨 [[홍봉한|홍봉한(洪鳳漢)]]의 딸로 태어났다. [[사도세자]]와 혼인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나 장남인 [[의소세손|의소세손(懿昭世孫)]]은 3세 때 죽었다.<ref>『영조실록』 권76, 영조 28년(1752) 3월 4일(을축), [http://sillok.history.go.kr/id/kua_12803004_002 왕세손이 통명전에서 훙서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죽고 난 뒤, 차남이 [[왕세손]]이 되었다가 왕위에 오른 [[조선 정조]]이다. 딸인 [[청연공주|청연공주(淸衍公主)]]는 광은부위(光恩副尉) [[김두성|김두성(金斗性)]]에게,<ref>『영조실록』 권105, 영조 41년(1765) 윤 2월 2일(정미), [http://sillok.history.go.kr/id/kua_14102102_001 청연 군주를 김두성과 정혼시키고 광은 부위로 호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청선공주|청선공주(淸璿公主)]]는 흥은위(興恩尉) [[정재화|정재화(鄭在和)]]에게 시집갔다.<ref>『영조실록』 권107, 영조 42년(1766) 2월 10일(경술), [http://sillok.history.go.kr/id/kua_14202010_002 유학 정인환의 아들 정재화가 청선 군주에게 장가들어 흥은위의 칭호를 내리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사도세자]]가 죽기 직전 폐세자가 되었을 때 폐세자빈이 되었다가 [[사도세자]] 사후 [[혜경궁 홍씨 | 혜빈(惠嬪)]]의 칭호를 받았다.<ref>『영조실록』 권99, 영조 38년(1762) 윤5월 21일(계미), [http://sillok.history.go.kr/id/kua_13805121_002 사도세자가 훙서하다. 왕세자의 호를 회복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조선 정조|정조]]가 즉위한 뒤 '혜경궁(惠慶宮)'이라는 궁호로 불렸으며<ref>『정조실록』 권1, 정조 즉위년(1776) 3월 10일(신사), [http://sillok.history.go.kr/id/kva_10003010_002 왕비를 왕대비로 삼고 혜빈을 혜경궁으로 삼았으며 빈궁을 왕비로 삼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1815년(순조 15) 생을 마쳤다.<ref>『순조실록』 권18, 순조 15년(1815) 12월 15일(을축), [http://sillok.history.go.kr/id/kwa_11512015_004 신시에 혜경궁이 경춘전에서 훙서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저서로 『[[혜경궁 읍혈록|한중록(閑中錄)]]』이 전해진다.
 +
 
 +
===사후===
 +
[[고종|고종(高宗)]]때 추숭되어 헌경왕후(獻敬王后)가 되었다.<ref>『고종실록』 권39, 고종 36년(1899) 9월 1일(양력), [http://sillok.history.go.kr/id/kza_13609001_003 장헌 세자의 묘호망 등과 혜빈의 휘호망과 정종 대왕, 효의 왕후의 존호망을 올리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 481번길 21에 남편인 정조와 혜경궁의 능인 융릉(隆陵)이 있다. 대한제국 이전에는 ‘원(園)’이었으나 사도세자가 장종으로 추숭되어 ‘능(陵)’으로 격상되었다. 인근에 있는 아들 정조와 효의왕후의 능인 건릉(健陵)과 함께 1970년 사적 제206호로 지정되었다.
  
 
===거행 의례===
 
===거행 의례===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30&hl=orginner@%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1_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level1_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ref>,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27&hl=orginner@%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9%88%EA%B6%81%ED%98%BC%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1_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9%88%EA%B6%81%ED%98%BC%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level1_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ref>, [[헌경혜빈현륭원원소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25&hl=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9%A1%AF%E9%9A%86%E5%9C%92%E5%9C%92%E6%89%80%E9%83%BD%E7%9B%A3%E5%84%80%E8%BB%8C$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9%A1%AF%E9%9A%86%E5%9C%92%E5%9C%92%E6%89%80%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9%A1%AF%E9%9A%86%E5%9C%92%E5%9C%92%E6%89%80%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D%98%84%EB%A5%AD%EC%9B%90%EC%9B%90%EC%86%8C%EB%8F%84%EA%B0%90%EC%9D%98%EA%B6%A4 헌경혜빈현륭원원소도감의궤]</ref>
+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30&hl=orginner@%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1_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level1_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27&hl=orginner@%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9%88%EA%B6%81%ED%98%BC%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1_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9%88%EA%B6%81%ED%98%BC%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level1_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헌경혜빈현륭원원소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25&hl=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9%A1%AF%E9%9A%86%E5%9C%92%E5%9C%92%E6%89%80%E9%83%BD%E7%9B%A3%E5%84%80%E8%BB%8C$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9%A1%AF%E9%9A%86%E5%9C%92%E5%9C%92%E6%89%80%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9%A1%AF%E9%9A%86%E5%9C%92%E5%9C%92%E6%89%80%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D%98%84%EB%A5%AD%EC%9B%90%EC%9B%90%EC%86%8C%EB%8F%84%EA%B0%90%EC%9D%98%EA%B6%A4 헌경혜빈현륭원원소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혜경궁 읍혈록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65/A06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A116/A116.htm 어제악장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8/A148.htm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사도세자]] || A는 B의 아내이다 ||
+
| [[사도세자]] ||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PAGENAME}}''' || [[왕세자빈]]  || A는 B이다 ||
 
|-
 
| '''{{PAGENAME}}''' || [[가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 '''{{PAGENAME}}''' || [[간택]]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1월 13일
 
|-
 
| '''{{PAGENAME}}''' || [[납채]]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0일
 
|-
 
| '''{{PAGENAME}}'''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6일
 
|-
 
| '''{{PAGENAME}}''' || [[고기]]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9일
 
|-
 
| '''{{PAGENAME}}''' || [[책빈]]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9일
 
 
|-
 
|-
| '''{{PAGENAME}}''' || [[친영]]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 [[왕세자빈]]  ||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
 
|-
| '''{{PAGENAME}}''' || [[동뢰]]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 [[가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PAGENAME}}''' || [[혜경궁 홍씨 회갑연|회갑연]]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95년 윤2월 9일
+
|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 [[혜경궁 홍씨 회갑연|회갑연]]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90번째 줄: 90번째 줄: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화성행궁 봉수당|봉수당(奉壽堂)]] || [[혜경궁 홍씨]]의 [[혜경궁 홍씨 회갑연|회갑연]]을 거행하였다   
+
| 37.281790 || 127.013248 || [[화성행궁 봉수당|봉수당(奉壽堂)]]에서 [[혜경궁 홍씨]]의 [[혜경궁 홍씨 회갑연|회갑연]]을 거행하였다   
 
|}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주석'''==
117번째 줄: 113번째 줄:
 
* 정병설, 「『한중록』의 신고찰」, 『古典文學硏究』 34, 한국고전문학회, 2008.
 
* 정병설, 「『한중록』의 신고찰」, 『古典文學硏究』 34, 한국고전문학회, 2008.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왕세자빈]]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왕세자빈]]

2017년 11월 13일 (월) 22:50 기준 최신판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대표명칭 혜경궁 홍씨
한자표기 惠慶宮 洪氏
생몰년 1735년-1815년 12월 15일(음)
이칭 혜빈(惠嬪), 헌경왕후(獻敬王后)
시대 조선
대표직함 왕세자빈
배우자 사도세자
영풍부원군(永豐府院君) 홍봉한(洪鳳漢)
한산부부인(韓山府夫人) 이씨(李氏)
자녀 2남 2녀
의소세손(懿昭世孫), 정조(正祖), 청연공주(淸衍公主), 청선공주(淸璿公主)
성격 인물
유형 왕세자빈



정의

사도세자의 비로, 생전에는 왕세자빈이었으며, 조선 제22대 왕 정조의 어머니이다.

내용

생애

1735년(영조 11) 풍산홍씨 홍봉한(洪鳳漢)의 딸로 태어났다. 사도세자와 혼인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나 장남인 의소세손(懿昭世孫)은 3세 때 죽었다.[1]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죽고 난 뒤, 차남이 왕세손이 되었다가 왕위에 오른 조선 정조이다. 딸인 청연공주(淸衍公主)는 광은부위(光恩副尉) 김두성(金斗性)에게,[2] 청선공주(淸璿公主)는 흥은위(興恩尉) 정재화(鄭在和)에게 시집갔다.[3] 사도세자가 죽기 직전 폐세자가 되었을 때 폐세자빈이 되었다가 사도세자 사후 혜빈(惠嬪)의 칭호를 받았다.[4] 정조가 즉위한 뒤 '혜경궁(惠慶宮)'이라는 궁호로 불렸으며[5] 1815년(순조 15) 생을 마쳤다.[6] 저서로 『한중록(閑中錄)』이 전해진다.

사후

고종(高宗)때 추숭되어 헌경왕후(獻敬王后)가 되었다.[7]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 481번길 21에 남편인 정조와 혜경궁의 능인 융릉(隆陵)이 있다. 대한제국 이전에는 ‘원(園)’이었으나 사도세자가 장종으로 추숭되어 ‘능(陵)’으로 격상되었다. 인근에 있는 아들 정조와 효의왕후의 능인 건릉(健陵)과 함께 1970년 사적 제206호로 지정되었다.

거행 의례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8],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9], 헌경혜빈현륭원원소도감의궤[10]

지식 관계망

  • 혜경궁 읍혈록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사도세자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왕세자빈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가례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회갑연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43년 12월 20일 혜경궁 홍씨납채를 거행하였다
1743년 12월 26일 혜경궁 홍씨납폐를 거행하였다
1743년 12월 29일 혜경궁 홍씨고기를 거행하였다
1744년 1월 9일 혜경궁 홍씨책빈를 거행하였다
1744년 1월 11일 혜경궁 홍씨친영을 거행하였다
1744년 1월 11일 혜경궁 홍씨동뢰를 거행하였다
1744년 1월 11일 혜경궁 홍씨가례를 거행하였다
1795년 윤2월 9일 혜경궁 홍씨회갑연을 거행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281790 127.013248 봉수당(奉壽堂)에서 혜경궁 홍씨회갑연을 거행하였다

주석

  1. 『영조실록』 권76, 영조 28년(1752) 3월 4일(을축), 왕세손이 통명전에서 훙서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영조실록』 권105, 영조 41년(1765) 윤 2월 2일(정미), 청연 군주를 김두성과 정혼시키고 광은 부위로 호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영조실록』 권107, 영조 42년(1766) 2월 10일(경술), 유학 정인환의 아들 정재화가 청선 군주에게 장가들어 흥은위의 칭호를 내리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영조실록』 권99, 영조 38년(1762) 윤5월 21일(계미), 사도세자가 훙서하다. 왕세자의 호를 회복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정조실록』 권1, 정조 즉위년(1776) 3월 10일(신사), 왕비를 왕대비로 삼고 혜빈을 혜경궁으로 삼았으며 빈궁을 왕비로 삼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순조실록』 권18, 순조 15년(1815) 12월 15일(을축), 신시에 혜경궁이 경춘전에서 훙서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7. 『고종실록』 권39, 고종 36년(1899) 9월 1일(양력), 장헌 세자의 묘호망 등과 혜빈의 휘호망과 정종 대왕, 효의 왕후의 존호망을 올리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8.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9.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10. 헌경혜빈현륭원원소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영조실록』
  • 『정조실록』
  • 『순조실록』
  • 『고종실록』
  • 임혜린, 「영조~순조대 혜경궁(惠慶宮)의 위상 변화」,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이현진, 「순조대 혜경궁(惠慶宮)의 상장(喪葬) 의례와 성격」,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정만조, 「혜경궁의 삶과 영조대 중후반의 정국」,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최성환, 「혜경궁의 처지와 『한중록』의 다면적 사실성」,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송혜진,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 ‘봉수당진찬(奉壽堂進饌)’의 공연사적 의의」, 『한국어와 문화』 7,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0.
  • 김세은, 「순조 15년(1815) 惠慶宮 洪氏의 薨逝와 顯隆園 合祔」, 『奎章閣』 27,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4.
  • 이금희, 「『한중록』과 혜경궁 홍씨의 삶 : 基一_을 중심으로」, 『論文集』 19, 상지대학교, 1998.
  • 정병설, 「『한중록』의 신고찰」, 『古典文學硏究』 34, 한국고전문학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