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내용)
33번째 줄: 33번째 줄:
  
 
==내용==
 
==내용==
20대 중반까지 서울에 살면서 [[성운]]과 교유하였다. 1519년 [[기묘사화]]로 숙부 [[조언경]]이 귀양가고, 1526년 26세에 부친상을 당해 고향으로 돌아갔다. 30세가 되던 해 [[김해 산해정]]을 짓고 학문과 후학양성에 힘썼다.<ref>정성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886&cid=59015&categoryId=59015 ]", 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이황]]과 편지를 주고 받았으며, [[이언적]]의 천거가 있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55세에 단성현감에 임명된 후 [[을묘사직소]]를 올려 [[문정왕후|문정대비]]를 과부라고 칭하며 척신정치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조식]]의 문인으로는 [[정인홍]], [[정구]], [[곽재우]], [[김효원]], [[최영경]] 등이 있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336 조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20대 중반까지 서울에 살면서 [[성운]]과 교유하였다. 1519년 [[기묘사화]]로 숙부 [[조언경]]이 귀양가고, 1526년 26세에 부친상을 당해 고향으로 돌아갔다. 30세가 되던 해 [[김해 산해정]]을 짓고 학문과 후학양성에 힘썼다.<ref>정성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3886&cid=59015&categoryId=59015 조식]", 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이황]]과 편지를 주고 받았으며, [[이언적]]의 천거가 있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55세에 단성현감에 임명된 후 [[을묘사직소]]를 올려 [[문정왕후|문정대비]]를 과부라고 칭하며 척신정치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조식]]의 문인으로는 [[정인홍]], [[정구]], [[곽재우]], [[김효원]], [[최영경]] 등이 있다.<ref>정만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336 조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11월 13일 (월) 02:40 판

조식(曺植)
Joseon yangban mid.png
대표명칭 조식
한자표기 曺植
생몰년 1501년-1572년
본관 창녕(昌寧)
시호 문정(文貞)
남명(南冥)
건중(健中)
조언형
조언형 처 인주 이씨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이다.

내용

20대 중반까지 서울에 살면서 성운과 교유하였다. 1519년 기묘사화로 숙부 조언경이 귀양가고, 1526년 26세에 부친상을 당해 고향으로 돌아갔다. 30세가 되던 해 김해 산해정을 짓고 학문과 후학양성에 힘썼다.[1]이황과 편지를 주고 받았으며, 이언적의 천거가 있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55세에 단성현감에 임명된 후 을묘사직소를 올려 문정대비를 과부라고 칭하며 척신정치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조식의 문인으로는 정인홍, 정구, 곽재우, 김효원, 최영경 등이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식 이황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조식 이언적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을묘사직서 조식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을묘사직서 문정왕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식 정인홍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조식 정구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해 산해정 조식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조식 성운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조식 곽재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조식 김효원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조식 최영경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조식 하진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조식 하진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조식 하국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주석

  1. 정성희, "조식", 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정만조, "조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조식", 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조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정만조, "조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식",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정주, "남명(南冥) 조식②…대붕(大鵬)의 기상 ‘을묘사직소’", 『헤드라인뉴스』, 작성일: 2014년 04월 30일.
  • 이성무,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 『학술원논문집 : 인물,사회과학편』47, 대한민국 학술원, 2008.
  • 신병주, 「남명 조식의 학풍과 남명문인의 활동」, 『남명학연구논총』3, 남명학연구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