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사건정보 |사진=land_battle.png |사진출처= |대표명칭=황산대첩 |한자표기=荒山大捷 |영문명칭= |이칭= |유형=전투 |시대=고려 |날짜=1380년 9월...)
 
20번째 줄: 20번째 줄:
  
 
=='''내용'''==
 
=='''내용'''==
 
+
===홍산전투, 진포대첩===
 +
14세기 후반 왜구의 노략질이 극에 달하자 고려 조정에서는 여러 번 군사를 보내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1376년 [[최영]](崔瑩)이 [[홍산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이후로 잠시 잠잠하였다가, 1380년 8월 5백척의 대선단으로 진포(鎭浦)에 재차 침입하였다. 이에 고려 정부는 [[심덕부]], [[나세]], [[최무선]]의 지휘 하에 화약 무기를 적재한 신형 함선 100척을 출동시켜 왜선을 소탕하도록 하였다. 고려 함선들은 진포에 이르러 밧줄로 서로 묶여있는 적함을 향해 일제히 화전과 화통, 화포를 사용해 집중 사격을 퍼부었다. 화공을 통해 고려 함대는 적선 500척을 모조리 파괴·소각시키고 왜구들에게 붙잡혀 있던 330명의 고려 백성을 구출하였다.<ref>김종수, "[http://gu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gunsan&dataType=01&contents_id=GC05700448 진포 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군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황산대첩===
 +
[[진포대첩]]에서 패퇴한 왜구들은 다시 경산(京山 :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을 침략하고, 사근내역(沙斤乃驛: 지금의 경상남도 함양)에 집결, 반격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조선 태조|이성계]]를 삼도도순찰사(三道都巡察使)로 임명하여 왜구대토벌작전에 나서게 하였다. 양측이 황산 서북의 정산봉(鼎山峰)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인 끝에 [[조선 태조|이성계]]가 이끄는 고려군이 대승을 거두어 적장 [[아기발도]](阿其拔都)를 비롯한 왜구를 크게 물리쳤다.<ref>손홍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78 황산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9월 26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35번째 줄: 38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영규]] || [[청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진포대첩]] || [[황산대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조헌]] || [[청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조헌]]||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영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2차 금산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최무선]]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헌]] || [[2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조선 태조]] || [[황산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영규]] ||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아기발도]] || [[황산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금산전투]] || [[1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아기발도]] || [[조선 태조]]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금산전투]] || [[2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아기발도]] || [[최무선]]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금산 칠백의총]] || [[2차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심덕부]]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조헌]]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영규]]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나세]]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금산 종용사]]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최무선]]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금산 종용사]] ||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화포]] || [[진포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조헌]]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화포]] || [[최무선]]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영규]]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고경명]]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고경명]] || [[1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휴정]] ||[[영규]]||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이이]] || [[조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조헌]] ||[[지부복궐상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91번째 줄: 74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 자원
 
#웹 자원
#*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751 청주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9165 황산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5580 청주성싸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김종수, "[http://gu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gunsan&dataType=01&contents_id=GC05700448 진포 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군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손홍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78 황산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9월 26일.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이석린,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0200637 청주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황산대첩", 『문화원형백과-한민족 전투』, 한국콘텐츠진흥원,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4056&cid=49345&categoryId=49345 황산대첩]", 문화원형백과-한민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송만오,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0600741 황산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
 
 +
===더 읽을거리===
 +
# 선주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79 황산대첩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12월 9일.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0067 남원 황산대첩비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분류:민족/교열요청]]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사건]]

2017년 11월 12일 (일) 18:14 판

황산대첩(荒山大捷)
Land battle.png
대표명칭 황산대첩
한자표기 荒山大捷
유형 전투
시대 고려
날짜 1380년 9월
관련인물 이성계,아기발도
관련장소 황산(荒山)



정의

1380년(우왕 6) 9월 이성계(李成桂)가 전라도 지리산 근방 황산에서 왜구(倭寇)를 격퇴시킨 싸움.[1]

내용

홍산전투, 진포대첩

14세기 후반 왜구의 노략질이 극에 달하자 고려 조정에서는 여러 번 군사를 보내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1376년 최영(崔瑩)이 홍산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이후로 잠시 잠잠하였다가, 1380년 8월 5백척의 대선단으로 진포(鎭浦)에 재차 침입하였다. 이에 고려 정부는 심덕부, 나세, 최무선의 지휘 하에 화약 무기를 적재한 신형 함선 100척을 출동시켜 왜선을 소탕하도록 하였다. 고려 함선들은 진포에 이르러 밧줄로 서로 묶여있는 적함을 향해 일제히 화전과 화통, 화포를 사용해 집중 사격을 퍼부었다. 화공을 통해 고려 함대는 적선 500척을 모조리 파괴·소각시키고 왜구들에게 붙잡혀 있던 330명의 고려 백성을 구출하였다.[2]

황산대첩

진포대첩에서 패퇴한 왜구들은 다시 경산(京山 :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을 침략하고, 사근내역(沙斤乃驛: 지금의 경상남도 함양)에 집결, 반격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이성계를 삼도도순찰사(三道都巡察使)로 임명하여 왜구대토벌작전에 나서게 하였다. 양측이 황산 서북의 정산봉(鼎山峰)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인 끝에 이성계가 이끄는 고려군이 대승을 거두어 적장 아기발도(阿其拔都)를 비롯한 왜구를 크게 물리쳤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진포대첩 황산대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무선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태조 황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아기발도 황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아기발도 조선 태조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아기발도 최무선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심덕부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나세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무선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화포 진포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화포 최무선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황산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김종수, "진포 대첩", 『디지털군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손홍렬, "황산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9월 26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황산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김종수, "진포 대첩", 『디지털군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손홍렬, "황산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9월 26일.

유용한 정보

  1. "황산대첩", 『문화원형백과-한민족 전투』, 한국콘텐츠진흥원, 2002. 온라인 참조: "황산대첩", 문화원형백과-한민족 전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송만오, "황산대첩",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더 읽을거리

  1. 선주선, "황산대첩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12월 9일.
  2. "남원 황산대첩비지",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