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고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91번째 줄: | 91번째 줄: | ||
| [[보우(고려)]] || [[보은 법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보우(고려)]] || [[보은 법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보우(고려)]] || [[ | + | | [[태고화상어록]]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태고암가]]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양평 사나사]] || [[보우(고려)]]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2017년 11월 10일 (금) 23:37 판
특별기고: 고려 태고가 원 석옥에게 |
보우(普愚) | |
대표명칭 | 보우 |
---|---|
한자 | 普愚 |
생몰년 | 1301년-1382년 |
시호 | 원증(圓證) |
호 | 태고(太古) |
휘 | 보우(普愚) |
탑호 | 보월승공(寶月昇空) |
성씨 | 홍씨(洪氏) |
본관 | 홍주(洪州) |
출신지 | 홍주(洪州: 현재 충청남도 홍성) |
승탑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사나사원증국사탑 |
승탑비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 |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생애
가계와 탄생
태고 보우는 1301년(충렬왕 27년) 충청남도 홍주(洪州, 현재의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홍주(洪州). 속성은 홍씨(洪氏). 첫 법명은 보허(普虛)이고 호는 태고(太古). 법명은 보우(普愚). 아버지는 홍연(洪延)이며,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다. [1]
출가 수행
태고 보우는 13세 때 양주 회암사의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스승으로 하여 득도했다. 19세 때 가지산 업림에서 만법귀일(萬法歸一)의 설두로 선지를 참구했으나 대중은 아무도 그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26세에 화엄선에 합격하고 경전을 두루 연구하여 그 뜻을 깊이 각인했다.[2]
13살 때 회암사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은사로 하여 스님이 되었다. 19살 적부터 만법귀일(萬法歸一)이언만 일귀하처화(一歸何處話)를 들어 참선하였다. | ||
출처: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
구법 유학
태고 보우는 46세떄에 중국으로 건너가 약 2년 동안 행류(行遊)하는 가운데 원나라 황제에게 우대 받아 두 차례 법회를 주관했다. 또한 임제선사의 18대손으로 부터 당시 중국에서 으뜸가는 석옥(石屋) 청공선사(淸珙禪師)를 만나 심계를 얻었다. 보우는 연경의 대관사에서 순제의 청으로 『반약경』을 강의한다. [3] 이때 명성이 높아져 원나라 태자의 생일을 맞아, 영녕사에서 개당설법하니 원 황실에서 보우에게 향과 폐백과 금란가사를 증정했다. 이때 공민왕이 세자로 연경에 와 있었는데 감탄하여 말하기를 "내가 만약 고려에 돌아가 친정을 도모하게 되면 스님을 나의 스승으로 모시리라" 하였다. 이러한 공민왕과의 만남은 후일 보우가 왕사와 국사의 자리에 오르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4]
귀국 및 활동
왕사로 임명되다
1356년 왕의 청으로 봉은사(奉恩寺)에서 설법했고, 그해 4월 왕사(王師)로 책봉되어 광명사(廣明寺)에 머물렀다. 1362년 왕은 그를 희양산 봉암사(鳳巖寺)에 머물게 했고, 1363년 가지산 보림사(寶林寺)로 옮기게 했다.[5]
신돈과의 악연
보우는 가지사(迦智寺, 장흥 보림사)로 옮겼을 때 공민왕에게 신돈을 가까이 하지 말라고 상소하기도 하였다. 3년 후 66세가 되던 겨울, 신돈의 일로 인장을 보내고 왕사를 사임했다. 이후 68세가 되던 1368년 여름, 신돈에 의해 속리사(俗離寺, 보은 법주사)에 금고되었다가 69세 3월 소설산(小雪山)으로 돌아왔다.[6]
입적
보우는 71세에 국사로 책봉되고 81세에 우왕에게 재차 국사로 책봉되는 등 왕사로 16년, 그리고 국사로 12년 동안 봉직한다. 이후 1382년 그의 나이 82세, 법랍 69세가 되던 1382년에 소설암에서 입적한다. 다음해 1월 12일에 화장하니 헤아릴 수도 없는 사리가 나왔다고 한다.[7]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사나사원증국사탑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사나사원증국사석종비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청공 | 보우(고려)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보우(고려) | 고려 공민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보우(고려) | 신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고양 태고사 | 보우(고려)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보우(고려) | 장흥 보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보우(고려) | 소설암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보우(고려) | 보은 법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태고화상어록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태고암가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양평 사나사 | 보우(고려)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BTN뉴스 태고종, 태고문화축제, Youtube, 게시일: 2015. 11. 1.
- empiricalalchemist, 윤홍식의 큰스님 시리즈 #02 - 태고국사 보우, Youtube, 게시일: 2013. 3. 12.
주석
- ↑ 김위석, "보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3쪽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6-27쪽.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2쪽.
- ↑ 김위석, "보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5쪽.
-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5-36쪽.
참고문헌
- 김위석, "보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서정문, 「太古普愚의 禪風에 관한 硏究」, 『中央增伽大學論文集』, 중앙승가대학교, 1994, 7-31쪽.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450-472쪽.
- 최연식, 「신돈(辛旽)의 불교 신앙과 불교 정책」, 『불교학보』 86,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267-291쪽.
- 한기두, 「太古 普愚 硏究」, 『원광대학교 논문집』, 1973, 83-105쪽.
- 황인규, "36. 태고보우 선사", 불교신문, 2007.10.10.
- 허정철, "⑪ 태고 보우국사-한국불교 대선사의 풍모 '장엄'", 불교신문, 200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