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세병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26번째 줄: 26번째 줄:
  
 
=='''내용'''==
 
=='''내용'''==
세병관은 [[이경준]] 제6대 [[수군통제사]]가 [[삼도수군통제영|통제영]]을 이 고장 두룡포에 옮겨온 이듬해인 선조 38년(1605) 그해 7월 14일에 준공한 통제영의 객사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239&cid=42856&categoryId=42856 통영 세병관]", 대한민국 구석구석,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통영 세병관은 1963년 10월 24일 해체수리시 종도리의 홈 속에서 발견된 세병관중수상량문에 을사년(서기 1605년) 1월에 짓기 시작하여 그해 가을 7월14일에 상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건물은 창건 후 약 290년 동안 3도(경상·전라·충청도) 수군을 총 지휘했던 곳으로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치긴 했지만 아직도 멀리 남해를 바라보며 당시의 위용을 자랑하고 있는 건물 중 최고의 건물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3050000,38&flag=Y 통영 세병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세병관은 [[이경준]] 제6대 [[수군통제사]]가 [[삼도수군통제영|통제영]]을 이 고장 두룡포에 옮겨온 이듬해인 선조 38년(1605) 그해 7월 14일에 준공한 통제영의 객사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239&cid=42856&categoryId=42856 통영 세병관]", 대한민국 구석구석, <html>『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통영 세병관은 1963년 10월 24일 해체수리시 종도리의 홈 속에서 발견된 세병관중수상량문에 을사년(서기 1605년) 1월에 짓기 시작하여 그해 가을 7월14일에 상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건물은 창건 후 약 290년 동안 3도(경상·전라·충청도) 수군을 총 지휘했던 곳으로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치긴 했지만 아직도 멀리 남해를 바라보며 당시의 위용을 자랑하고 있는 건물 중 최고의 건물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3050000,38&flag=Y 통영 세병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장방형 평면으로 모든 칸[間]에는 창호나 벽체를 만들지 않고, 통간(通間)으로 개방하였다. 다만, 우물마루로 된 평면바닥의 중앙 일부를 한 단 올림으로써 위계성(位階性)을 주고 있다.
 
장방형 평면으로 모든 칸[間]에는 창호나 벽체를 만들지 않고, 통간(通間)으로 개방하였다. 다만, 우물마루로 된 평면바닥의 중앙 일부를 한 단 올림으로써 위계성(位階性)을 주고 있다.

2017년 11월 8일 (수) 21:35 판

통영 세병관
(統營 洗兵館)
대표명칭 통영 세병관
한자표기 統營 洗兵館
유형 유적
시대 조선
지정번호 국보 제305호
지정일 2002년 10월 14일
소장처 경상남도 통영시 세병로 27(문화동)
관련인물 이순신,이경준
관련유물유적 삼도수군통제영



정의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내용

세병관은 이경준 제6대 수군통제사통제영을 이 고장 두룡포에 옮겨온 이듬해인 선조 38년(1605) 그해 7월 14일에 준공한 통제영의 객사이다.[1] 통영 세병관은 1963년 10월 24일 해체수리시 종도리의 홈 속에서 발견된 세병관중수상량문에 을사년(서기 1605년) 1월에 짓기 시작하여 그해 가을 7월14일에 상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건물은 창건 후 약 290년 동안 3도(경상·전라·충청도) 수군을 총 지휘했던 곳으로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치긴 했지만 아직도 멀리 남해를 바라보며 당시의 위용을 자랑하고 있는 건물 중 최고의 건물이다.[2]

장방형 평면으로 모든 칸[間]에는 창호나 벽체를 만들지 않고, 통간(通間)으로 개방하였다. 다만, 우물마루로 된 평면바닥의 중앙 일부를 한 단 올림으로써 위계성(位階性)을 주고 있다. 다듬은 돌로 바른층쌓기한 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워, 기둥 윗몸은 횡방향으로 창방으로써 결구(結構)하였다. 공포(栱包)는 기둥 위에만 짜 올린 주심포식(柱心包式)이지만, 수법상 익공식(翼工式) 수법과 다포식(多包式) 수법이 많이 보인다.[3]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통영 세병관 수군통제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dcterms:isPartOf B
통영 세병관 삼도수군통제영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통영 세병관", 대한민국 구석구석,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통영 세병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주남철, "통영 세병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통영 세병관", 대한민국 구석구석,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통영 세병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주남철, "통영 세병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