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금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사건정보 | {{사건정보 | ||
|사진= 민족팀_일러_성전투.png | |사진= 민족팀_일러_성전투.pn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 2차 금산전투 | |대표명칭= 2차 금산전투 | ||
|한자표기= 錦山戰鬪 | |한자표기= 錦山戰鬪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유형= 전투 | |유형= 전투 | ||
|시대= 조선 | |시대= 조선 | ||
− | |날짜= 1592년 | + | |날짜= 1592년 8월 18일-19일 |
|관련인물= [[조헌]], [[영규]],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관련인물= [[조헌]], [[영규]],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임진왜란]] 때인 1592년([[조선 | + | [[임진왜란]] 때인 1592년([[조선 선조]] 25) 8월 18일부터 19일까지 의병장 [[조헌]]이 지휘한 의병과 [[영규]]가 이끈 승병이 충청남도 금산에서 왜군과 싸운 두 번째 전투이다. |
=='''내용'''== | =='''내용'''== | ||
===배경=== | ===배경=== | ||
− | + | 8월 1일 [[청주전투]]에서 [[청주성]]을 수복한 [[조헌]]과 [[영규]]는 근왕<ref>근왕(勤王) : 싸움에서 군사가 임금을 위해 충성을 다하는 일</ref>을 결의하고 북행길에 올랐다. 충청도 아산에 이르렀을 때, 충청도순찰사 [[윤국형|윤국형(尹國馨)]]의 권유로, 때마침 [[금산]]을 점거하고 이어 호남 지방을 침범하려는 왜군을 무찌르기 위하여 공주로 돌아왔다.<ref>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820 금산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9일.</ref>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근왕창의도.jpg|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근왕창의도><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근왕창의도.jpg|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근왕창의도><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금산 칠백의총 기념관_근왕창의도 안내문.jpg| <근왕창의도> 안내문<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금산 칠백의총 기념관_근왕창의도 안내문.jpg| <근왕창의도> 안내문<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
</gallery> | </gallery> | ||
− | 그러나 [[조헌]]이 전공을 세우는 것을 시기한 | + | 그러나 [[조헌]]이 전공을 세우는 것을 시기한 [[윤국형]]의 방해로 의병들이 뿔뿔이 흩어져 그 수가 700명으로 줄었다. [[조헌]]은 관군의 협조를 얻지 못한 채 단독으로 700의사(義士)와 함께 [[금산]]으로 진격하였고, [[영규|영규대사(靈圭, ? ~ 1592년)]]가 이끄는의 승병과 합세하여 8월 18일 금산성 밖 10리 지점에 진을 쳤다. <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0223 금산싸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경과=== | ===경과=== | ||
− | 성내의 왜군은 우리 군사의 후속 부대가 없는 것을 정탐하고는 복병을 | + | 성내의 왜군은 우리 군사의 후속 부대가 없는 것을 정탐하고는 복병을 심어 퇴로를 막은 다음, 군사를 나누어 교대로 공격해왔다. [[조헌]]은 명령을 내려 "한 번의 죽음이 있을 뿐 '의(義)'에 부끄럼이 없게 하라" 하고 힘껏 싸워 왜군의 세 차례 공격을 모두 물리쳤으나, 온종일 싸우느라 화살이 다 떨어지고 말았다. 이를 안 왜군이 일제공격을 감행해 장막 안으로 돌입하니 의병은 육박전을 벌여 한 명의 도망자도 없이 모두 순절하였다. [[영규]]의 승군도 모두 전사하였다.<ref>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820 금산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9일.</ref> |
===결과 및 의의=== | ===결과 및 의의=== | ||
− | 2차 금산전투로 인하여 | + | 2차 금산전투로 인하여 왜군 역시 큰 타격을 입어 무주와 옥천에 집결해 있던 왜병과 함께 퇴각하였다. 이로써 호남·호서 지방이 안전해졌으며 나라를 회복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왜군이 물러간 뒤 [[조헌]]의 문인 [[박정량|박정량(朴廷亮)]]이 의사 700명의 유골을 모아 큰 무덤 한 곳에 합장하였다. 후세에 이를 '[[금산 칠백의총|칠백의총(七百義塚)]]'이라 불렀다. 선비들이 매년 시향을 받들어왔으며, 1971년 정부에서 이 지역을 성역화하였다.<ref>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820 금산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9일.</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104번째 줄: | 104번째 줄: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
− | [[분류:민족/ | + | [[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7일 (화) 00:10 판
2차 금산전투(錦山戰鬪) | |
대표명칭 | 2차 금산전투 |
---|---|
한자표기 | 錦山戰鬪 |
이칭 | 2차 금산싸움 |
유형 | 전투 |
시대 | 조선 |
날짜 | 1592년 8월 18일-19일 |
관련인물 | 조헌, 영규,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관련장소 | 금산,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관련유물유적 | 금산 종용사, 금산 칠백의총 |
목차
정의
임진왜란 때인 1592년(조선 선조 25) 8월 18일부터 19일까지 의병장 조헌이 지휘한 의병과 영규가 이끈 승병이 충청남도 금산에서 왜군과 싸운 두 번째 전투이다.
내용
배경
8월 1일 청주전투에서 청주성을 수복한 조헌과 영규는 근왕[1]을 결의하고 북행길에 올랐다. 충청도 아산에 이르렀을 때, 충청도순찰사 윤국형(尹國馨)의 권유로, 때마침 금산을 점거하고 이어 호남 지방을 침범하려는 왜군을 무찌르기 위하여 공주로 돌아왔다.[2]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근왕창의도>[3]
<근왕창의도> 안내문[4]
그러나 조헌이 전공을 세우는 것을 시기한 윤국형의 방해로 의병들이 뿔뿔이 흩어져 그 수가 700명으로 줄었다. 조헌은 관군의 협조를 얻지 못한 채 단독으로 700의사(義士)와 함께 금산으로 진격하였고, 영규대사(靈圭, ? ~ 1592년)가 이끄는의 승병과 합세하여 8월 18일 금산성 밖 10리 지점에 진을 쳤다. [5]
경과
성내의 왜군은 우리 군사의 후속 부대가 없는 것을 정탐하고는 복병을 심어 퇴로를 막은 다음, 군사를 나누어 교대로 공격해왔다. 조헌은 명령을 내려 "한 번의 죽음이 있을 뿐 '의(義)'에 부끄럼이 없게 하라" 하고 힘껏 싸워 왜군의 세 차례 공격을 모두 물리쳤으나, 온종일 싸우느라 화살이 다 떨어지고 말았다. 이를 안 왜군이 일제공격을 감행해 장막 안으로 돌입하니 의병은 육박전을 벌여 한 명의 도망자도 없이 모두 순절하였다. 영규의 승군도 모두 전사하였다.[6]
결과 및 의의
2차 금산전투로 인하여 왜군 역시 큰 타격을 입어 무주와 옥천에 집결해 있던 왜병과 함께 퇴각하였다. 이로써 호남·호서 지방이 안전해졌으며 나라를 회복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왜군이 물러간 뒤 조헌의 문인 박정량(朴廷亮)이 의사 700명의 유골을 모아 큰 무덤 한 곳에 합장하였다. 후세에 이를 '칠백의총(七百義塚)'이라 불렀다. 선비들이 매년 시향을 받들어왔으며, 1971년 정부에서 이 지역을 성역화하였다.[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금산전투 | 1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금산전투 | 2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헌 | 2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영규 | 2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금산 칠백의총 | 2차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헌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영규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금산 종용사 | 금산 칠백의총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조헌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조헌 | 조완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조완기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영규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휴정 | 영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이이 | 조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조헌 | 지부복궐상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근왕창의도>[8]
<근왕창의도> 안내문[9]
영상
주석
- ↑ 근왕(勤王) : 싸움에서 군사가 임금을 위해 충성을 다하는 일
- ↑ 김진봉, "금산전투",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9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금산싸움",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김진봉, "금산전투",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9일. - ↑ 김진봉, "금산전투",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9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유용한 정보
- 문안식, "금산성 전투",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금산전투(2차)",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정만진, "죽으면 그만이지 구차하게 살 수는 없다", 『오마이뉴스』, 작성일: 2016년 8월 16일.
- 문안식, "금산성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