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재몽유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조선 중종 때에 심의(沈義)가 지은 한문 소설. | + | 조선 중종 때에 [[심의|심의(沈義)]]가 지은 한문 소설. |
=='''내용'''== | =='''내용'''== | ||
− | 안정복편(安鼎福編) | + | 안정복편(安鼎福編) 『잡동산이(雜同散異)』에 수록된 유일본 한문 몽유록이다. 총 24면, 매면 13행, 매행 20자 정도다. 일명 ‘대관재기몽(大觀齋記夢)’ 또는 ‘몽기(夢記)’라고도 한다. 「대관재몽유록」은 문인의 희필적 성격(戱筆的性格)이 강하다. 그렇지만 정치 현실에 대한 불만 때문에 이상적인 문인왕국(文人王國)을 그린 것으로 지적된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향락적·반동적·이념옹호적 유형이 특징인 ‘이념제시형(理念提示型)’ 몽유록의 최초 작품으로 분류된다.<ref>이규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043 대관재몽유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전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 전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 ||
− | + | {{Blockquote|몽유자인 작자 [[심의|심의(沈義)]]가 주인공이 되어 천상세계에 들어가 천자의 총애를 받아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의 관직에 제수된다. 천상세계의 문물 제도를 [[박은|박은(朴誾)]]을 통하여 알게 된다. 천자는 [[최치원|최치원(崔致遠)]], 수상은 [[을지문덕|을지문덕(乙支文德)]], 좌우상(左右相)은 [[이규보|이규보(李奎報)]]와 [[이제현|이제현(李齊賢)]], 관각(館閣)의 요직은 [[김극기|김극기(金克己)]]·[[이인로|이인로(李仁老)]]·[[권근|권근(權近)]]·[[이색|이색(李穡)]]·[[정몽주|정몽주(鄭夢周)]]·[[이숭인|이숭인(李崇仁)]]·[[유방선|유방선(柳方善)]]·[[강희맹|강희맹(姜希孟)]]·[[김종직|김종직(金宗直)]]이며, [[이색]]이 대제학으로서 문형(文衡)을 맡고 있다.<ref>이규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043 대관재몽유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 {{Blockquote|몽유자인 작자 [[심의|심의(沈義)]]가 주인공이 되어 천상세계에 들어가 천자의 총애를 받아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의 관직에 제수된다. 천상세계의 문물 제도를 [[박은|박은(朴誾)]]을 통하여 알게 된다. 천자는 [[최치원|최치원(崔致遠)]], 수상은 [[을지문덕|을지문덕(乙支文德)]], 좌우상(左右相)은 [[이규보|이규보(李奎報)]]와 [[이제현|이제현(李齊賢)]], 관각(館閣)의 요직은 [[김극기|김극기(金克己)]]·[[이인로|이인로(李仁老)]]·[[권근|권근(權近)]]·[[이색|이색(李穡)]]·[[정몽주|정몽주(鄭夢周)]]·[[이숭인|이숭인(李崇仁)]]·[[유방선|유방선(柳方善)]]·[[강희맹|강희맹(姜希孟)]]·[[김종직|김종직(金宗直)]]이며, [[이색]]이 대제학으로서 문형(文衡)을 맡고 있다.<ref>이규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043 대관재몽유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심의]]도 천자에게 숭록대부(崇錄大夫)를 제수받고, 좋은 집을 하사받으며 총애를 독점했다. 그런데, 이 문장왕국의 천자는 능력과 귀천은 묻지 않았고 문장의 실력에 따라 벼슬을 올리거나 내렸다. 여기서 그 곳은 문장중심의 왕국임을 알 수 있다. 이 문장왕국에 불평을 품고 문천군수(文川郡守)인 [[김시습|김시습(金時習)]]이 반란을 일으켜 공격했다. [[김시습]]이 반기를 든 것은 천자가 당시(唐詩)를 매우 좋아하여 작품이 당시와 다르면 벼슬을 강등시키거나 천한 일을 맡겼기 때문이다. [[김시습]]의 반란을 평정한 후 우리나라의 천자인 [[최치원]]과 중국의 천자인 [[두보|두보(杜甫)]]가 각자 신하들과 같이 우리나라 궁중에 모여 시회를 열고 헤어진 후 [[최치원]]은 시로써 중국을 당할 수 없다고 탄식했다. 그리고 [[심의]]는 부인과 헤어지는 순간에 꿈을 깼다.<ref>권영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6460&cid=41708&categoryId=44531 대관재몽유록]", 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고전문학사전』<sup>online</sup></online></html>,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심의]]도 천자에게 숭록대부(崇錄大夫)를 제수받고, 좋은 집을 하사받으며 총애를 독점했다. 그런데, 이 문장왕국의 천자는 능력과 귀천은 묻지 않았고 문장의 실력에 따라 벼슬을 올리거나 내렸다. 여기서 그 곳은 문장중심의 왕국임을 알 수 있다. 이 문장왕국에 불평을 품고 문천군수(文川郡守)인 [[김시습|김시습(金時習)]]이 반란을 일으켜 공격했다. [[김시습]]이 반기를 든 것은 천자가 당시(唐詩)를 매우 좋아하여 작품이 당시와 다르면 벼슬을 강등시키거나 천한 일을 맡겼기 때문이다. [[김시습]]의 반란을 평정한 후 우리나라의 천자인 [[최치원]]과 중국의 천자인 [[두보|두보(杜甫)]]가 각자 신하들과 같이 우리나라 궁중에 모여 시회를 열고 헤어진 후 [[최치원]]은 시로써 중국을 당할 수 없다고 탄식했다. 그리고 [[심의]]는 부인과 헤어지는 순간에 꿈을 깼다.<ref>권영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6460&cid=41708&categoryId=44531 대관재몽유록]", 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고전문학사전』<sup>online</sup></online></html>,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 |||
대관재몽유록은 현실의 권력 왕국에 대하여 꿈속에 문장(文章)왕국을 세워 문인들의 이상향을 그린 작품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5222 대관재몽유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대관재몽유록은 현실의 권력 왕국에 대하여 꿈속에 문장(文章)왕국을 세워 문인들의 이상향을 그린 작품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5222 대관재몽유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2017년 11월 4일 (토) 17:29 기준 최신판
대관재몽유록(大觀齋夢遊錄) | |
대표명칭 | 대관재몽유록 |
---|---|
한자표기 | 大觀齋夢遊錄 |
이칭 | 대관재기몽(大觀齋記夢) |
저자 | 심의(沈義) |
시대 | 조선시대 |
정의
조선 중종 때에 심의(沈義)가 지은 한문 소설.
내용
안정복편(安鼎福編) 『잡동산이(雜同散異)』에 수록된 유일본 한문 몽유록이다. 총 24면, 매면 13행, 매행 20자 정도다. 일명 ‘대관재기몽(大觀齋記夢)’ 또는 ‘몽기(夢記)’라고도 한다. 「대관재몽유록」은 문인의 희필적 성격(戱筆的性格)이 강하다. 그렇지만 정치 현실에 대한 불만 때문에 이상적인 문인왕국(文人王國)을 그린 것으로 지적된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향락적·반동적·이념옹호적 유형이 특징인 ‘이념제시형(理念提示型)’ 몽유록의 최초 작품으로 분류된다.[1]
전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 |
몽유자인 작자 심의(沈義)가 주인공이 되어 천상세계에 들어가 천자의 총애를 받아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의 관직에 제수된다. 천상세계의 문물 제도를 박은(朴誾)을 통하여 알게 된다. 천자는 최치원(崔致遠), 수상은 을지문덕(乙支文德), 좌우상(左右相)은 이규보(李奎報)와 이제현(李齊賢), 관각(館閣)의 요직은 김극기(金克己)·이인로(李仁老)·권근(權近)·이색(李穡)·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유방선(柳方善)·강희맹(姜希孟)·김종직(金宗直)이며, 이색이 대제학으로서 문형(文衡)을 맡고 있다.[2] 심의도 천자에게 숭록대부(崇錄大夫)를 제수받고, 좋은 집을 하사받으며 총애를 독점했다. 그런데, 이 문장왕국의 천자는 능력과 귀천은 묻지 않았고 문장의 실력에 따라 벼슬을 올리거나 내렸다. 여기서 그 곳은 문장중심의 왕국임을 알 수 있다. 이 문장왕국에 불평을 품고 문천군수(文川郡守)인 김시습(金時習)이 반란을 일으켜 공격했다. 김시습이 반기를 든 것은 천자가 당시(唐詩)를 매우 좋아하여 작품이 당시와 다르면 벼슬을 강등시키거나 천한 일을 맡겼기 때문이다. 김시습의 반란을 평정한 후 우리나라의 천자인 최치원과 중국의 천자인 두보(杜甫)가 각자 신하들과 같이 우리나라 궁중에 모여 시회를 열고 헤어진 후 최치원은 시로써 중국을 당할 수 없다고 탄식했다. 그리고 심의는 부인과 헤어지는 순간에 꿈을 깼다.[3] |
![]() |
출처: |
대관재몽유록은 현실의 권력 왕국에 대하여 꿈속에 문장(文章)왕국을 세워 문인들의 이상향을 그린 작품이다.[4]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대관재몽유록 | 심의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박은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치원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지문덕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규보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제현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극기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인로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권근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색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몽주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숭인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유방선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강희맹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종직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치원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시습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이규호, "대관재몽유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규호, "대관재몽유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권영민, "대관재몽유록", 고전문학사전,
『네이버 고전문학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대관재몽유록",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
- 이규호, "대관재몽유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권영민, "대관재몽유록", 고전문학사전,
『네이버 고전문학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대관재몽유록",
『두산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