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재몽유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조선 중종 때에 심의(沈義)가 지은 | + | 조선 중종 때에 심의(沈義)가 지은 한문 소설. |
=='''내용'''== | =='''내용'''== | ||
− | 안정복편(安鼎福編) 『[[잡동산이|잡동산이(雜同散異)]]』에 | + | 안정복편(安鼎福編) 『[[잡동산이|잡동산이(雜同散異)]]』에 수록된 유일본 한문 몽유록이다. 총 24면, 매면 13행, 매행 20자 정도다. 일명 ‘대관재기몽(大觀齋記夢)’ 또는 ‘몽기(夢記)’라고도 한다. 「대관재몽유록」은 문인의 희필적 성격(戱筆的性格)이 강하다. 그렇지만 정치 현실에 대한 불만 때문에 이상적인 문인왕국(文人王國)을 그린 것으로 지적된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향락적·반동적·이념옹호적 유형이 특징인 ‘이념제시형(理念提示型)’ 몽유록의 최초 작품으로 분류된다.<ref>이규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043 대관재몽유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전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 전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 ||
− | 몽유자인 작자 [[심의]]가 주인공이 되어 천상세계에 들어가 천자의 총애를 받아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의 관직에 제수된다. 천상세계의 | + | {{Blockquote|몽유자인 작자 [[심의]]가 주인공이 되어 천상세계에 들어가 천자의 총애를 받아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의 관직에 제수된다. 천상세계의 문물 제도를 [[박은|박은(朴誾)]]을 통하여 알게 된다. 천자는 [[최치원|최치원(崔致遠)]], 수상은 [[을지문덕|을지문덕(乙支文德)]], 좌우상(左右相)은 [[이규보|이규보(李奎報)]]와 [[이제현|이제현(李齊賢)]], 관각(館閣)의 요직은 [[김극기|김극기(金克己)]]·[[이인로|이인로(李仁老)]]·[[권근|권근(權近)]]·[[이색|이색(李穡)]]·[[정몽주|정몽주(鄭夢周)]]·[[이숭인|이숭인(李崇仁)]]·[[유방선|유방선(柳方善)]]·[[강희맹|강희맹(姜希孟)]]·[[김종직|김종직(金宗直)]]이며, [[이색]]이 대제학으로서 문형(文衡)을 맡고 있다.<ref>이규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043 대관재몽유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심의도 | + | 심의도 천자에게 숭록대부(崇錄大夫)를 제수받고, 좋은 집을 하사받으며 총애를 독점했다. 그런데, 이 문장왕국의 천자는 능력과 귀천은 묻지 않았고 문장의 실력에 따라 벼슬을 올리거나 내렸다. 여기서 그 곳은 문장중심의 왕국임을 알 수 있다. 이 문장왕국에 불평을 품고 문천군수(文川郡守)인 [[김시습|김시습(金時習)]]이 반란을 일으켜 공격했다. 김시습이 반기를 든 것은 천자가 당시(唐詩)를 매우 좋아하여 작품이 당시와 다르면 벼슬을 강등시키거나 천한 일을 맡겼기 때문이다. [[김시습]]의 반란을 평정한 후 우리나라의 천자인 [[최치원]]과 중국의 천자인 [[두보|두보(杜甫)]]가 각자 신하들과 같이 우리나라 궁중에 모여 시회를 열고 헤어진 후 [[최치원]]은 시로써 중국을 당할 수 없다고 탄식했다. 그리고 심의는 부인과 헤어지는 순간에 꿈을 깼다.<ref>권영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6460&cid=41708&categoryId=44531 대관재몽유록]", 고전문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고전문학사전』<sup>online</sup></online></html>,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대관재몽유록은 현실의 | + | 대관재몽유록은 현실의 권력 왕국에 대하여 꿈속에 문장(文章)왕국을 세워 문인들의 이상향을 그린 작품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5222 대관재몽유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93번째 줄: | 94번째 줄: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4일 (토) 17:24 판
대관재몽유록(大觀齋夢遊錄) | |
대표명칭 | 대관재몽유록 |
---|---|
한자표기 | 大觀齋夢遊錄 |
이칭 | 대관재기몽(大觀齋記夢) |
저자 | 심의(沈義)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 | 1권 1책 |
정의
조선 중종 때에 심의(沈義)가 지은 한문 소설.
내용
안정복편(安鼎福編) 『잡동산이(雜同散異)』에 수록된 유일본 한문 몽유록이다. 총 24면, 매면 13행, 매행 20자 정도다. 일명 ‘대관재기몽(大觀齋記夢)’ 또는 ‘몽기(夢記)’라고도 한다. 「대관재몽유록」은 문인의 희필적 성격(戱筆的性格)이 강하다. 그렇지만 정치 현실에 대한 불만 때문에 이상적인 문인왕국(文人王國)을 그린 것으로 지적된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향락적·반동적·이념옹호적 유형이 특징인 ‘이념제시형(理念提示型)’ 몽유록의 최초 작품으로 분류된다.[1]
전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몽유자인 작자 심의가 주인공이 되어 천상세계에 들어가 천자의 총애를 받아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의 관직에 제수된다. 천상세계의 문물 제도를 박은(朴誾)을 통하여 알게 된다. 천자는 최치원(崔致遠), 수상은 을지문덕(乙支文德), 좌우상(左右相)은 이규보(李奎報)와 이제현(李齊賢), 관각(館閣)의 요직은 김극기(金克己)·이인로(李仁老)·권근(權近)·이색(李穡)·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유방선(柳方善)·강희맹(姜希孟)·김종직(金宗直)이며, 이색이 대제학으로서 문형(文衡)을 맡고 있다.[2]
심의도 천자에게 숭록대부(崇錄大夫)를 제수받고, 좋은 집을 하사받으며 총애를 독점했다. 그런데, 이 문장왕국의 천자는 능력과 귀천은 묻지 않았고 문장의 실력에 따라 벼슬을 올리거나 내렸다. 여기서 그 곳은 문장중심의 왕국임을 알 수 있다. 이 문장왕국에 불평을 품고 문천군수(文川郡守)인 김시습(金時習)이 반란을 일으켜 공격했다. 김시습이 반기를 든 것은 천자가 당시(唐詩)를 매우 좋아하여 작품이 당시와 다르면 벼슬을 강등시키거나 천한 일을 맡겼기 때문이다. 김시습의 반란을 평정한 후 우리나라의 천자인 최치원과 중국의 천자인 두보(杜甫)가 각자 신하들과 같이 우리나라 궁중에 모여 시회를 열고 헤어진 후 최치원은 시로써 중국을 당할 수 없다고 탄식했다. 그리고 심의는 부인과 헤어지는 순간에 꿈을 깼다.[3] |
||
출처: |
대관재몽유록은 현실의 권력 왕국에 대하여 꿈속에 문장(文章)왕국을 세워 문인들의 이상향을 그린 작품이다.[4]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대관재몽유록 | 심의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박은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치원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을지문덕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규보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제현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극기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인로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권근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색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몽주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숭인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유방선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강희맹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종직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치원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시습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이규호, "대관재몽유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규호, "대관재몽유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권영민, "대관재몽유록", 고전문학사전,
『네이버 고전문학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대관재몽유록",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
- 이규호, "대관재몽유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권영민, "대관재몽유록", 고전문학사전,
『네이버 고전문학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대관재몽유록",
『두산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