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수계, 설계, 설법 등 사원의 중요한 의식을 집행하는 곳이다. 대적광전은 본래 대응대광명전이었다. 대웅대광명전으로 불리던 때에는 이곳에 법신비로자나불, 보신노사나불, 화신석가모니불 등 삼신불 만을 봉안하였다고 한다. [[정유재란]] 때 경내의 모든 전각이 소실된 후 1635년([[조선 인조|인조]] 13)에 이르러 도량을 재건하였는데, 대웅대광명전과 극락전, 약사전에 봉안하고 있던 5여개, 6보살을 다시 조상하여 모두 한자리에 봉안하고 현액을 대적광전으로 바꾸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A0%9C_%EA%B8%88%EC%82%B0%EC%82%AC_%EB%8C%80%EC%A0%81%EA%B4%91%EC%A0%84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수계, 설계, 설법 등 사원의 중요한 의식을 집행하는 곳이다. 대적광전은 원래 대응대광명전이었다. 대웅대광명전으로 부르던 때는 이곳에 법신비로자나불, 보신노사나불, 화신석가모니불 등 삼신불만을 봉안했다고 한다. [[정유재란]] 때 경내의 모든 전각이 소실된 후 1635년([[조선 인조|인조]] 13)에 이르러 도량을 재건했는데, 대웅대광명전과 극락전, 약사전에 봉안하던 다섯여 개, 6보살을 다시 조상하여 모두 한자리에 봉안하고 현액을 대적광전으로 바꾸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A0%9C_%EA%B8%88%EC%82%B0%EC%82%AC_%EB%8C%80%EC%A0%81%EA%B4%91%EC%A0%84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대적광전은 화엄전(華嚴殿), 비로전(毘盧殿)이라고도 불리며 화엄종 사찰에서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모시는 전각이다. 비로자나 부처님은 이 세상 모든 진리의 깨달음을 상징하는데, 이 비로자나불이 있는 연화장 세계는 장엄하고 진리가 가득한 대장정의 세계라 하여 전각 이름을 대적광전이라고 한다.<ref>이영일,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15085 김제 금산사 일원과 대적광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동아 블로그 - 들꽃들의 속삭임』<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7월 2일.</ref>
 
대적광전은 화엄전(華嚴殿), 비로전(毘盧殿)이라고도 불리며 화엄종 사찰에서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모시는 전각이다. 비로자나 부처님은 이 세상 모든 진리의 깨달음을 상징하는데, 이 비로자나불이 있는 연화장 세계는 장엄하고 진리가 가득한 대장정의 세계라 하여 전각 이름을 대적광전이라고 한다.<ref>이영일,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15085 김제 금산사 일원과 대적광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동아 블로그 - 들꽃들의 속삭임』<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7월 2일.</ref>
  
[[김제 금산사|금산사]]의 대적광전은 중심 건물 규모에 비해 낮게 느껴지는 2단 기단 위에 정면 7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건물이다.<ref>이영일,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15085 김제 금산사 일원과 대적광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동아 블로그 - 들꽃들의 속삭임』<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7월 2일.</ref>   
+
[[김제 금산사|금산사]]의 대적광전은 중심 건물 규모에 비해 낮게 느껴지는 2단 기단 위에 정면 일곱 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건물이다.<ref>이영일,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15085 김제 금산사 일원과 대적광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동아 블로그 - 들꽃들의 속삭임』<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7월 2일.</ref>   
  
1968년 12월 1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476호로 지정되었으나, 1986년 12월 6일 화재로 전소되어 1987년 1월 1일 보물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현재 있는 건물은 1990년에 다시 복원된 것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A0%9C_%EA%B8%88%EC%82%B0%EC%82%AC_%EB%8C%80%EC%A0%81%EA%B4%91%EC%A0%84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968년 12월 19일 대한민국 보물 제476호로 지정되었으나, 1986년 12월 6일 화재로 전소하여 1987년 1월 1일 보물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현재 있는 건물은 1990년 다시 복원한 것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A0%9C_%EA%B8%88%EC%82%B0%EC%82%AC_%EB%8C%80%EC%A0%81%EA%B4%91%EC%A0%84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58번째 줄: 58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1월 4일 (토) 16:35 판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金提 金山寺 大寂光殿)
대표명칭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한자표기 金提 金山寺 大寂光殿
영문명칭 Daejeokgwangjeon Hall of Geumsansa Temple, Gimje
소장처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금산리)
관련장소 김제 금산사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金山寺)에 있는 건물.

내용

수계, 설계, 설법 등 사원의 중요한 의식을 집행하는 곳이다. 대적광전은 원래 대응대광명전이었다. 대웅대광명전으로 부르던 때는 이곳에 법신비로자나불, 보신노사나불, 화신석가모니불 등 삼신불만을 봉안했다고 한다. 정유재란 때 경내의 모든 전각이 소실된 후 1635년(인조 13)에 이르러 도량을 재건했는데, 대웅대광명전과 극락전, 약사전에 봉안하던 다섯여 개, 6보살을 다시 조상하여 모두 한자리에 봉안하고 현액을 대적광전으로 바꾸었다.[1]

대적광전은 화엄전(華嚴殿), 비로전(毘盧殿)이라고도 불리며 화엄종 사찰에서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모시는 전각이다. 비로자나 부처님은 이 세상 모든 진리의 깨달음을 상징하는데, 이 비로자나불이 있는 연화장 세계는 장엄하고 진리가 가득한 대장정의 세계라 하여 전각 이름을 대적광전이라고 한다.[2]

금산사의 대적광전은 중심 건물 규모에 비해 낮게 느껴지는 2단 기단 위에 정면 일곱 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건물이다.[3]

1968년 12월 19일 대한민국 보물 제476호로 지정되었으나, 1986년 12월 6일 화재로 전소하여 1987년 1월 1일 보물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현재 있는 건물은 1990년 다시 복원한 것이다.[4]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김제 금산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화엄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위키백과』online.
  2. 이영일, "김제 금산사 일원과 대적광전", 『동아 블로그 - 들꽃들의 속삭임』online, 작성일: 2014년 7월 2일.
  3. 이영일, "김제 금산사 일원과 대적광전", 『동아 블로그 - 들꽃들의 속삭임』online, 작성일: 2014년 7월 2일.
  4. "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위키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