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단체정보 |
− | |사진= | + | |사진=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 정리소 | |대표명칭= 정리소 | ||
|한자표기= 整理所 | |한자표기= 整理所 | ||
− | | | + | |영문명칭= |
− | | | + | |이칭= |
+ | |유형= | ||
+ | |창립자= | ||
+ | |창립시대= 조선 | ||
+ | |창립일= 1794년 | ||
+ | |변경일= | ||
+ | |해체일= 미상 | ||
|주요업무= [[정조]]의 [[현륭원]] 참배 | |주요업무= [[정조]]의 [[현륭원]] 참배 | ||
− | | | + | |담당업무= [[행행례]] |
− | + | |관련기관= [[예조|예조(禮曹)]] | |
− | | | + | |관련단체= |
− | | | + | |소재지= |
− | | | + | |웹사이트= |
}} | }} | ||
=='''정의'''== | =='''정의'''== | ||
− | 1795년(정조 19) [[정조]]의 [[현륭원|현륭원(顯隆園)]] 참배를 위하여 설치된 특별관서이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10쪽</ref> | + | 1795년(정조 19), [[정조]]의 [[현륭원|현륭원(顯隆園)]] 참배를 위하여 설치된 특별관서이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10쪽</ref> |
=='''내용'''== | =='''내용'''== | ||
===업무=== | ===업무=== | ||
− | 1794년(정조 18) 설치되어 [[정조]]의 [[화성행궁]] 시찰,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문ㆍ무과 별시, [[장용영|장용영(壯勇營)]] 훈련 실시, 한강의 배다리 가설 등을 총괄했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10쪽</ref> 행사를 마친 뒤에는 [[정리소]] 주체로 『[[원행을묘정리의궤|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를 | + | 1794년(정조 18)에 설치되어 [[정조]]의 [[화성행궁]] 시찰,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문ㆍ무과 별시, [[장용영|장용영(壯勇營)]] 훈련 실시, 한강의 배다리 가설 등을 총괄했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10쪽</ref> 행사를 마친 뒤에는 [[정리소]] 주체로 『[[원행을묘정리의궤|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를 간행하였는데, 새로 주조한 활자인 [[정리자|정리자(整理字)]]로 인쇄하였다. 이는 활자로 찍은 최초의 의궤이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32쪽</ref> [[정조]] 말에서 [[순조]] 초 사이에 혁파된 것으로 보인다.<ref>『純祖實錄』 2년(1802) 2월 7일: 「壯勇營撤罷別單」.</ref> |
===구성=== | ===구성=== | ||
29번째 줄: | 35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정리자]] || 정리소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정리소 || [[원행을묘정리의궤]] || A는 B를 편찬하였다 || A dcterms:publisher B |
|} | |} | ||
39번째 줄: | 45번째 줄: | ||
|- | |- | ||
| 1795년 || [[정리소]]가 설치되었다 | | 1795년 || [[정리소]]가 설치되었다 | ||
+ | |- | ||
+ | | 1795년 || [[원행을묘정리의궤]]를 편찬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한영우, 『조선왕조 | + |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 + | * 김준, 『이산 정조, 꿈의 도시 화성을 세우다』, 여유당, 2008. | |
− |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 | * 한영우, 『정조대왕 화성능행 반차도』, 효형출판, 2000. | ||
+ | *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 1998. | ||
+ | *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효형출판, 2007. | ||
+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 ||
−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단체]] | [[분류:단체]] |
2017년 11월 4일 (토) 14:57 기준 최신판
정리소(整理所) | |
대표명칭 | 정리소 |
---|---|
한자표기 | 整理所 |
창립시대 | 조선 |
창립일 | 1794년 |
해체일 | 미상 |
주요업무 | 정조의 현륭원 참배 |
담당업무 | 행행례 |
관련기관 | 예조(禮曹) |
정의
1795년(정조 19), 정조의 현륭원(顯隆園) 참배를 위하여 설치된 특별관서이다.[1]
내용
업무
1794년(정조 18)에 설치되어 정조의 화성행궁 시찰,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문ㆍ무과 별시, 장용영(壯勇營) 훈련 실시, 한강의 배다리 가설 등을 총괄했다.[2] 행사를 마친 뒤에는 정리소 주체로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를 간행하였는데, 새로 주조한 활자인 정리자(整理字)로 인쇄하였다. 이는 활자로 찍은 최초의 의궤이다.[3] 정조 말에서 순조 초 사이에 혁파된 것으로 보인다.[4]
구성
호조판서, 사복시 제조, 장용사, 경기도관찰사, 장악원 제조, 비변사 부제조로 구성된 6명의 정리사(整理使)를 두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리자 | 정리소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정리소 | 원행을묘정리의궤 | A는 B를 편찬하였다 | A dcterms:publisher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95년 | 정리소가 설치되었다 |
1795년 | 원행을묘정리의궤를 편찬하였다 |
주석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10쪽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10쪽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32쪽
- ↑ 『純祖實錄』 2년(1802) 2월 7일: 「壯勇營撤罷別單」.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41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준, 『이산 정조, 꿈의 도시 화성을 세우다』, 여유당, 2008.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영우, 『정조대왕 화성능행 반차도』, 효형출판, 2000.
-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효형출판, 1998.
- 한영우, 『정조의 화성행차』, 효형출판, 2007.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