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차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념정보 |사진= 궁중기록화 개념 반차도01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대표명칭= 반차도 |한자표기= 班次圖 |영문명칭=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한자표기= 班次圖
 
|한자표기= 班次圖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별칭=  
+
|이칭=  
 
|유형= 개념
 
|유형= 개념
 
|관련개념=  
 
|관련개념=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나누어진 소임에 따라 차례로 도열하는 것’이란 뜻으로, 행사의 주요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ref>김문식ㆍ신병주,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돌베개, 2005, 43~46쪽.</ref>
+
조선시대 나라의 의식을 행할 때 문무백관의 배치 상황과 행사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내용'''==
 
=='''내용'''==
신분 위계인 반차(班次)따라 의식에 참여하는 관원, 악대, 시위군사, 의장과 기물, 행사의 주인공인 왕실인물의 가마 등의 정해진 자리를 그린 그림으로, 실무에 활용하기 위해 행렬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이는 행사 당일에 그린 것이 아니라, 행사 전에 미리 참여 인원과 물품을 배치해 행사 당일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기능을 하는 행사배치도 및 기념사진의 역할을 한다. 반차도의 제작은 당시 [[도화서|도화서(圖畫署)]]의 유명 화원들이 담당했는데, 사진기가 없던 조선에서 그림을 통해 현장의 모습을 가장 정확하고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했다.<ref>김문식ㆍ신병주,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돌베개, 2005, 43~46쪽.</ref>
+
반차(班次)는 ‘나누어진 소임에 따라 차례로 도열한다’는 뜻으로, 행사의 주요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ref>김문식ㆍ신병주,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돌베개, 2005, 43~46쪽.</ref> 신분 위계인 반차에 따라 의식에 참여하는 관원, 악대, 시위군사, 의장과 기물, 행사의 주인공인 왕실인물의 가마 등의 정해진 자리를 그린다.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행렬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
반차도는 행사 당일이  아니라 행사 이전에 사전 제작된다. 이는 행사배치도로서의 기능으로, 미리 참여 인원과 물품을 배치함으로써 행사 당일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반차도는 계획대로 실행한 이후에는 기념사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반차도의 제작은 당시 [[도화서|도화서(圖畫署)]]의 유명 화원들이 담당했는데, 사진기가 없던 조선에서 그림을 통해 현장의 모습을 가장 정확하고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했다.<ref>김문식ㆍ신병주,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돌베개, 2005, 43~46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PAGENAME}}''' || [[의궤]] ||A는 B의 부분이다
+
| [[의궤]] || 반차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도화서]] || '''{{PAGENAME}}''' ||A는 B를 담당하였다
+
| [[도화서]] || 반차도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 '''{{PAGENAM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반차도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PAGENAME}}''' ||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반차도 ||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PAGENAM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반차도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시간정보===
 
  
 
===공간정보===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시각자료'''==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갤러리===
+
|-
===영상===
+
| 37.5238506 || 126.9804702 || [[반차도]]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37.4621075 || 126.9502654 || [[반차도]]는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
|-
 +
|37.391972||127.054382|| [[반차도]]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
  
 
=='''주석'''==
 
=='''주석'''==
49번째 줄: 53번째 줄:
 
* 한영우, 『조선왕조의 의궤, 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 한영우, 『조선왕조의 의궤, 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용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용어]]

2017년 11월 4일 (토) 10:26 기준 최신판

반차도
(班次圖)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대표명칭 반차도
한자표기 班次圖
유형 개념



정의

조선시대 나라의 의식을 행할 때 문무백관의 배치 상황과 행사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내용

반차(班次)는 ‘나누어진 소임에 따라 차례로 도열한다’는 뜻으로, 행사의 주요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1] 신분 위계인 반차에 따라 의식에 참여하는 관원, 악대, 시위군사, 의장과 기물, 행사의 주인공인 왕실인물의 가마 등의 정해진 자리를 그린다. 실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행렬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반차도는 행사 당일이 아니라 행사 이전에 사전 제작된다. 이는 행사배치도로서의 기능으로, 미리 참여 인원과 물품을 배치함으로써 행사 당일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반차도는 계획대로 실행한 이후에는 기념사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반차도의 제작은 당시 도화서(圖畫署)의 유명 화원들이 담당했는데, 사진기가 없던 조선에서 그림을 통해 현장의 모습을 가장 정확하고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궤 반차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도화서 반차도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반차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반차도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반차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06 126.9804702 반차도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7.4621075 126.9502654 반차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37.391972 127.054382 반차도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주석

  1. 김문식ㆍ신병주,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돌베개, 2005, 43~46쪽.
  2. 김문식ㆍ신병주,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돌베개, 2005, 43~4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중앙박물관, 『145년 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국립중앙박물관, 2011.
  • 김문식·신병주,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돌베개, 2005.
  • 한영우, 『조선왕조의 의궤, 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