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개요)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강릉 보현사|보현사(普賢寺)]]에 있는 [[개청|낭원대사(朗圓大師)]]의 사리탑으로, 팔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무너져 있던 것을 사찰 입구에 복원해 두었다가, 1991년 다시 원래 자리인 산꼭대기 주변으로 옮겼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910000,32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강릉 보현사|보현사(普賢寺)]]에 있는 [[개청|낭원대사(朗圓大師)]]의 사리탑으로, 팔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무너져 있던 것을 사찰 입구에 복원해 두었다가, 1991년 다시 원래 자리인 산꼭대기 주변으로 옮겼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910000,32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탑신(塔身)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세 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가운데받침돌이 없어져 아래받침돌 위에 바로 윗받침돌이 얹혀 있다. 탑신의 몸돌 한쪽 면에는 문 모양과 자물쇠 모양을 새겨두었다. 지붕돌은 | + | 탑신(塔身)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세 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가운데받침돌이 없어져 아래받침돌 위에 바로 윗받침돌이 얹혀 있다. 탑신의 몸돌 한쪽 면에는 문 모양과 자물쇠 모양을 새겨두었다.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꽃장식을 얹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놓여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910000,32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낭원대사탑비(朗圓大師塔碑)]]가 940년([[고려 태조|태조]] 23)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탑도 이때 같이 세워놓은 것으로 보인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910000,32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낭원대사탑비(朗圓大師塔碑)]]가 940년([[고려 태조|태조]] 23)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탑도 이때 같이 세워놓은 것으로 보인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910000,32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2017년 10월 31일 (화) 23:00 판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 |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
대표명칭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
---|---|
영문명칭 | Stupa of Buddhist Monk Nangwon at Bohyeonsa Temple, Gangneung |
한자 | 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 |
주소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91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소유자 | 강릉 보현사 |
관리자 | 강릉 보현사 |
크기 | 높이 2.5m |
건립시대 | 고려시대 |
관련승려 | 개청(開淸) |
관련탑비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
정의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사(普賢寺)에 있는 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835-930)의 승탑.
내용
개요
이 탑은 보물 제191호로, 높이 2.5m이다.[1]
보현사(普賢寺)에 있는 낭원대사(朗圓大師)의 사리탑으로, 팔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무너져 있던 것을 사찰 입구에 복원해 두었다가, 1991년 다시 원래 자리인 산꼭대기 주변으로 옮겼다.[2]
탑신(塔身)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세 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가운데받침돌이 없어져 아래받침돌 위에 바로 윗받침돌이 얹혀 있다. 탑신의 몸돌 한쪽 면에는 문 모양과 자물쇠 모양을 새겨두었다.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며,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꽃장식을 얹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놓여 있다.[3]
낭원대사탑비(朗圓大師塔碑)가 940년(태조 23)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탑도 이때 같이 세워놓은 것으로 보인다.[4]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 강릉 보현사 | A는 B에 있다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 개청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주석
- 이동 ↑ 진홍섭,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동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이동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이동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 진홍섭,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