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학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정의)
20번째 줄: 20번째 줄:
 
}}
 
}}
 
=='''정의'''==
 
=='''정의'''==
강화학파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정제두 |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와 [[이광려]] 등을 주축으로 한 단체?학통?이 이르는 말이다.  
+
강화학파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정제두 |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와 [[이광려]] 등을 주축으로 한 학파이 이르는 말이다.
  
 
=='''내용'''==
 
=='''내용'''==

2017년 10월 31일 (화) 18:25 판

강화학파(江華學派)
대표명칭 강화학파
한자표기 江華學派
창립자 정제두
창립시대 조선


정의

강화학파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이광려 등을 주축으로 한 학파이 이르는 말이다.

내용

강화학파의 형성

강화학파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이광려 등을 주축으로 한 학파를 이르는 말이다. 정제두는 강화도를 거점으로 학문을 닦고 연구하면서 저술을 남겼다. 그의 학문이 확립된 이후 그 아들인 정후일(政厚一)과 그의 문인인 이광명(李匡鳴), 이광려(李匡呂)등에게 전승되었다. 이후 이 학문은 가학(家學)으로 전승되었는데, 이와 같이 정제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학통을 '하곡학', '강화학', '강화양명학', '강화하곡학', 등으로 부르고 이러한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를 강화학파라고 하였다.[1]

학문적 특징

학술의 내용으로 보면, 그들은 정제두 이래로 양명학을 수용하고 도교와 불교까지 섭렵하고자 했고, 이학(理學:유학)보다는 한학(漢學)을 연구하고 동시에 국학(國學)을 일으켰다. 양명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했을 뿐만 아니라, 고증학(考證學)의 방법론을 주체적으로 소화했으며, 훈민정음연구·국어학·국사학·서법(書法)·문자학·문헌학 분야에서 탁월한 논저들을 남겼다.[2]

강화학파의 학자들

서법에 이광사(李匡師), 국사학에 이긍익(李肯翊) 황현(黃玹), 한학(漢學)에 신작(申綽), 훈민정음연구에 유희(柳喜), 문자학에 남정화(南廷和), 문헌학에 남극관(南克寬) 등 오늘날 국학 분야에서 거론되는 선구자들 가운데 많은 이들이 이 학맥에 속한다. 홍양호(洪良浩)나 이종휘(李種徽)같은 학자들도 이들과 직접 관련이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화학파 정제두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정제두 이광사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강화학파 유희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언문지 유희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강화학파 임금익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강화학파 황현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강화학파 신작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강화학파 이광사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강화학파 남정화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강화학파 남극관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주석

  1. 천병돈, 「강화학파의 형성과 사상적 계보」, 『인천학연구』7,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7, 3쪽.
  2. 심경호, "강화학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심경호, "강화학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한국양명학회, 『강화 양명학파의 위상과 현대적 의미』, 한국양명학회, 2004.
  • 논문
    • 이우진, 「강화학파 형성담론의 재구성」, 『陽明學』 Vol.33, 한국양명학회, 2012.
    • 최재목, 「江華 陽明學派 연구의 방향과 과제」, 『陽明學』Vol.12, 한국걍명학회, 2004.
    • 박연수, 「강화 하곡학파의 ‘實學’ 사상」, 『儒學硏究』 Vol.14,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