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조선 후기의 | + | 조선 후기의 문관이다. |
=='''내용'''== | =='''내용'''== | ||
+ |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조선왕조실록|『경종실록』]] 편찬에 관여했다.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총호사, [[선의왕후빈전도감의궤|『선의왕후빈전도감의궤』]] 총호사<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134&hl=content@%E5%AE%A3%E6%87%BF%E7%8E%8B%E5%90%8E%E6%AE%AF%E6%AE%BF%E9%83%BD%E7%9B%A3%E5%84%80%E8%BB%8C%5E%EC%84%A0%EC%9D%98%EC%99%95%ED%9B%84%EB%B9%88%EC%A0%84%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5%AE%A3%E6%87%BF%E7%8E%8B%E5%90%8E%E6%AE%AF%E6%AE%BF%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haeje%5Euig_seoji$kname@%E5%AE%A3%E6%87%BF%E7%8E%8B%E5%90%8E%E6%AE%AF%E6%AE%BF%E9%83%BD%E7%9B%A3%E5%84%80%E8%BB%8C%5E%EC%84%A0%EC%9D%98%EC%99%95%ED%9B%84%EB%B9%88%EC%A0%84%EB%8F%84%EA%B0%90%EC%9D%98%EA%B6%A4 선의왕후빈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선의왕후의릉산릉도감의궤|『선의왕후의릉산릉도감의궤』]] 총호사<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132&hl=content@%E5%AE%A3%E6%87%BF%E7%8E%8B%E5%90%8E%E6%87%BF%E9%99%B5%E5%B1%B1%E9%99%B5%E9%83%BD%E7%9B%A3%E5%84%80%E8%BB%8C%5E%EC%84%A0%EC%9D%98%EC%99%95%ED%9B%84%EC%9D%98%EB%A6%89%EC%82%B0%EB%A6%89%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5%AE%A3%E6%87%BF%E7%8E%8B%E5%90%8E%E6%87%BF%E9%99%B5%E5%B1%B1%E9%99%B5%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kname@%E5%AE%A3%E6%87%BF%E7%8E%8B%E5%90%8E%E6%87%BF%E9%99%B5%E5%B1%B1%E9%99%B5%E9%83%BD%E7%9B%A3%E5%84%80%E8%BB%8C%5E%EC%84%A0%EC%9D%98%EC%99%95%ED%9B%84%EC%9D%98%EB%A6%89%EC%82%B0%EB%A6%89%EB%8F%84%EA%B0%90%EC%9D%98%EA%B6%A4 선의왕후의릉산릉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선의왕후혼전도감의궤|『선의왕후혼전도감의궤』]] 총호사<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135&hl=content@%E5%AE%A3%E6%87%BF%E7%8E%8B%E5%90%8E%E9%AD%82%E6%AE%BF%E9%83%BD%E7%9B%A3%E5%84%80%E8%BB%8C%5E%EC%84%A0%EC%9D%98%EC%99%95%ED%9B%84%ED%98%BC%EC%A0%84%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5%AE%A3%E6%87%BF%E7%8E%8B%E5%90%8E%E9%AD%82%E6%AE%BF%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CONTENT%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content%5Euig_haeje%5Euig_seoji$kname@%E5%AE%A3%E6%87%BF%E7%8E%8B%E5%90%8E%E9%AD%82%E6%AE%BF%E9%83%BD%E7%9B%A3%E5%84%80%E8%BB%8C%5E%EC%84%A0%EC%9D%98%EC%99%95%ED%9B%84%ED%98%BC%EC%A0%84%EB%8F%84%EA%B0%90%EC%9D%98%EA%B6%A4 선의왕후혼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를 역임했다. | ||
+ | |||
===관직=== | ===관직=== | ||
− | 1684년(숙종 10) 사마시에 합격하고 1697년(숙종 2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707년(숙종 33) 중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710년(숙종 36) 승지를 거쳐 대사간일 때 [[최석정|최석정(崔錫鼎)]]을 변호하다가 전직되고 [[경종]] 때에는 예조참판, 황해도 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1729년(영조 5) 우의정이 되었고 다음해 좌의정이 되어 실록청 총재관으로 | + | 1684년(숙종 10) 사마시에 합격하고 1697년(숙종 2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707년(숙종 33) 중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710년(숙종 36) 승지를 거쳐 대사간일 때 [[최석정|최석정(崔錫鼎)]]을 변호하다가 전직되고 [[경종]] 때에는 예조참판, 황해도 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1729년(영조 5) 우의정이 되었고 다음해 좌의정이 되어 실록청 총재관으로 [[조선왕조실록|『경종실록』]] 편찬의 책임을 맡았다. 글씨로 [[백세청풍비|백세청풍비(百世淸風碑)]]가 남아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6184&cid=46622&categoryId=46622 이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사후=== | ===사후=== | ||
− | + | 1738년(영조 14) ‘충헌(忠憲)’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45번째 줄: | 47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이집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A는 B를 담당하였다 || |
|- | |- | ||
− | | [[이광하]]|| | + | | [[이광하]] || 이집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심지원]]|| | + | | [[심지원]] || 이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청송 심씨]]|| | + | | [[청송 심씨]] || 이집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홍만회]]|| | + | | [[홍만회]] || 이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풍산 홍씨 | + | | 이집 || [[풍산 홍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 ||
− | | [[김수현]]|| | + | | [[김수현]] || 이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풍산 김씨 | + | | 이집 || [[풍산 김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 ||
− | | [[이주진]]||[[ | + | | 이집|| [[이주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이집 || [[백관]] ||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 1730년 || 이집은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를 담당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84번째 줄: | 84번째 줄: | ||
* 『영조실록』 | * 『영조실록』 | ||
* 『한국계행보』 | * 『한국계행보』 | ||
−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6184&cid=46622&categoryId=46622 이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
− | [[분류:궁중기록화]]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백관]] |
− | [[분류:인물]] |
2017년 10월 29일 (일) 16:44 기준 최신판
이집(李㙫) | |
대표명칭 | 이집 |
---|---|
한자표기 | 李㙫 |
생몰년 | 1664년-1733년 |
본관 | 덕수(德水) |
시호 | 충헌(忠憲) |
호 | 취촌(醉村) |
자 | 노천(老泉) |
시대 | 조선 |
대표직함 | 좌의정, 우의정, 이조판서, 예조판서 |
배우자 | 장례원판결사 홍만회의 딸 풍산 홍씨, 우참찬 김수현의 딸 풍산 김씨 |
부 | 판윤 이광하 |
모 | 영의정 심지원의 딸 청송 오씨 |
자녀 | 이조판서 이주진 |
능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
성격 | 인물 |
유형 | 백관 |
정의
조선 후기의 문관이다.
내용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경종실록』 편찬에 관여했다.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총호사, 『선의왕후빈전도감의궤』 총호사[1], 『선의왕후의릉산릉도감의궤』 총호사[2], 『선의왕후혼전도감의궤』 총호사[3]를 역임했다.
관직
1684년(숙종 10) 사마시에 합격하고 1697년(숙종 2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707년(숙종 33) 중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710년(숙종 36) 승지를 거쳐 대사간일 때 최석정(崔錫鼎)을 변호하다가 전직되고 경종 때에는 예조참판, 황해도 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1729년(영조 5) 우의정이 되었고 다음해 좌의정이 되어 실록청 총재관으로 『경종실록』 편찬의 책임을 맡았다. 글씨로 백세청풍비(百世淸風碑)가 남아 있다.[4]
사후
1738년(영조 14) ‘충헌(忠憲)’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집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A는 B를 담당하였다 | |
이광하 | 이집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심지원 | 이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청송 심씨 | 이집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홍만회 | 이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집 | 풍산 홍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김수현 | 이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집 | 풍산 김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이집 | 이주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이집 | 백관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30년 | 이집은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를 담당하였다 |
주석
- ↑ "선의왕후빈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선의왕후의릉산릉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선의왕후혼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이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숙종실록』
- 『경종실록』
- 『경종수정실록』
- 『영조실록』
- 『한국계행보』
더 읽을거리
- "이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