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의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장소정보 |
|사진= 궁중기록화 장소 어의궁터.JPG | |사진= 궁중기록화 장소 어의궁터.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궁중기록화팀 |
|대표명칭= 어의궁 | |대표명칭= 어의궁 | ||
|한자표기= 於義宮 | |한자표기= 於義宮 | ||
− | | | + | |영문명칭= |
− | | | + | |이칭= 상어의궁(上於義宮), 하어의궁(下於義宮), 용흥궁(龍興宮) |
− | | | + | |유형= |
+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195-11 | ||
|위도= 37.574970 | |위도= 37.574970 | ||
− | |경도= 127.002027 | + | |경도= 127.002027 |
− | }} | + | |관련인물= |
+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 ||
+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 ||
+ | }} | ||
+ | |||
+ | =='''정의'''== | ||
+ | [[인조]]가 반정으로 [[왕]]이 되기 전에 머물던 잠저(潛邸)이자 [[인조]]의 둘째 아들인 [[효종]]이 태어나 봉림대군(鳳林大君) 시절에 머물던 곳이다.<ref>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164쪽.</ref> | ||
+ | |||
+ | =='''내용'''== | ||
+ | ===역사=== | ||
+ |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어의궁]]은 두 종류이다. 하나는 [[인조]]의 잠저였던 '향교동(鄕校洞)' [[어의궁]]이고, 다른 하나는 [[효종]]의 봉림대군 시절 잠저이면서 즉위 후 본궁(本宮)이 된 ‘어의동(於義洞)’의 [[어의궁]]이다. 조선 말기에 [[인조]]의 잠저를 ‘상어의궁(上於義宮)’이라 하고, [[효종]]의 잠저를 ‘하어의궁’이라고 하였다. 향교동 [[어의궁]]은 [[인조]]의 어휘(御諱)를 봉안하는 곳으로 기능하였다. 어의동 [[어의궁]]은 [[효종]] 즉위 후 본궁으로 이름을 바꾸어 1907년 국가의 소유가 되기까지 왕실의 내탕고이자 [[가례]]를 치를 때 임시로 사용하는 별궁의 기능을 했다.<ref>정정남,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554 어의궁]",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선시대 [[가례]]에 [[어의궁]]이 별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인조]]가 [[장렬왕후]]를 왕비로 맞이할 때부터였다. 그 후 관행으로 굳어져 [[정순왕후]]가 [[영조]]를 맞이할 채비를 갖춘 곳도 어의궁이었다.<ref>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164쪽.</ref> | ||
+ | |||
+ | ===현재=== | ||
+ | 1907년(융희 1) 궁내부령(宮內府令)에 의하여 궁의 업무를 담당하던 도장을 폐지하고 제실 재산 정리국 관제(帝室財産整理局官制)에 의하여 모든 재산이 제실관리국으로 넘어갔다. 현재 [[어의궁]]은 존재하지 않고 [[어의궁]]이 있던 자리에 비석만 남아있다.<ref>정정남,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1554 어의궁]",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어의궁(於義宮) || [[인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친영]] || 어의궁(於義宮)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dm:happenedAt B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1635년 12월 3일 || [[인조]]와 [[장렬왕후]]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
+ | |- | ||
+ | | 1651년 12월 21일 || [[현종]]과 [[명성왕후]]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
+ | |- | ||
+ | | 1680년 5월 13일 || [[숙종]]과 [[인현왕후]]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
+ | |- | ||
+ | | 1696년 5월 19일 || [[경종]]과 [[단의빈]]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
+ | |- | ||
+ | | 1727년 9월 29일 || [[효장세자]]와 [[현빈]]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
+ | |- | ||
+ | | 1744년 1월 20일 ||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
+ | |- | ||
+ | | 1757년 6월 22일 || [[영조]]와 [[정순왕후]]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
+ | |- | ||
+ | | 1851년 9월 27일 || [[철종]]와 [[철인왕후]]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574970 || 127.002027 || 어의궁 표지석이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195-11에 위치한다 | ||
+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
+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 |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
+ | * 신병주, 박례경 외 2명 저,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 왕실의 행사 2)』, 돌베개, 2013. | ||
+ | * 임민혁, 『조선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
+ | * 주남철, 『궁집』, 일지사, 2003.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장소]] | [[분류:장소]] |
2017년 10월 29일 (일) 14:23 기준 최신판
어의궁(於義宮) | |
대표명칭 | 어의궁 |
---|---|
한자표기 | 於義宮 |
이칭 | 상어의궁(上於義宮), 하어의궁(下於義宮), 용흥궁(龍興宮)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195-11 |
|
정의
인조가 반정으로 왕이 되기 전에 머물던 잠저(潛邸)이자 인조의 둘째 아들인 효종이 태어나 봉림대군(鳳林大君) 시절에 머물던 곳이다.[1]
내용
역사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어의궁은 두 종류이다. 하나는 인조의 잠저였던 '향교동(鄕校洞)' 어의궁이고, 다른 하나는 효종의 봉림대군 시절 잠저이면서 즉위 후 본궁(本宮)이 된 ‘어의동(於義洞)’의 어의궁이다. 조선 말기에 인조의 잠저를 ‘상어의궁(上於義宮)’이라 하고, 효종의 잠저를 ‘하어의궁’이라고 하였다. 향교동 어의궁은 인조의 어휘(御諱)를 봉안하는 곳으로 기능하였다. 어의동 어의궁은 효종 즉위 후 본궁으로 이름을 바꾸어 1907년 국가의 소유가 되기까지 왕실의 내탕고이자 가례를 치를 때 임시로 사용하는 별궁의 기능을 했다.[2] 조선시대 가례에 어의궁이 별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인조가 장렬왕후를 왕비로 맞이할 때부터였다. 그 후 관행으로 굳어져 정순왕후가 영조를 맞이할 채비를 갖춘 곳도 어의궁이었다.[3]
현재
1907년(융희 1) 궁내부령(宮內府令)에 의하여 궁의 업무를 담당하던 도장을 폐지하고 제실 재산 정리국 관제(帝室財産整理局官制)에 의하여 모든 재산이 제실관리국으로 넘어갔다. 현재 어의궁은 존재하지 않고 어의궁이 있던 자리에 비석만 남아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어의궁(於義宮) | 인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친영 | 어의궁(於義宮)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dm:happenedAt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635년 12월 3일 | 인조와 장렬왕후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1651년 12월 21일 | 현종과 명성왕후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1680년 5월 13일 | 숙종과 인현왕후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1696년 5월 19일 | 경종과 단의빈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1727년 9월 29일 | 효장세자와 현빈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1744년 1월 20일 |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1757년 6월 22일 | 영조와 정순왕후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1851년 9월 27일 | 철종와 철인왕후의 친영을 어의궁에서 행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4970 | 127.002027 | 어의궁 표지석이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195-11에 위치한다 |
주석
-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164쪽.
- ↑ 정정남, "어의궁", 검색,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164쪽.
- ↑ 정정남, "어의궁", 검색,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신병주, 박례경 외 2명 저,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 왕실의 행사 2)』, 돌베개, 2013.
- 임민혁, 『조선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주남철, 『궁집』, 일지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