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충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74번째 줄: 74번째 줄: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진공대사 충담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00/S013/monk_chungdam.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3/monk_chungdam.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2017년 10월 28일 (토) 00:41 기준 최신판

충담(忠湛)
BHST Monk1.png
대표명칭 충담
영문명칭 Chungdam
한자 忠湛
생몰년 869년(경문왕 9)-940년(태조 23)
시호 진공(眞空)
법명 충담(忠湛)
성씨 김씨(金氏)
출신지 경상북도 경주
승탑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승탑비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정의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진공대사 충담(眞空大師 忠湛)은 869년(경문왕 9)에 태어났다. 속성은 김씨(金氏)이고, 선조는 신라의 귀족이었다.[1]

Quote-left.png 대사의 법휘(法諱)는 충담(忠湛)이요 속성은 김씨니, 그 선조(先祖)는 신라의 귀족으로 우리나라의 큰 성씨이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39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유년기

충담은 태어날 때부터 비범한 모습을 보였고, 어려서 부모를 여의었다.

Quote-left.png 대사는 태어날 때부터 남다른 상이 있었고, 어릴 때에도 실없는 소리를 하지 않았다. ...... 성품이 남들보다 훨씬 뛰어났고, 신묘한 깨달음이 절륜하였다. 대학에서 경서(經書)를 독파하고, 과거시험장에서는 글에 목숨을 걸었다. 일찍이 양친이 관상 보는 사람을 맞아들여 관상을 보이니

"만약 12세가 되면 봉황새가 날아가는 것처럼 헤아리기 어렵고, 마침내 20세에는 ......"
라 하였다. ...... 부모를 여의고서 한탄하며 방황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39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출가수행

충담은 출가하여 장순선사(長純禪師)의 제자가 되었고, 889년(진성여왕 3) 무주 영신사(靈神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2]

Quote-left.png 이 때에 장순선사(長純禪師)가 있었는데, 그는 속세를 초월하여 열반에 이르는 인연을 닦는 도사(導師)이자, 돌아가신 아버지가 사귀던 불가(佛家)의 친구였다. 대사는 장로를 따라 거처하여 ...... 승려가 되었다. 이윽고 마루에 올라가 오묘한 이치를 엿보고, 방에 들어가 심오한 진리를 궁구하였다.

...(중략)...
그러다 용기(龍紀: 당(唐)의 연호) 원년(889, 진성여왕 3) 무주(武州) 영신사(靈神寺: 지리산에 있는 절)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39-4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구법유학

충담은 당시 곳곳에서 병란이 일어나자 당나라로 유학하였고,[3] 정원(淨圓)에게 예배하고 명산의 불교유적을 살펴보았다.[4]

Quote-left.png ...... 같이 타고 가서 중국에 도착하였다. 이 때 지름길로 운개선우(雲蓋禪宇)에 올라 정원대사(淨圓大師)에게 경건한 예를 올렸다. 대사는 구름 덮인 깊은 산속에 살면서 석상(石霜)의 심인(心印)을 받은 이였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4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귀국 및 활동

충담은 918년 귀국하여 스승 심희(審希)가 있는 김해로 갔다.[5]

Quote-left.png 천우(天祐: 당(唐)의 연호, 904-907) 15년(918, 경명왕 2) 6월 ...... 에 도착하였다. ...... 모두 의심나는 바를 묻고 손뼉 치며 기뻐하는 중에 사귐은 더욱 깊어졌다. 여러 달 동안 선(禪)을 논하였고, 한 해가 되도록 법(法)에 대해 물었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4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김해에 있는 동안 그곳이 견훤군의 침입으로 전운이 감돌자 충담은 개경으로 떠나게 되었다. 왕건은 충담을 왕사(王師)로 맞이하여 흥법선원(興法禪院)을 다시 일으켜 주지하게 하였다.[6]

Quote-left.png 마침내 김해(金海)를 떠나 멀리 개경으로 갔다. 가는 길이 더디고 더뎠지만 어느덧 경계에 들어왔으니, 마륵(摩勒: 호두 비슷한 과실)이 다시 생기가 돌뿐만 아니라, 아울러 우담바라(優曇婆羅) 꽃이 피어난 듯하였다. 내전으로 받들어 모시고 이윽고 ...... 거듭 석가의 말씀을 토로하니, 거듭 자리를 피하면서 공손히 제자의 의례를 삼가 갖추었으며, 말씀하시는 것을 일일이 기록하면서 왕사(王師)의 예로 대했다.

...(중략)...
그래서 다시 흥법선원(興法禪院)을 일으켜 ...... 대사로 하여금 주지케 하니, 이 곳이 길상(吉祥)의 땅임을 ...... 지나간 아름다움을 살펴보니 복(福)을 불러들일 터임을 거듭 알 수 있었다. 여기서 평생을 마치고자 하는 뜻이 있었으니 마음에 후회됨이 없었다. 마침내 이 곳에 절문을 활짝 여니, 오는 자는 구름 같고 배우려는 사람은 안개와 같았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4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입적

충담은 940년(태조 23)에 흥법사에서 입적하였다.

Quote-left.png 천복(天福: 후진(後晉)의 연호, 936-942) 5년(940, 태조 23) 7월 18일 새벽에 문인(門人)에게 고하여 말하기를

"온갖 법(萬法)이 모두 공(空)이니, 나는 이제 가련다. 한 마음이 근본이니 너희는 힘쓸지어다."
얼굴을 평상시와 같이한 채 조용히 앉아서 돌아가시니, 속세의 나이는 72세이고 승랍은 ...... 땅이 흔들리고 산이 무너지듯 하였으며, 구름도 근심하고 해도 슬퍼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42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고려 태조는 충담의 죽음을 애도하며 직접 비문을 지었고, '진공대사(眞空大師)'라는 시호를 내렸다.

Quote-left.png 과인(寡人)이 대사의 죽음을 갑자기 들으니 가슴은 더욱 미어지고 큰 덕을 애절히 추모함을 그칠 수가 없다. 특히 종림(宗林)의 선백(禪伯)이며 말세의 고황(古皇)이시니 ...... 만사ㅔ토록 오래 사는 ...... 여러 사람들의 우러르는 바람을 저버렸다. 이제 대들보가 꺾였다고는 하나 집은 수리할 수 있다. 그러니 앞서는 물이 불어 고기들이 돌아옴을 기뻐하다가, 나중에는 숲이 기울어 새가 흩어짐을 슬퍼하는 격이다. 바라는 바는 빨리 위의를 갖추어 예를 밝혀 이치에 맞게 ...... 시호를 추증하여 진공대사(眞空大師)라 하고, 탑 이름을 ...... 탑이라 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42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지식관계망

  • 진공대사 충담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충담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고려 태조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심희 충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봉림산문 심희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충담 원주 흥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충담 고려 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충담 원주 흥법사 A는 B에서 입적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구산선문 봉림산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심희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69년 충담이 태어남.
889년 충담이 무주 영신사에서 구족계를 받음.
918년 충담이 귀국함.
940년 충담원주 흥법사에서 입적함.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32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2. 장충식, "충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 정치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77쪽.
  4. 장충식, "충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 정치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77쪽.
  6.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 정치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77쪽.

참고문헌

  • 김혜완, 「나말려초 남한강 주변의 선종사원과 선사들의 활동 - 정치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49, 2008, 257-292쪽.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30-44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 장충식, "충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성권, 「태조 왕건 친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국학연구』 Vol.31, 한국국학진흥원, 2016, 345-381쪽.
  • "흥법사진공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 "충담",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