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대사방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의례물품정보
+
{{물품정보
|대표명칭= 대사방반(大四方盤)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대사방반_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
|이미지= 궁중기록화_물품_대사방반_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하_중박.png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분류= 기물
+
|대표명칭= 대사방반
|의례= 가례(嘉禮)
+
|한자표기= 大四方盤
|용도= 음식을 담음
+
|영문명칭=
|관련물품=  
+
|이칭=
|참조물품= 소사방반(小四方盤), 소소사방반(小小四方盤)
+
|유형= 의례 물품
 +
|시대= 조선
 +
|용도= [[가례|가례(嘉禮)]]-[[혼례|혼례(婚禮)]]에 사용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
  
==정의==
+
=='''정의'''==
* 의례에 사용되는 정방형의 쟁반.
+
조선시대 의례에서 사용되는 정방형의 쟁반이다.
  
==사용상황==
+
=='''내용'''==
* 가례(嘉禮), 진연(進宴) 등에서 사용되었다.
+
가례(嘉禮), 진연(進宴) 등에서 사용되었다.<br/>
 +
사우반(四隅盤), 사각반(四角盤)이라고도 한다.<br/>
 +
크기에 따라 대사방반(大四方盤), 소사방반(小四方盤), 소소사방반(小小四方盤)으로 불린다.<br/>
 +
대사방반의 각 면에는 태평화(太平花)를 조각하고 선명한 붉은색인 왜주홍칠(倭朱紅漆)을 한다.<br/>
  
==기본정보==
+
=='''지식 관계망'''==
* 사우반(四隅盤), 사각반(四角盤)이라고도 한다.
+
===관계정보===
* 크기에 따라 대사방반(大四方盤), 소사방반(小四方盤), 소소사방반(小小四方盤)으로 불린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대사방반의 각 면에는 태평화(太平花)를 조각하고 선명한 붉은색인 왜주홍칠(倭朱紅漆)을 한다.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대사방반_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하_중박.png|대사방반<ref>『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상(憲宗孝顯王后嘉禮都監儀軌上)』</ref>
+
| 대사방반(大四方盤)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대사방반(大四方盤)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대사방반_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대사방반<ref>『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ref>
 +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대사방반_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대사방반<ref>『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ref>
 
</gallery>
 
</gallery>
  
==관련항목==
+
=='''주석'''==
'''물품 → 의궤'''
+
<references/>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憲宗孝顯王后嘉禮都監儀軌)]] || A는 B에 그려져 있다 || 1837년
 
|}
 
  
==참고문헌==
+
=='''참고문헌'''==
'''저서'''
+
===인용 및 참조===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jsessionid=GM6kXrJYJGp1FMGLRwrNL4pL502kcT9HhjCzv24WwBHQVb8l60gG!-1882982091?kind=%EB%8C%80%EC%82%AC%EB%B0%A9%EB%B0%98(%E5%A4%A7%E5%9B%9B%E6%96%B9%E7%9B%A4)&dataType=n&&lmenuType=a_5 대사방반(大四方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사이트'''
+
* 이정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ubjectDetail.jsp?no=D0257&code1=3&code2=9 대사방반(大四方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jsessionid=GM6kXrJYJGp1FMGLRwrNL4pL502kcT9HhjCzv24WwBHQVb8l60gG!-1882982091?kind=%EB%8C%80%EC%82%AC%EB%B0%A9%EB%B0%98(%E5%A4%A7%E5%9B%9B%E6%96%B9%E7%9B%A4)&dataType=n&&lmenuType=a_5 대사방반(大四方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 "[http://yoksa.aks.ac.kr/jsp/ee/View.jsp?ee10no=EE10_0001_006_052_00932 대사방반(大四方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정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ubjectDetail.jsp?no=D0257&code1=3&code2=9 대사방반(大四方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http://yoksa.aks.ac.kr/jsp/ee/View.jsp?ee10no=EE10_0001_006_052_00932 대사방반(大四方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물품]]
 
[[분류:물품]]

2017년 10월 27일 (금) 23:14 기준 최신판


대사방반(大四方盤)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대표명칭 대사방반
한자표기 大四方盤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가례(嘉禮)-혼례(婚禮)에 사용



정의

조선시대 의례에서 사용되는 정방형의 쟁반이다.

내용

가례(嘉禮), 진연(進宴) 등에서 사용되었다.
사우반(四隅盤), 사각반(四角盤)이라고도 한다.
크기에 따라 대사방반(大四方盤), 소사방반(小四方盤), 소소사방반(小小四方盤)으로 불린다.
대사방반의 각 면에는 태평화(太平花)를 조각하고 선명한 붉은색인 왜주홍칠(倭朱紅漆)을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대사방반(大四方盤)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대사방반(大四方盤)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2.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대사방반(大四方盤)",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이정민, "대사방반(大四方盤)",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대사방반(大四方盤)",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