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옥(문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 | |사진= | + | |사진=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이옥 | |대표명칭=이옥 |
2017년 10월 26일 (목) 21:33 판
이옥(李沃) | |
대표명칭 | 이옥 |
---|---|
한자표기 | 李沃 |
생몰년 | 1641-1698 |
본관 | 연안(延安) |
호 | 박천(博泉) |
자 | 문약(文若) |
부 | 이관징(李觀徵) |
모 | 최호(崔皡)의 딸 |
정의
이옥(李沃, 1641∼1698)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문약(文若), 호는 박천(博泉). 이창정(李昌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부(師傅) 이심(李襑)이다. 아버지는 이관징(李觀徵)이며, 어머니는 최호(崔皡)의 딸이다.[1]
활동
1660년(현종 1) 즉위증광시(卽位增廣試)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관(史官)을 거쳐 1668년(현종 9) 예조좌랑, 1670년 사간원 정언·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675년(숙종 1) 홍문관에 들어갔으며 그 뒤 헌납·이조좌랑·응교·사간·우부승지·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678년 예송(禮訟)에 의하여 시정된 복제(服制)의 고묘(告廟)와 송시열(宋時烈) 등의 오례주장자(誤禮主張者)의 처벌문제로 남인이 강경파 청남(淸南)과 온건파 탁남(濁南)으로 분열되자, 아버지와 함께 허목(許穆)·윤휴(尹鑴)를 중심으로 한 청남에 속하여 송시열의 극형을 주장하다가, 탁남의 영수 허적(許積) 등의 반대로 삭직되어 북청(北靑)에 유배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풀려나 승지에 등용되고 경기도관찰사를 거쳐 1692년 예조참판이 되었다. [2]
평가
직간(直諫)을 잘하여 여러 차례 유배당하였으며, 1698년 영남에서 죽었다. 글씨에 능하고 문명도 높았다. 저서에는 『박천집』 33권과 『역대수성편람(歷代修省便覽)』이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 선독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 이옥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이관징 | 이옥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선독 | 이관징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선독 | 이옥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이동규 | 이옥 처 전주 이씨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이옥 처 전주 이씨 | 이옥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이옥 | 이만부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이옥 | 이만지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이옥 | 이만유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 연안이씨 식산종택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