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이덕형 |한자표기= 李德馨 |영문명칭= |본관= 광주(廣州) |이칭= |시호= 문익(文翼) |호= 한음(漢陰),...)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시대= 조선시대 | |시대= 조선시대 | ||
|국적= 조선 | |국적= 조선 | ||
− | |대표저서= | + | |대표저서= 한음문고(漢陰文稿) |
|대표직함= | |대표직함= | ||
|배우자= 한산 이씨 | |배우자= 한산 이씨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이덕형의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쌍송(雙松)·포옹산인(抱雍散人)이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017 이덕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부사과(副司果) [[이수충|이수충(李守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좌찬성 [[이진경|이진경(李振慶)]]이다.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이민성|이민성(李民聖)]]이며, 어머니는 현령(縣令) [[유예선|유예선(柳禮善)]]의 딸이다. 영의정 [[이산해|이산해(李山海)]]의 사위이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017 이덕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외교적 활약=== | ||
+ | [[임진왜란]]에서 이덕형이 세운 주요한 공로는 외교분야에 집중되었다. [[임진왜란|왜란]] 발발 직후 그는 명나라에 청원사(請援使)로 가서 원군을 요청하는데 성공했다. 이듬해(1593년) 1월 이덕형은 [[이여송|이여송(李如松)]]의 명군과 함께 평양을 되찾았다.<ref>신병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489&cid=59015&categoryId=59015 이덕형 - 능력과 덕망을 겸비한 조선 중기의 명신]",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물한국사 -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2012년 05월 28일.</ref> | ||
+ | |||
+ | 이덕형은 [[임진왜란]] 동안 형조·병조(3회)·이조판서(2회)의 요직을 역임했다. 특히 군무를 총괄하는 병조판서를 세 번이나 맡았다는 사실은 전란을 극복하는데 기여한 그의 능력을 보여준다.<ref>신병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489&cid=59015&categoryId=59015 이덕형 - 능력과 덕망을 겸비한 조선 중기의 명신]",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물한국사 -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2012년 05월 28일.</ref> | ||
+ | |||
+ | 다른 일로는 1597년 2월 [[이순신|이순신(李舜臣)]]이 하옥되자 그를 적극적으로 변호했다는 사실이다. [[임진왜란]]이 종결될 때까지도 이덕형은 아직 37세의 젊은 대신이었다.<ref>신병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4489&cid=59015&categoryId=59015 이덕형 - 능력과 덕망을 겸비한 조선 중기의 명신]",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물한국사 - 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2012년 05월 28일.</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49번째 줄: | 58번째 줄: | ||
|[[이덕형]] || [[이항복]]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이덕형]] || [[이항복]]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이덕형]] || [[ | + | |[[이덕형]] || [[임진왜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2017년 10월 24일 (화) 15:32 판
이덕형(李德馨) | |
대표명칭 | 이덕형 |
---|---|
한자표기 | 李德馨 |
생몰년 | 1561년-1613년 |
본관 | 광주(廣州) |
시호 | 문익(文翼) |
호 | 한음(漢陰), 쌍송(雙松), 포옹산인(抱雍散人) |
자 | 명보(明甫)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성명방 |
사망지 | 조선 경기도 광주부 조안면 |
시대 | 조선시대 |
국적 | 조선 |
대표저서 | 한음문고(漢陰文稿) |
배우자 | 한산 이씨 |
부 | 이민성(李民聖) |
모 | 문화 류씨 |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
내용
이덕형의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쌍송(雙松)·포옹산인(抱雍散人)이다.[1]
부사과(副司果) 이수충(李守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좌찬성 이진경(李振慶)이다.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이민성(李民聖)이며, 어머니는 현령(縣令) 유예선(柳禮善)의 딸이다.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의 사위이다.[2]
외교적 활약
임진왜란에서 이덕형이 세운 주요한 공로는 외교분야에 집중되었다. 왜란 발발 직후 그는 명나라에 청원사(請援使)로 가서 원군을 요청하는데 성공했다. 이듬해(1593년) 1월 이덕형은 이여송(李如松)의 명군과 함께 평양을 되찾았다.[3]
이덕형은 임진왜란 동안 형조·병조(3회)·이조판서(2회)의 요직을 역임했다. 특히 군무를 총괄하는 병조판서를 세 번이나 맡았다는 사실은 전란을 극복하는데 기여한 그의 능력을 보여준다.[4]
다른 일로는 1597년 2월 이순신(李舜臣)이 하옥되자 그를 적극적으로 변호했다는 사실이다. 임진왜란이 종결될 때까지도 이덕형은 아직 37세의 젊은 대신이었다.[5]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민성 | 이덕형 | A의 아들은 B이다 | A ekc:hasSon B |
문화 류씨 | 이덕형 | A의 아들은 B이다 | A ekc:hasSon B |
이덕형 | 한산 이씨 | A의 아내는 B이다 | A ekc:hasWife B |
이덕형 | 이항복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이덕형 | 임진왜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이장희, "이덕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이덕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병주, "이덕형 - 능력과 덕망을 겸비한 조선 중기의 명신", 네이버캐스트,
『인물한국사 -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발행일: 2012년 05월 28일. - ↑ 신병주, "이덕형 - 능력과 덕망을 겸비한 조선 중기의 명신", 네이버캐스트,
『인물한국사 -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발행일: 2012년 05월 28일. - ↑ 신병주, "이덕형 - 능력과 덕망을 겸비한 조선 중기의 명신", 네이버캐스트,
『인물한국사 -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발행일: 2012년 05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