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휴정 진...)
 
1번째 줄: 1번째 줄: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jpg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
+
|대표명칭=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한자명칭= 休靜 眞影
 
|한자명칭= 休靜 眞影
 
|영문명칭=  
 
|영문명칭=  
19번째 줄: 19번째 줄:
 
=='''내용'''==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진영의 제작 및 보관===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두 점의 <휴정 진영>이 소장되어 있다. 이 작품은 그 중 좀 더 고식의 화풍의 <휴정 진영>으로 화면 좌측에 ‘청허당휴정대사(淸虛堂休淨大師)’라는 표제가 있어 [[휴정]]을 그린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원래 어느 사찰에 소장되어 있었는지는 현재 알 수 없다. 1796년의 하한연대를 지닌 동화사 계열의 담채로 표현되어 있어 제작시기는 18세기 초, 중반으로 추정된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185쪽.</ref><br/>  
+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두 점의 <휴정 진영>이 소장되어 있다. 이 작품은 그 중 좀 더 고식의 화풍의 <휴정 진영>으로 화면 좌측에 ‘청허당휴정대사(淸虛堂休淨大師)’라는 표제가 있어 [[휴정]]을 그린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원래 어느 사찰에 소장되어 있었는지는 현재 알 수 없다. 1796년의 하한연대를 지닌 [[대구 동화사|동화사]] 계열의 담채로 표현되어 있어 제작시기는 18세기 초, 중반으로 추정된다.<ref>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185쪽.</ref><br/>  
<휴정 진영>은 조선의 고승이자 [[임진왜란]] 때 승병들을 이끌고 나라를 지킨 [[휴정|서산대사]]를 그린 것으로 인물사적인 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임진왜란]] 후 임난 삼화상(壬亂 三和尙)의 하나로 주로 [[유정|사명당]], [[영규|기허당]]과 함께 그려지던 [[휴정|청허당 휴정]]의 단독 진영으로서도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
<휴정 진영>은 조선의 고승이자 [[임진왜란]] 때 승병들을 이끌고 나라를 지킨 [[휴정|서산대사]]를 그린 것으로 인물사적인 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임진왜란]] 후 임난 삼화상(壬亂 三和尙)의 하나로 주로 [[유정|사명당]], [[영규|기허당]]과 함께 그려지던 [[휴정|청허당 휴정]]의 단독 [[진영]]으로서도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진영에 묘사된 모습===
 
===진영에 묘사된 모습===
31번째 줄: 31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휴정 진영(대곡사)]] || [[진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진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휴정 진영(대곡사)]] || [[휴정]]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휴정]]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휴정 진영(대곡사)]] || [[수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휴정 진영(대곡사)]] || [[보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유정 진영(동화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휴정 진영(대곡사)]] || [[의성 대곡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좌안칠분면]]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우안칠분면]] ||   [[휴정 진영(대곡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불자]]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불자]] || [[휴정 진영(대곡사)]]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승복]]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염주]] || [[휴정 진영(대곡사)]]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가사]]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장삼]] || [[휴정 진영(대곡사)]]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가사]] || [[휴정 진영(대곡사)]]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57번째 줄: 53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782년 || [[휴정 진영(대곡사)]]이 그려졌다.
 
 
|}
 
|}
  
64번째 줄: 59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6.4901350|| 128.3771430||  [[휴정 진영(대곡사)]]은 [[의성 대곡사]]에 소장되어 있다.  
+
| 37.5238510 || 126.9804700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74번째 줄: 69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이용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5550 삼척 영은사 사명당대선사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단행본
82번째 줄: 74번째 줄: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10, 성보문화재연구원 , 1996.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10, 성보문화재연구원 , 1996.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
 +
# 전시도록
 +
#* 국립중앙박물관, 『영혼의 여정 : 조선시대 불교회화와의 만남』, 국립중앙박물관, 2003.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인초/검토요청]]
 
[[분류:역인초/검토요청]]

2017년 10월 23일 (월) 23:25 판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jpg
한자명칭 休靜 眞影
작가 미상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유형 진영
크기(세로×가로) 138.8x93.3cm


정의

조선시대 고승인 서산대사 휴정(1520~1604)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두 점의 <휴정 진영>이 소장되어 있다. 이 작품은 그 중 좀 더 고식의 화풍의 <휴정 진영>으로 화면 좌측에 ‘청허당휴정대사(淸虛堂休淨大師)’라는 표제가 있어 휴정을 그린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원래 어느 사찰에 소장되어 있었는지는 현재 알 수 없다. 1796년의 하한연대를 지닌 동화사 계열의 담채로 표현되어 있어 제작시기는 18세기 초, 중반으로 추정된다.[1]
<휴정 진영>은 조선의 고승이자 임진왜란 때 승병들을 이끌고 나라를 지킨 서산대사를 그린 것으로 인물사적인 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임진왜란 후 임난 삼화상(壬亂 三和尙)의 하나로 주로 사명당, 기허당과 함께 그려지던 청허당 휴정의 단독 진영으로서도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진영에 묘사된 모습

<휴정 진영>은 좌안칠분면의 등받이가 높은 의자에 앉아 가부좌를 한 모습으로 그려졌다. 오른손에는 불자를 들고 있고 왼손은 자연스럽게 무릎위에 올려둔 모습이다. 회색의 승복에 적색의 가사와의 은은한 색조의 조화, 화려한 의자와 장식이 돋보일 수 있도록 배경은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갸름한 계란형의 얼굴에 작고 단아한 이목구비, 작고 붉은 입술 등은 청허당 휴정의 인자한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얼굴은 1796년의 하한연대를 지닌 동화사 사명대사 진영과 유사한 느낌으로 단아한 모습이다.[2]
이 진영에서 휴정대사임진왜란 때 활약한 용맹한 승장의 면모보다는 손에 불자를 쥐고 의자에 고요히 앉은 고승으로서의 모습을 부드러운 색감으로 표현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진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휴정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유정 진영(동화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좌안칠분면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불자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승복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가사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10 126.9804700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1)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185쪽.
  2.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185쪽.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10, 성보문화재연구원 , 1996.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
  2.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영혼의 여정 : 조선시대 불교회화와의 만남』, 국립중앙박물관, 2003.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