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념정보 |사진= 민족팀_일러_화풍.png |사진출처= 김현승 일러스트레이터 |대표명칭= 한국화 |한자표기= 韓國畵 |영문명칭= |이칭= |유...)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사진= 민족팀_일러_화풍.png | |사진= 민족팀_일러_화풍.png | ||
|사진출처= 김현승 일러스트레이터 | |사진출처= 김현승 일러스트레이터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 서양화 |
− | |한자표기= | + | |한자표기= 西洋畵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이칭= | + | |이칭= 양화 |
|유형= 개념용어 | |유형= 개념용어 | ||
− | |관련개념= [[동양화]], [[ | + | |관련개념= [[동양화]], [[한국화]] |
}} | }} | ||
=='''정의'''== | =='''정의'''== | ||
− | + | 서양에 뿌리를 둔 [[유채화]] 및 [[수채화]]를 총칭하는 용어로 양화(洋畵)라고도 함. | |
=='''내용'''== | =='''내용'''== | ||
− | + | 재료에 따라 [[유화]]·[[수채화]]·[[펜화]]·[[연필화]]·[[파스텔화]]·[[크레용화]]·[[과슈화]] 등으로 나뉘며 표현형태에 따라 [[구상미술|구상화]]·[[비구상미술|비구상화]]로 나뉜다. 서양화에 대해 알려지면서 한국의 그림 즉 [[한국화]]와 대별되는 개념으로서 쓰이는 용어이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0415 서양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 |
− | + | 한국에서의 서양화에 대한 관심의 역사적 배경으로는 18세기의 [[서학|서학(西學)]] 태동과 함께 했던 서양문화에 대한 관심 및 중국 북경 내왕을 통한 서양화의 유입을 들 수 있다. 당시 진보적인 [[실학파|실학파(實學派)]] 학자들은 [[서학|서학(양학)]]에 관심을 가지고 서양화의 유채 재료와 사실적 기법의 특이함에 경탄하였다. 그리고 그 수법의 객관적 합리성을 인정한 글을 남기고 있다. 그러나 그 시기에 유입되었던 서양화는 오늘날 하나도 전해지지 않는다.<ref>이구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914 서양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희영]]의 《앉아 있는 개》, [[김두량]]의 《견도(犬圖)》 등은 거의 완벽한 서양화법을 보인 작품이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0415 서양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 |
− | + | 1880년대에 접어들어 구미 여러 나라와 정식 국교가 이루어지면서 각종 서양문화가 급속히 도입되었는데, 이때 서양화에 대한 인식도 넓혀지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희동|고희동(高羲東)]]이 처음으로 일본 [[도쿄 미술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돌아와 유화 활동을 시작한 것이 서양화법 정착의 시초였다. 그 뒤 신미술의 서양화가가 잇따라 등장하면서 종래의 전통적 [[수묵화]]·[[채색화]]와 본질적으로 다른 서양화의 사회적 개념을 일반화시키게 되었다. 1920년대 이후 서양화가의 현저한 증가와 서양화단의 설립 및 활기는 전통화단의 움직임과 양립되면서 한국 현대회화의 두 성격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와 동시에 새 낱말인 '서양화'에 대한 상대적 개념의 전통 회화는 '[[동양화]]'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서양화는 '[[양화]]'로, [[동양화]]는 '[[한국화]]'로 고쳐 부르고 있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 # | + | # 이구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914 서양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0415 서양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
[[분류:민족/교열요청]] | [[분류:민족/교열요청]] |
2017년 10월 18일 (수) 22:55 판
서양화 (西洋畵) |
|
대표명칭 | 서양화 |
---|---|
한자표기 | 西洋畵 |
이칭 | 양화 |
유형 | 개념용어 |
관련개념 | 동양화, 한국화 |
정의
서양에 뿌리를 둔 유채화 및 수채화를 총칭하는 용어로 양화(洋畵)라고도 함.
내용
재료에 따라 유화·수채화·펜화·연필화·파스텔화·크레용화·과슈화 등으로 나뉘며 표현형태에 따라 구상화·비구상화로 나뉜다. 서양화에 대해 알려지면서 한국의 그림 즉 한국화와 대별되는 개념으로서 쓰이는 용어이다.[1]
한국에서의 서양화에 대한 관심의 역사적 배경으로는 18세기의 서학(西學) 태동과 함께 했던 서양문화에 대한 관심 및 중국 북경 내왕을 통한 서양화의 유입을 들 수 있다. 당시 진보적인 실학파(實學派) 학자들은 서학(양학)에 관심을 가지고 서양화의 유채 재료와 사실적 기법의 특이함에 경탄하였다. 그리고 그 수법의 객관적 합리성을 인정한 글을 남기고 있다. 그러나 그 시기에 유입되었던 서양화는 오늘날 하나도 전해지지 않는다.[2] 이희영의 《앉아 있는 개》, 김두량의 《견도(犬圖)》 등은 거의 완벽한 서양화법을 보인 작품이다.[3]
1880년대에 접어들어 구미 여러 나라와 정식 국교가 이루어지면서 각종 서양문화가 급속히 도입되었는데, 이때 서양화에 대한 인식도 넓혀지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희동(高羲東)이 처음으로 일본 도쿄 미술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돌아와 유화 활동을 시작한 것이 서양화법 정착의 시초였다. 그 뒤 신미술의 서양화가가 잇따라 등장하면서 종래의 전통적 수묵화·채색화와 본질적으로 다른 서양화의 사회적 개념을 일반화시키게 되었다. 1920년대 이후 서양화가의 현저한 증가와 서양화단의 설립 및 활기는 전통화단의 움직임과 양립되면서 한국 현대회화의 두 성격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와 동시에 새 낱말인 '서양화'에 대한 상대적 개념의 전통 회화는 '동양화'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서양화는 '양화'로, 동양화는 '한국화'로 고쳐 부르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영상 | 한국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한국화 | 동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동영상
- [YTN NEWS]현대 한국화 경계는 어디까지인가?(게시일: 2015년 4월 3일)
주석
- ↑ "서양화",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이구열, "서양화",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서양화",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조Ⅱ",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율 9925",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