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개념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석가모니불 |한자표기= 釋迦牟尼佛 |영문명칭= |이칭= 석가(釋迦), 석가문(釋迦文), 석가세존(釋迦...)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일반적으로는 석가세존(釋迦世尊), 줄여서 석존 혹은 세존이라고 한다. 석가는 Śākya의 음역으로 종족(種族)의 이름이며, 모니는 muni의 음역으로 성인(聖人)이라는 뜻이다. 즉 샤카족(族) 출신의 성인이다.<ref>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32128&cid=50766&categoryId=50794 석가모니]", 종교학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석가모니는 훗날 불교의 개조(開祖)가 된 고오타마 싯다르타(Gotama Sidhārtha)가 성불 후에 불린 이름으로, 그를 존경하게 된 사람들이 붙여 준 존칭이다. 탄생과 입멸 연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하나 우리나라는 세계불교우의회가 채택한 B.C 624∼544년 설을 따르고 있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328 석가모니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한국 불상 유물들의 대부분은 이 석가모니불로서 약왕보살(藥王菩薩)과 약상보살(藥上菩薩),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허공장보살(虛空藏菩薩) 등 3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권속신(眷屬神)은 [[사천왕|사천왕(四天王)]]이다. 유물 중에서 석굴암 본존상은 가장 널리 알려진 예이다. 한편, 석가여래를 봉안한 법당을 [[대웅전|대웅전(大雄殿)]]이라고 한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7317 석가모니불]",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22번째 줄: | 25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석가모니불]] || [[ | + | |[[석가모니불]] || [[사천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석가모니불]] || [[ | + | |[[석가모니불]] || [[대웅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 | |} | ||
38번째 줄: | 3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328 석가모니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32128&cid=50766&categoryId=50794 석가모니]", 종교학대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7317 석가모니불]",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2017년 10월 17일 (화) 14:01 판
석가모니불 (釋迦牟尼佛) |
|
대표명칭 | 석가모니불 |
---|---|
한자표기 | 釋迦牟尼佛 |
이칭 | 석가(釋迦), 석가문(釋迦文), 석가세존(釋迦世尊), 석존, 세존 |
관련개념 | 대웅전 |
정의
부처로 모시는 석가모니.
내용
일반적으로는 석가세존(釋迦世尊), 줄여서 석존 혹은 세존이라고 한다. 석가는 Śākya의 음역으로 종족(種族)의 이름이며, 모니는 muni의 음역으로 성인(聖人)이라는 뜻이다. 즉 샤카족(族) 출신의 성인이다.[1]
석가모니는 훗날 불교의 개조(開祖)가 된 고오타마 싯다르타(Gotama Sidhārtha)가 성불 후에 불린 이름으로, 그를 존경하게 된 사람들이 붙여 준 존칭이다. 탄생과 입멸 연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하나 우리나라는 세계불교우의회가 채택한 B.C 624∼544년 설을 따르고 있다.[2]
한국 불상 유물들의 대부분은 이 석가모니불로서 약왕보살(藥王菩薩)과 약상보살(藥上菩薩),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허공장보살(虛空藏菩薩) 등 3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권속신(眷屬神)은 사천왕(四天王)이다. 유물 중에서 석굴암 본존상은 가장 널리 알려진 예이다. 한편, 석가여래를 봉안한 법당을 대웅전(大雄殿)이라고 한다.[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석가모니불 | 사천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석가모니불 | 대웅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주석
-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석가모니", 종교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병조, "석가모니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석가모니불",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
- 정병조, "석가모니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석가모니", 종교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석가모니불",
『두산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