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고려 문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번째 줄: 19번째 줄:
 
|대표직함=
 
|대표직함=
 
|배우자= [[인평왕후|인평왕후 김씨(仁平王后 金氏)]], [[인예왕후|인예왕후 이씨(仁睿王后 李氏)]], [[인경현비|인경현비 이씨(仁敬賢妃 李氏)]], [[인절현비|인절현비 이씨(仁節賢妃 李氏)]], [[인목덕비|인목덕비 김씨(仁穆德妃 金氏)]]
 
|배우자= [[인평왕후|인평왕후 김씨(仁平王后 金氏)]], [[인예왕후|인예왕후 이씨(仁睿王后 李氏)]], [[인경현비|인경현비 이씨(仁敬賢妃 李氏)]], [[인절현비|인절현비 이씨(仁節賢妃 李氏)]], [[인목덕비|인목덕비 김씨(仁穆德妃 金氏)]]
|부= [[고려 현종|현종(顯宗)]]
+
|부= [[고려 현종]]
 
|모= [[원혜왕후|원혜왕후 김씨(元惠太后 金氏)]]
 
|모= [[원혜왕후|원혜왕후 김씨(元惠太后 金氏)]]
|자녀= [[고려 순종|순종(順宗)]], [[고려 선종|선종(宣宗)]], [[고려 숙종|숙종(肅宗)]], [[의천|의천(義天)]]
+
|자녀= [[고려 순종]], [[고려 선종]], [[고려 숙종]], [[의천|의천(義天)]]
 
|전임자= [[고려 정종]]
 
|전임자= [[고려 정종]]
 
|후임자= [[고려 순종]]
 
|후임자= [[고려 순종]]
31번째 줄: 31번째 줄:
  
 
=='''정의'''==
 
=='''정의'''==
고려의 11대 국왕.
+
고려 제11대 왕.
  
 
=='''내용'''==
 
=='''내용'''==

2017년 10월 14일 (토) 17:05 판

고려 문종(高麗 文宗)
대표명칭 고려 문종
한자표기 高麗 文宗
영문명칭 Munjong of Goryeo
생몰년 1019년-1083년
본관 개성(開城)
이칭 왕휘(王徽)
시호 인효(仁孝)
촉유(燭幽)
시대 고려시대
국적 고려
배우자 인평왕후 김씨(仁平王后 金氏), 인예왕후 이씨(仁睿王后 李氏), 인경현비 이씨(仁敬賢妃 李氏), 인절현비 이씨(仁節賢妃 李氏), 인목덕비 김씨(仁穆德妃 金氏)
고려 현종
원혜왕후 김씨(元惠太后 金氏)
자녀 고려 순종, 고려 선종, 고려 숙종, 의천(義天)
전임자 고려 정종
후임자 고려 순종
능묘 경릉(景陵)



정의

고려 제11대 왕.

내용

문종은 고려 제11대 왕(1019-1083, 재위 1046-1083)으로, 이름은 왕휘(王徽)이며, 초명은 서(緖), 자는 촉유(燭幽)이다.[1]

현종의 셋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혜태후 김씨(元惠太后 金氏)이다. 형인 제10대 왕 정종에게 아들이 있었지만, 형제상속의 형태를 취해 1046년(정종 12)에 왕위를 계승하였다.[2]

제1비(妃)는 고려 제8대 현종의 딸인 인평왕후 김씨(仁平王后 金氏)이다. 또한 이자연(李子淵)의 딸들을 비(妃)로 맞아들였는데, 인예태후(仁睿太后), 인경현비(仁敬賢妃), 인절현비(仁節賢妃)가 그들이다. 이밖에 인목덕비 김씨(仁穆德妃 金氏)가 있다. 문종의 아들로는 인예태후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순종,과 선종, 그리고 천태종(天台宗)을 창시한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등이 있다.[3]

업적

문종은 즉위하자마자 법률개정에 착수하여, 최충(崔冲)으로 하여금 공음전시법(功蔭田柴法), 연재면역법(捐災免役法), 3원신수법(三員訊囚法), 국자제생(國子諸生)의 효교법(孝校法) 등을 제정하였다. 1069년(문종 23) 양전보수법(量田步數法)을 제정하여 전답의 세율을 정하였으며, 이어 녹봉제(祿俸制), 선상기인법(選上其人法) 등을 제정하여 내치(內治)의 기초를 다졌다.[4]

한편 불교를 신봉하여, 1067년 흥왕사(興王寺)를 준공하였다. 왕자 후(煦)를 출가(出家)시켜 승려가 되게 하였는데, 곧 의천(義天)이다. 불교뿐만 아니라 유학도 장려하여 최충의 9재(九齋)를 비롯한 12도(徒)의 사학(私學)을 진흥시켰다.[5]

국방과 외교에도 힘써 동여진(東女眞)이 북변을 침략하자 이를 토벌하였다. 동여진에 대한 초기의 정책은 다소 강경했으나 이후 점차 회유책을 썼다. 송나라, 이슬람 등과 친선을 도모하여 교역이 융성하였으며, 1056년에는 일본 사신이 개경을 방문하였다.[6] 이로써 고려시대 중 가장 찬란한 문화황금기를 이룩했다.[7]

문종은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서예(書藝)에도 능하여 삼천사(三川寺)에 있는 대지국사비(大智國師碑)의 비문을 친필하기도 하였다.[8]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려 현종 고려 문종 A의 아들은 B이다 A ekc:hasSon B
원혜왕후 고려 문종 A의 아들은 B이다 A ekc:hasSon B
고려 문종 고려 순종 A의 아들은 B이다 A ekc:hasSon B
고려 문종 고려 선종 A의 아들은 B이다 A ekc:hasSon B
고려 문종 고려 숙종 A의 아들은 B이다 A ekc:hasSon B
고려 문종 의천 A의 아들은 B이다 A ekc:hasSon B
고려 문종 인평왕후 A의 아내는 B이다 A ekc:hasWife B
고려 문종 인예왕후 A의 아내는 B이다 A ekc:hasWife B
고려 문종 인경현비 A의 아내는 B이다 A ekc:hasWife B
고려 문종 인절현비 A의 아내는 B이다 A ekc:hasWife B
고려 문종 인목덕비 A의 아내는 B이다 A ekc:hasWife B

시각자료

주석

  1. 강진철, "문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강진철, "문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강진철, "문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문종", 『두산백과』online.
  5. "문종", 『두산백과』online.
  6. "고려 문종", 『위키백과』online.
  7. "문종", 『두산백과』online.
  8. "문종",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 강진철, "문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고려 문종", 『두산백과』online.
  • "문종", 『위키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