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표충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유물유적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해남 표충사 |한자표기= 海南 表忠祠 |영문명칭= |이칭= |유형= |시대= 1789년 |지정번호= 전라남...) |
(→관계정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전라남도 기념물 제19호인 이 사당은 [[임진왜란]] 때 승병대장으로 활약한 [[휴정|휴정(休靜)]]과 제자 [[유정|유정(惟政)]], [[처영|처영(處英)]] 등 3인의 영정을 봉안한 사우(祠宇)로서, 사찰 경내에 사당을 겸한 특별한 형식이다.<ref>박익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278 표충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1788년([[조선 정조|정조]] 12)에 [[천묵|천묵(天默)]]이 세 분 스님의 영정을 모시고자 조정에 상소하자, [[조선 정조|정조]]는 세 승려의 충정을 크게 치하하며 친히 '표충사(表忠祠)'라 사액하였고, 이듬해 건립하였다.<ref>박익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278 표충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표충사는 [[해남 대흥사|대흥사(大興寺)]] 남단에 자리잡고 있으며, 건물의 배치는 돌담의 안쪽 중앙에서 북쪽으로 사당이 있고, 그 좌우측 아래편에는 조사전(祖師殿)과 표충비각(表忠碑閣)이 각각 자리잡고 있다. 표충사 외곽에 있는 재실 건물이던 의중당과 강례재 주위에 담을 두르고 솟을삼문을 세워 사문(祠門)으로 삼고 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9881 표충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31번째 줄: | 35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해남 표충사]] || [[해남 대흥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해남 표충사]] || [[휴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해남 표충사]] || [[휴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43번째 줄: | 49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박익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278 표충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9881 표충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검토요청!]] |
2017년 10월 13일 (금) 23:01 기준 최신판
해남 표충사 (海南 表忠祠) |
|
대표명칭 | 해남 표충사 |
---|---|
한자표기 | 海南 表忠祠 |
시대 | 1789년 |
지정번호 | 전라남도 시도기념물 제19호 |
지정일 | 1976년 09월 30일 |
소장처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16 |
관련인물 | 휴정(休靜), 유정(惟政), 처영(處英) |
|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위치한 대흥사(大興寺)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당.
내용
전라남도 기념물 제19호인 이 사당은 임진왜란 때 승병대장으로 활약한 휴정(休靜)과 제자 유정(惟政), 처영(處英) 등 3인의 영정을 봉안한 사우(祠宇)로서, 사찰 경내에 사당을 겸한 특별한 형식이다.[1]
1788년(정조 12)에 천묵(天默)이 세 분 스님의 영정을 모시고자 조정에 상소하자, 정조는 세 승려의 충정을 크게 치하하며 친히 '표충사(表忠祠)'라 사액하였고, 이듬해 건립하였다.[2]
표충사는 대흥사(大興寺) 남단에 자리잡고 있으며, 건물의 배치는 돌담의 안쪽 중앙에서 북쪽으로 사당이 있고, 그 좌우측 아래편에는 조사전(祖師殿)과 표충비각(表忠碑閣)이 각각 자리잡고 있다. 표충사 외곽에 있는 재실 건물이던 의중당과 강례재 주위에 담을 두르고 솟을삼문을 세워 사문(祠門)으로 삼고 있다.[3]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해남 표충사 | 해남 대흥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해남 표충사 | 휴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해남 표충사 | 유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해남 표충사 | 처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박익수, "표충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익수, "표충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표충사",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