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 (해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외부해독자료안내 | {{외부해독자료안내 | ||
|해독자= 최지희 | |해독자= 최지희 | ||
18번째 줄: | 17번째 줄: | ||
|원문1=高山九曲潭을 사ᄅᆞᆷ이 모로더니<br/>誅茅卜居ᄒᆞ니 벗님ᄂᆡ 다오신다<br/>어즈버 武夷 想像ᄒᆞ고 學朱子ᄅᆞᆯ ᄒᆞ리라 | |원문1=高山九曲潭을 사ᄅᆞᆷ이 모로더니<br/>誅茅卜居ᄒᆞ니 벗님ᄂᆡ 다오신다<br/>어즈버 武夷 想像ᄒᆞ고 學朱子ᄅᆞᆯ ᄒᆞ리라 |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ref>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ref> | ||
− | |원문2= | + | |원문2=一曲은 어드메고 冠巖의 ᄒᆞㅣ 비쵠다<br/>平蕪의 ᄂᆡ 거드니 遠近이 그림일다<br/>松間늬 綠樽을 노코 벗 오ᄂᆞᆫ 양 보리로다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ref>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ref> | ||
− | |원문3= | + | |원문3=二曲은 어드메고 花巖에 春晩커다<br/>碧波에 곳츨 ㅂ듸워 야외로 보내노라<br/>사람이 勝地를 몰온이 알게 한들 엇더리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ref>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ref> | ||
|원문4= | |원문4= | ||
37번째 줄: | 36번째 줄: |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ref>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ref> | ||
|해석문1=고산 아홉 굽이의 경관을 사람들이 모르더니 <br/>띠풀을 베고 집터를 마련하여 살아가니 벗님들이 모두 오신다. <br/>아! 무이산<ref>무이산(武夷山): 주희의 「무이구곡담」의 배경이 되는 산</ref>을 상상하면서 주자의 학문을 배우리라. | |해석문1=고산 아홉 굽이의 경관을 사람들이 모르더니 <br/>띠풀을 베고 집터를 마련하여 살아가니 벗님들이 모두 오신다. <br/>아! 무이산<ref>무이산(武夷山): 주희의 「무이구곡담」의 배경이 되는 산</ref>을 상상하면서 주자의 학문을 배우리라. | ||
− | |해석문2= | + | |해석문2=일곡은 어디인가? 바위 머리 위에 해가 비치는구나 <br/>잡초가 우거진 들판에 안개가 걷히니 원근의 풍경이 그림이로다. <br/>소나무 숲 사이로 술통을 놓고 벗들이 찾아오는 모습을 바라보노라. |
− | |해석문3= | + | |해석문3=이곡은 어디인가? 화암(꽃바위)에 봄이 저물었도다. <br/>푸른 물결 위에 꽃을 띄워 들판으로 보내노라. <br/>사람들이 경치가 아름다운 곳을 모르니 알게 하면 어떻겠는가? |
|해석문4= | |해석문4= | ||
|해석문5= | |해석문5= |
2017년 10월 12일 (목) 23:35 판
본 기사의 해독문은 최지희, "고산구곡가(전문및해설)"(학습자료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
원문과 해석문
원문 | 해석문 |
---|---|
高山九曲潭을 사ᄅᆞᆷ이 모로더니 誅茅卜居ᄒᆞ니 벗님ᄂᆡ 다오신다 어즈버 武夷 想像ᄒᆞ고 學朱子ᄅᆞᆯ ᄒᆞ리라 [1] |
고산 아홉 굽이의 경관을 사람들이 모르더니 띠풀을 베고 집터를 마련하여 살아가니 벗님들이 모두 오신다. 아! 무이산[2]을 상상하면서 주자의 학문을 배우리라. |
一曲은 어드메고 冠巖의 ᄒᆞㅣ 비쵠다 平蕪의 ᄂᆡ 거드니 遠近이 그림일다 松間늬 綠樽을 노코 벗 오ᄂᆞᆫ 양 보리로다 [3] |
일곡은 어디인가? 바위 머리 위에 해가 비치는구나 잡초가 우거진 들판에 안개가 걷히니 원근의 풍경이 그림이로다. 소나무 숲 사이로 술통을 놓고 벗들이 찾아오는 모습을 바라보노라. |
二曲은 어드메고 花巖에 春晩커다 碧波에 곳츨 ㅂ듸워 야외로 보내노라 사람이 勝地를 몰온이 알게 한들 엇더리 [4] |
이곡은 어디인가? 화암(꽃바위)에 봄이 저물었도다. 푸른 물결 위에 꽃을 띄워 들판으로 보내노라. 사람들이 경치가 아름다운 곳을 모르니 알게 하면 어떻겠는가?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
- ↑ 무이산(武夷山): 주희의 「무이구곡담」의 배경이 되는 산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3쪽. 외부해독자료의 관점에 따라 일부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