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손단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원문과 해석문)
(장원석DH (토론)의 78832판 편집을 되돌림)
10번째 줄: 10번째 줄:
 
月父使損驅車 體寒失靷 父察知之 欲遣<ref>遣 : (10) 古時指丈夫休棄妻子 [cast off one's wife and send her home]。如:遣行(謂妻子被丈夫休棄離去)</ref>後妻 損啓父曰 母在一子寒 母去三子單 父善其言而止 母
 
月父使損驅車 體寒失靷 父察知之 欲遣<ref>遣 : (10) 古時指丈夫休棄妻子 [cast off one's wife and send her home]。如:遣行(謂妻子被丈夫休棄離去)</ref>後妻 損啓父曰 母在一子寒 母去三子單 父善其言而止 母
 
亦感悔 遂成慈母</span>
 
亦感悔 遂成慈母</span>
|원문2=
+
 
|원문3=민손의  건이니 공 뎨라  
+
 
|원문4=일즉 어미 죽고 아비 후쳐 취여 두 아을 나흐니  
+
 
|원문5=손의 계뫼 손을 믜워여 나흔 아으란 오 소음 두어 닙히고  
+
|원문2=민손의  건이니 공 뎨라  
|원문6=손으란 품<ref>갈품 : 꽃이 채 피지 아니한 갈대의 이삭</ref>을 두여 닙히더니  
+
|원문3=일즉 어미 죽고 아비 후쳐 취여 두 아을 나흐니  
|원문7=겨에 그 아비 손으로 여곰 술워 몰 치워 혁<ref>말혁 : 말안장 양쪽에 장식으로 늘어뜨린 고삐</ref>을 노하린  
+
|원문4=손의 계뫼 손을 믜워여 나흔 아으란 오 소음 두어 닙히고  
|원문8=아버지가 펴알고 후쳐 내티고져 거 손이 와 갈오  
+
|원문5=손으란 품<ref>갈품 : 꽃이 채 피지 아니한 갈대의 이삭</ref>을 두여 닙히더니  
|원문9=어미 이시면  아니 칩고 어미 업사면 세 아이 치우리리다 
+
|원문6=겨에 그 아비 손으로 여곰 술워 몰 치워 혁<ref>말혁 : 말안장 양쪽에 장식으로 늘어뜨린 고삐</ref>을 노하린  
|원문10=그 아비 손의 말을 어딜이 너겨 아니 티니  
+
|원문7=아버지가 펴알고 후쳐 내티고져 거 손이 와 갈오  
|원문11=어미  늣기고 뉘웃쳐 드듸여  어미 되니라
+
|원문8=어미 이시면  아니 칩고 어미 업사면 세 아이 치우리리다 
 +
|원문9=그 아비 손의 말을 어딜이 너겨 아니 티니  
 +
|원문10=어미  늣기고 뉘웃쳐 드듸여  어미 되니라
  
 
|해석문1=
 
|해석문1=
|해석문2=
+
|해석문2=민손의 자는 자건이니 공자의 제자이다.  
|해석문3=민손의 자는 자건이니 공자의 제자이다.  
+
|해석문3=일찍 어머니가 죽고 아버지가 후처를 취하여 두 아들을 낳으니,  
|해석문4=일찍 어머니가 죽고 아버지가 후처를 취하여 두 아들을 낳으니,  
+
|해석문4=손의 계모가 손을 미워하여 낳은 아들에게는 옷에 솜을 두어 입히고  
|해석문5=손의 계모가 손을 미워하여 낳은 아들에게는 옷에 솜을 두어 입히고  
+
|해석문5=손에게는 갈품을 두어 입히더니,  
|해석문6=손에게는 갈품을 두어 입히더니,  
+
|해석문6=겨울에 그 아버지가 손으로 하여금 수레를 몰게 할 때에 추워서 말고삐를 놓아 버리자  
|해석문7=겨울에 그 아버지가 손으로 하여금 수레를 몰게 할 때에 추워서 말고삐를 놓아 버리자  
+
|해석문7=아버지가 살펴 알고 후처를 내치고자 하거늘 손이 아뢰어 말하기를  
|해석문8=아버지가 살펴 알고 후처를 내치고자 하거늘 손이 아뢰어 말하기를  
 
 
|해석문8=“어머니가 있으면 한 아들이 춥고 어머니가 없으면 세 아들이 추울 것입니다.” 한데,  
 
|해석문8=“어머니가 있으면 한 아들이 춥고 어머니가 없으면 세 아들이 추울 것입니다.” 한데,  
|해석문10=그 아버지가 손의 말을 어질게 여겨 아니 내치니,  
+
|해석문9=그 아버지가 손의 말을 어질게 여겨 아니 내치니,  
|해석문11=어머니 또한 느끼고 뉘우쳐서 드디어 자애한 어머니가 되었다.
+
|해석문10=어머니 또한 느끼고 뉘우쳐서 드디어 자애한 어머니가 되었다.
 
}}
 
}}
  

2017년 10월 9일 (월) 18:06 판

Pici.png

본 기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6년에 개최한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2016.6.29~12.31)'의 도록 및 2016~2017년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중 민손단의 관련 '발표내용'을 참고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한글팀 행실도십곡병풍 02 자로부미.jpg

원문과 해석문

원문 해석문
閔損單衣 列國 魯

閔損字子騫 孔子弟子 早喪母 父娶後妻 生二子 損之繼母嫉損 所生子衣棉絮[1] 衣損以蘆花絮[2] 冬其 月父使損驅車 體寒失靷 父察知之 欲遣[3]後妻 損啓父曰 母在一子寒 母去三子單 父善其言而止 母

亦感悔 遂成慈母
민손의  건이니 공 뎨라 민손의 자는 자건이니 공자의 제자이다.
일즉 어미 죽고 아비 후쳐 취여 두 아을 나흐니 일찍 어머니가 죽고 아버지가 후처를 취하여 두 아들을 낳으니,
손의 계뫼 손을 믜워여 나흔 아으란 오 소음 두어 닙히고 손의 계모가 손을 미워하여 낳은 아들에게는 옷에 솜을 두어 입히고
손으란 품[4]을 두여 닙히더니 손에게는 갈품을 두어 입히더니,
겨에 그 아비 손으로 여곰 술워 몰 치워 혁[5]을 노하린 겨울에 그 아버지가 손으로 하여금 수레를 몰게 할 때에 추워서 말고삐를 놓아 버리자
아버지가 펴알고 후쳐 내티고져 거 손이 와 갈오 아버지가 살펴 알고 후처를 내치고자 하거늘 손이 아뢰어 말하기를
어미 이시면  아니 칩고 어미 업사면 세 아이 치우리리다  “어머니가 있으면 한 아들이 춥고 어머니가 없으면 세 아들이 추울 것입니다.” 한데,
그 아비 손의 말을 어딜이 너겨 아니 티니 그 아버지가 손의 말을 어질게 여겨 아니 내치니,
어미  늣기고 뉘웃쳐 드듸여  어미 되니라 어머니 또한 느끼고 뉘우쳐서 드디어 자애한 어머니가 되었다.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

  1. 棉絮 : 면서. (옷이나 이불 등에 메우는) 목화솜
  2. 蘆花絮 : 노화서. 갈대 꽃씨의 하얀 솜털
  3. 遣 : (10) 古時指丈夫休棄妻子 [cast off one's wife and send her home]。如:遣行(謂妻子被丈夫休棄離去)
  4. 갈품 : 꽃이 채 피지 아니한 갈대의 이삭
  5. 말혁 : 말안장 양쪽에 장식으로 늘어뜨린 고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