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승려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영문명칭= |한자= |생년= |몰년= |시호= |호= |휘= |법명= |법호= |탑호= |자= |이칭= |성씨= |본관= |속...)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승려정보 | {{승려정보 | ||
− | |사진= | + | |사진=BHST Puyuan.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373473&cid=51397&categoryId=51397 보원]",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보원 |
− | |영문명칭= | + | |영문명칭=Puyuan |
− | |한자= | + | |한자=普願 |
− | |생년= | + | |생년=748년 |
− | |몰년= | + | |몰년=834년 |
|시호= | |시호= | ||
|호= | |호=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자= | |자= | ||
|이칭= | |이칭= | ||
− | |성씨= | + | |성씨=왕씨(王氏) |
|본관= | |본관= | ||
|속명= | |속명= | ||
− | |출신지= | + | |출신지=하남성(河南省) 정주(鄭州) |
|승탑= | |승탑= | ||
|승탑비= | |승탑비=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당나라 때의 승려. | ||
=='''내용'''== | =='''내용'''== | ||
+ | ===개요=== | ||
+ | 10세에 출가하고, 30세에 숭산(嵩山) 회선사(會善寺)에서 [[구족계|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도일(중국)|마조 도일(馬祖道一, 709-788)]]에게 사사(師事)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으며, 안휘성(安徽省) 지양(池陽) 남전산(南泉山)에 30여 년 동안 머물면서 선풍(禪風)을 크게 일으켰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9709&cid=50763&categoryId=50784 보원]",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보원과 관련한 유명한 화두로는 '남전참묘(南泉斬猫)'가 있다. 어느 날 동서양당(東西兩堂)의 스님들이 고양이를 가지고 싸웠는데, 보원이 이를 듣더니 "도를 들었으면 고양이를 살려주고, 아니라면 고양이 목을 베어버리겠다."고 말했다. 아무도 대답하지 못하자 고양이 목을 베어 학도들의 망상을 끊어버렸다.<ref>한보광, 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88383&cid=42980&categoryId=42980 보원]",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제자 도윤=== | ||
+ | 신라시대의 승려인 [[도윤|철감선사 도윤(澈鑒禪師 道允)]]은 825년 당나라로 구법의 길에 올라 보원을 찾아갔다. 보원은 첫눈에 [[도윤]]이 법기(法器)<ref>부처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수행할 수 있는 소질이나 근성이 있는 사람.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9430&cid=50292&categoryId=50292 법기]",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임을 알고 그에게 심인을 전한 뒤 그의 법인(法印)이 신라로 간다고 탄식하였다고 한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802 도윤]",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34번째 줄: | 42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도일(중국)]] || [[보원]]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보원]] || [[도윤]]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도윤]] || [[절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
− | |||
− | |||
===갤러리=== | ===갤러리=== | ||
− | |||
=='''주석'''== | =='''주석'''== | ||
48번째 줄: | 5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정영식, 『조당집 읽기』, 도서출판 운주사, 2016, 272-274쪽. | |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9709&cid=50763&categoryId=50784 보원]",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한보광, 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88383&cid=42980&categoryId=42980 보원]",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 [[분류:인물]] | ||
+ | [[분류:승려]] | ||
+ | [[분류:승탑/검토요청]] |
2017년 10월 8일 (일) 21:22 판
보원(普願) | |
대표명칭 | 보원 |
---|---|
영문명칭 | Puyuan |
한자 | 普願 |
생몰년 | 748년-834년 |
성씨 | 왕씨(王氏) |
출신지 | 하남성(河南省) 정주(鄭州) |
정의
당나라 때의 승려.
내용
개요
10세에 출가하고, 30세에 숭산(嵩山) 회선사(會善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마조 도일(馬祖道一, 709-788)에게 사사(師事)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으며, 안휘성(安徽省) 지양(池陽) 남전산(南泉山)에 30여 년 동안 머물면서 선풍(禪風)을 크게 일으켰다.[1]
보원과 관련한 유명한 화두로는 '남전참묘(南泉斬猫)'가 있다. 어느 날 동서양당(東西兩堂)의 스님들이 고양이를 가지고 싸웠는데, 보원이 이를 듣더니 "도를 들었으면 고양이를 살려주고, 아니라면 고양이 목을 베어버리겠다."고 말했다. 아무도 대답하지 못하자 고양이 목을 베어 학도들의 망상을 끊어버렸다.[2]
제자 도윤
신라시대의 승려인 철감선사 도윤(澈鑒禪師 道允)은 825년 당나라로 구법의 길에 올라 보원을 찾아갔다. 보원은 첫눈에 도윤이 법기(法器)[3]임을 알고 그에게 심인을 전한 뒤 그의 법인(法印)이 신라로 간다고 탄식하였다고 한다.[4]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도일(중국) | 보원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보원 | 도윤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도윤 | 절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보원",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한보광, 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보원",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부처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수행할 수 있는 소질이나 근성이 있는 사람.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법기",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위석, "도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