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 [[신미]] || [[평창 상원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신미]] || [[평창 상원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 |- | ||
− | | [[신미]] || [보은 법주사 복천암]]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 [[신미]] || [[보은 법주사 복천암]]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 | ||
| [[신미]] || [[조선 세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신미]] || [[조선 세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2017년 10월 7일 (토) 18:40 판
신미(信眉) | |
대표명칭 | 신미 |
---|---|
한자 | 信眉 |
생몰년 | ?-? |
이칭 | 혜각존자(慧覺尊者) |
성씨 | 김씨(金氏) |
본관 | 영동(永同) |
속명 | 김수성(金守省) |
정의
조선 전기의 승려.
내용
신미(信眉)의 아버지는 김훈(金訓)이며, 동생은 유생이면서도 숭불을 주장했던 김수온(金守溫)이다. 법주사(法住寺)에 출가하여 사미(沙彌) 시절에 수미(守眉)와 함께 대장경을 읽고 율을 익혔다.[1]
세종 말년에 왕을 도와 불사를 중흥시켰으며, 문종 대에는 선교도총섭(禪敎都摠攝)에 임명되었다. 세조는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그를 경애하였고,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불교의 중흥을 주관하게 하였으며, 신미는 왕사(王師)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2]
1458년(세조 4)에 해인사의 대장경을 50부 인쇄할 때 이를 감독하였고, 1461년 왕명에 의해 간경도감(刊經都監)이 설치되자 불전(佛典)의 번역과 간행을 주관하였다.[3] 1464년 2월 세조가 속리산 복천사로 행차하였을 때 그곳에서 사지(斯智)·학열(學悅)·학조(學祖) 등과 함께 대설법회(大說法會)를 열었다. 또한 같은 해에 상원사(上院寺)로 옮겨 왕에게 상원사의 중창을 건의하였고, 이에 왕은 「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五臺山上院寺重創勸善文)」을 지어 이를 시행하도록 하였다. 특히 세조는 혜각존자(慧覺尊者)라는 호를 내리고 존경하였다.[4]
속리산 복천암(福泉庵),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월출산 도갑사(道岬寺) 등에 머물렀으며,[5] 복천암에는 부도(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가 남아있다.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미 | 김수온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신미 | 수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신미 | 보은 법주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
신미 | 영암 도갑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신미 | 평창 상원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신미 | 보은 법주사 복천암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신미 | 조선 세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월인석보 | 신미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신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각주
- ↑ 김위석, "신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신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신미",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위석, "신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신미",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김위석, "신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신미",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