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림서계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 | [[덕수궁 태극전]](당시 경운궁)에서 [[고종]]이 [[백관]]들로부터 황제등극을 위해 [[환구단]]에서 천지에 제사지내기 전에 부정할 일을 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받는 의식이다.<ref>국립고궁박물원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0, 269쪽.</ref> |
=='''내용'''== | =='''내용'''==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 | + | | 37.565797|| 126.975133 || [[덕수궁]]은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세종대로 99에 위치한다 |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2017년 10월 7일 (토) 14:21 판
친림서계의 (親臨誓戒儀) |
|
대표명칭 | 친림서계의 |
---|---|
한자표기 | 親臨誓戒儀 |
유형 | 의례 |
관련개념 | 가례, 등극례 |
목차
정의
덕수궁 태극전(당시 경운궁)에서 고종이 백관들로부터 황제등극을 위해 환구단에서 천지에 제사지내기 전에 부정할 일을 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받는 의식이다.[1]
내용
경운궁 태극전 중앙 북쪽 가까이 남향하여 왕의 자리를 설치하고, 배향하는 종친과 백관의 자리도 설치한다. 초엄이 울리면 여(輿)와 연(輦)을 진설하고, 종친과 백관 4품 이상은 백관의 조복, 5품 이하는 흑단령을 갖춰 입는다. 이엄이 울리면 고종은 왕의 조복인 원유관과 강사포 차림으로 내전에 나온다. 삼엄이 울리면, 종친과 백관이 자리에 나아가고, 고종이 여(輿)를 타고 나간다. 고종이 자리에 이르러 남향하고 서면 종친과 백관은 국궁사배(鞠躬四拜)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독서문관(讀誓文官, 내무대신)이 맹세하는 글을 읽고, 종친과 백관은 국궁사배(鞠躬四拜)하면 의식이 끝난다.[2] 이때 고종은 황제로 등극하기 전이기 때문에 9장문이 있는 면복을 착용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 | 친림서계의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조선 고종 | 친림서계의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백관 | 친림서계의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종친 | 친림서계의 | A는 B를 참여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등극례 | 친림서계의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왕 | 왕의 대례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4품 이상 백관 | 백관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5품 이하 백관 | 흑단령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97년 10월 9일 | 고종이 친림서계의를 거행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65797 | 126.975133 | 덕수궁은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세종대로 99에 위치한다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원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0, 269쪽.
- ↑ 『고종대례의궤』 「儀註帙」 ‘親臨誓戒儀’
- ↑ 국립고궁박물원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0, 269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대한예전(大韓禮典)』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국립고궁박물원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0.
- 김문식, 「高宗의 皇帝 登極儀에 나타난 상징적 함의」, 『조선시대사학보』 37, 조선시대사학회, 2006.
- 김문식, 「장지연이 편찬한 『대한예전』」, 『문헌과 해석』 35, 문헌과 해석사, 2006.
- 김용숙,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2000.
-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이민원, 『한국의 황제』, 대원사, 2001.
- 이욱, 「대한제국기 환구제(圜丘祭)에 관한 연구」, 『종교연구』 30, 한국종교학회, 2003.
- 임민혁, 「대한제국기 大韓禮典의 편찬과 황제국 의례」, 『역사와 실학』 제34집, 역사실학회, 2007.
- 전통예술원 음악사료강독회, 『(국역) 高宗大禮儀軌』, 민속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