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몽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이몽유 |한자표기=李夢游 |영문명칭= |본관= |이칭= |시호=정헌(貞憲) |호= |자= |생년=? |몰년=? |출생...)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983년(성종 2) 좌집정(左執政)으로 최승로(崔承老) | + | 983년([[고려 성종|성종]] 2) 좌집정(左執政)으로 [[최승로|최승로(崔承老)]] 등과 더불어 과거(科擧)의 지공거(知貢擧)<ref>고려시대의 과거 시험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4000&cid=40942&categoryId=31675 지공거]",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로 활동했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 987년 왕명으로 국가의 공문서식(公文書式)과 주장(奏狀)의 서식(書式)을 상정(詳定)하였다.<ref>이지관,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462쪽, 주4.</ref> |
===비문의 찬자=== | ===비문의 찬자===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이희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260 이몽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희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260 이몽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이지관,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440-513쪽.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인물]] | [[분류:인물]] | ||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승탑/검토요청]] |
2017년 10월 5일 (목) 23:50 판
이몽유(李夢游) | |
대표명칭 | 이몽유 |
---|---|
한자표기 | 李夢游 |
생몰년 | ?-? |
시호 | 정헌(貞憲) |
정의
고려 중기의 문신.
내용
983년(성종 2) 좌집정(左執政)으로 최승로(崔承老) 등과 더불어 과거(科擧)의 지공거(知貢擧)[1]로 활동했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 987년 왕명으로 국가의 공문서식(公文書式)과 주장(奏狀)의 서식(書式)을 상정(詳定)하였다.[2]
비문의 찬자
이몽유가 지은 비문으로는,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碑)가 있다.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이몽유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주석
- ↑ 고려시대의 과거 시험관. "지공거",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지관,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462쪽, 주4.
참고문헌
- 이희덕, "이몽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지관,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440-51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