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사진=한글팀_조선_선조_01_조선_선조_목릉.jpg | |사진=한글팀_조선_선조_01_조선_선조_목릉.jpg | ||
− | |사진출처=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사진출처=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표명칭=[[조선 선조]] | |대표명칭=[[조선 선조]] | ||
|한자표기=朝鮮 宣祖 | |한자표기=朝鮮 宣祖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조선 선조]]의 가계와 즉위과정=== | ||
+ | 재위기간은 1567-1608년이며,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균(鈞), 뒤에 연(昖)으로 개명하였다. 1552년 11월 11일 한성(漢城) 인달방(仁達坊)에서 출생하였다. [[조선 중종]]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 이초|덕흥대원군 초(德興大院君 岧)]]의 셋째아들이고, 어머니는 증영의정(贈領議政) [[정세호|정세호(鄭世虎)]]의 딸인 [[하동부대부인 정씨|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이다. 비는 [[박응순|박응순(朴應順)]]의 딸 [[의인왕후|의인왕후(懿仁王后)]]이며, 계비는 [[김제남|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후|인목왕후(仁穆王后)]]이다. [[조선 명종]]의 사랑을 받았으며 성장하자 하성군(河城君)에 봉해졌고, 1567년 [[조선 명종]]이 후사없이 죽자 즉위하였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
+ | ===[[조선 선조|선조]]의 즉위 전반기 활동 === | ||
+ | 즉위 초년에 오로지 학문에 정진하여 매일 강연(講筵)에 나가 경사(經史)를 토론하였다. [[훈구세력|훈구세력(勳舊勢力)]]을 물리치고 [[사림|사림(士林)]]들을 대거 등용하였다. 명유(名儒) [[이황|이황(李滉)]]과 [[이이|이이(李珥)]] 등을 극진한 예우로 대하여 침체된 정국에 활기를 불러일으키고자 힘을 다하였다. 그 밖에 [[기묘사화]] 때 화를 당한 [[조광조|조광조(趙光祖)]]에게 증직(贈職)하는 등 억울하게 화를 입은 사림들을 신원(伸寃)하고 그들에게 해를 입힌 [[남곤|남곤(南袞)]] 등의 관작을 추탈하여 민심을 수습하기도 하였다. 또한 [[을사사화]]를 일으켜 [[윤임|윤임(尹任)]]·[[유관|유관(柳灌)]] 등을 죽이고 녹훈(錄勳)의 영전(榮典)까지 받았던 [[이기|이기(李芑)]]·[[윤원형|윤원형(尹元衡)]] 등을 삭훈(削勳)하였다. 명나라 『[[대명회전|대명회전(大明會典)]]』 등 중국 역사에 [[조선 태조|이성계(李成桂)]]가 고려의 권신(權臣) [[이인임|이인임(李仁任)]]의 후예라는 그릇된 사실이([[종계변무]]) [[조선 선조|선조]] 대까지 200년간이나 전해 내려온 것을 [[윤근수|윤근수(尹根壽)]] 등을 사신으로 보내어 시정하도록 하였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
+ | ===당쟁이 일어나고 정치가 혼란해지다=== | ||
+ | [[조선 선조|선조]] 대에 들어와 정국을 주도하던 사림들은 1575년(선조 8)에 이르러 [[김효원|김효원(金孝元)]]·[[심의겸|심의겸(沈義謙)]]을 각각 중심 인물로 하는 당쟁을 벌여 [[동인|동인(東人)]]·[[서인|서인(西人)]]으로 분당되었으며, 정론(政論)이 둘로 갈라져 조정이 시끄러워졌다. [[이이]]의 양파 조정에도 별로 효과를 보지 못하다가 1581년 세자책봉 문제로 집권한 [[동인]]도 [[서인]]에 대한 논죄 문제로 남북으로 다시 분열되었다. 이로써 정계는 당쟁에 휘말렸으며 국력은 더욱 쇠약해졌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
+ | ===[[임진왜란]] 시기 [[조선 선조]]의 활동=== | ||
+ | ====[[임진왜란]] 전반기 [[조선 선조]]의 활동==== | ||
+ | 1590년 일본의 동태가 수상하여 통신사 [[황윤길|황윤길(黃允吉)]], 부사 [[김성일|김성일(金誠一)]] 등을 일본에 파견해 그 곳 동향을 살펴오게 하였다. 그러나 다음 해 돌아온 두 사람은 서로 상반된 보고를 하였다. 이에 국방 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못하고 있던 중, 1592년 4월에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부산진을 필두로 각 고을이 무너지고 왜군이 침략한 지 보름 만에 서울도 위급하게 되자 수성(守城) 계획을 포기하고 개성으로 물러갔다가, 의주로 피난하는 한편, 고급사(告急使)를 명나라에 보내 원병을 요청하였다. 이와 아울러 세자 [[광해군|광해군(光海君)]]에게 분조(分朝)를 설치하게 하여 의병과 군량 확보에 열중하도록 하였다. 각처에서 의병이 봉기해 적의 후방을 위협했고 무기력했던 관군도 전력을 가다듬어 각처에서 승첩(勝捷)을 거두었다. 바다에서는 [[이순신|이순신(李舜臣)]] 등 우리 수군이 제해권(制海權)을 완전 장악했고, 명나라 원군이 와서 우리 관군과 함께 빼앗겼던 평양성을 수복하였다.1593년 4월에 강화를 조건으로 한성에서 철수하여 남으로 퇴각하자, 이 해 10월 왕이 환도하였다. 다음 해 훈련도감을 설치, 군사 훈련을 강화시키고 투항해 온 왜군에게 조총(鳥銃) 쏘는 방법과 탄환 만드는 기술을 관군에게 가르치도록 하였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
+ | ====[[임진왜란]]시기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안정시키려 하다==== | ||
+ | [[임진왜란]] 초기에는 왜군을 격퇴하는 것이 급선무였으므로 군공사목(軍功事目)을 규정하여 군공을 세운 자는 신분에 따라 응분의 논공(論功)을 시행하는 등 비상책을 강구하였다. 그런데 전쟁이 장기화되고 명나라 원군이 오랜 기간 머물게 되어 군량미 조달이 심각한 국면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납속(納粟)을 한 자에게도 납속사목(納粟事目)에 규정한 논공을 설시하도록 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굶어 죽는 사람이 속출하고 심지어 사람끼리 서로 잡아먹는 일까지 있어 백성들의 생활이 극도로 궁핍하게 되었다. 이에 매일 왕에게 공급되는 쌀의 양을 줄여서 굶주리는 사람을 진휼하는 데 보태도록 하였다. <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
+ | ====[[정유재란]] 발발과 [[조선 선조]]의 활동==== | ||
+ | 1597년 명나라와 일본간에 진행되던 강화 회담이 깨지고 재차 왜군이 침입하자(丁酉再亂), 다시 명나라에 원병을 청하는 한편, 관군의 정비를 촉구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3궁(三宮)이 소진되고 귀중한 전적(典籍)을 보관한 춘추관(春秋館)이 불타 귀중 도서가 소실된 것을 애석해 하여 각처에 흩어져 있는 서적들을 거두어 모아 운각(芸閣 : 校書館)에 보관하도록 하였다. [[정유재란]] 때, 우리 수군 함대가 부산에 총집결하자 이를 염려하고 병(兵)은 뜻하지 않은 곳에 나올 수 있는 것이니 부산에만 강한 군사를 집결시킬 것이 아니라 호남 지역도 소홀해서는 안되며 육지에도 험한 곳에 군대를 배치하는 것이 계책임을 역설했다는데 그 추측은 들어맞았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
+ | ===전쟁 후 전후 복구 사업과 [[조선 선조]]의 마지막 활동=== | ||
+ | 왜란이 끝난 뒤 1604년에 호성(扈聖)·선무(宣武)·청난(淸難) 등의 공신을 녹훈하여 전쟁의 마무리를 짓고 전후 복구 사업에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흉년이 거듭되고 [[동인]]·[[서인]]의 당쟁은 더욱 격심해져서 커다란 시련을 받았다. 더욱이 죽기 직전에 측근을 불러 적자 [[영창대군]]을 보필해달라고 유언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광해군]]의 즉위와 함께 [[영창대군]]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만 가져왔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
+ | <!-- | ||
===[[조선 선조]]의 가계와 즉위과정=== | ===[[조선 선조]]의 가계와 즉위과정=== | ||
재위기간은 1567-1608년이며,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균(鈞), 뒤에 연(昖)으로 개명하였다. 1552년 11월 11일 한성(漢城) 인달방(仁達坊)에서 출생하였다. [[조선 중종]]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 이초|덕흥대원군 초(德興大院君 岧)]]의 셋째아들이고, 어머니는 증영의정(贈領議政) [[정세호|정세호(鄭世虎)]]의 딸인 [[하동부대부인 정씨|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이다. 비는 [[박응순|박응순(朴應順)]]의 딸 [[의인왕후|의인왕후(懿仁王后)]]이며, 계비는 [[김제남|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후|인목왕후(仁穆王后)]]이다. [[조선 명종]]의 사랑을 받았으며 성장하자 하성군(河城君)에 봉해졌고, 1567년 [[조선 명종]]이 후사없이 죽자 즉위하였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재위기간은 1567-1608년이며,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균(鈞), 뒤에 연(昖)으로 개명하였다. 1552년 11월 11일 한성(漢城) 인달방(仁達坊)에서 출생하였다. [[조선 중종]]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 이초|덕흥대원군 초(德興大院君 岧)]]의 셋째아들이고, 어머니는 증영의정(贈領議政) [[정세호|정세호(鄭世虎)]]의 딸인 [[하동부대부인 정씨|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이다. 비는 [[박응순|박응순(朴應順)]]의 딸 [[의인왕후|의인왕후(懿仁王后)]]이며, 계비는 [[김제남|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후|인목왕후(仁穆王后)]]이다. [[조선 명종]]의 사랑을 받았으며 성장하자 하성군(河城君)에 봉해졌고, 1567년 [[조선 명종]]이 후사없이 죽자 즉위하였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55번째 줄: | 78번째 줄: | ||
===전쟁 후 전후 복구 사업과 [[조선 선조]]의 마지막 활동=== | ===전쟁 후 전후 복구 사업과 [[조선 선조]]의 마지막 활동=== | ||
왜란이 끝난 뒤 1604년에 호성(扈聖)·선무(宣武)·청난(淸難) 등의 공신을 녹훈하여 전쟁의 마무리를 짓고 전후 복구 사업에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흉년이 거듭되고 [[동인]]·[[서인]]의 당쟁은 더욱 격심해져서 커다란 시련을 받았다. 더욱이 죽기 직전에 측근을 불러 적자 [[영창대군]]을 보필해달라고 유언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광해군]]의 즉위와 함께 [[영창대군]]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만 가져왔다. 두 대비 모시기를 친어머니 섬기듯 효도가 지극하였다. 성품이 본디 검소하여 화려한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성색(聲色)이나 오락에 괘념하지 않았고, 음식과 의복도 절제하여 비빈이나 궁인들이 감히 사치하지 못하였다. 항상 절용(節用)하고 농민들의 노고를 생각해 한 톨의 낟알을 땅에 떨어뜨리는 것도 용납하지 않았다. 서화에도 뛰어났다. 이를 안 명나라 [[이여송|이여송(李如松)]]이 [[조선 선조|선조]]의 어필(御筆)을 청했으나 거절하였다. 시호는 소경정륜입극성덕홍렬지성대의격전희운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이고, 묘호는 선조(宣祖)이며, 능호는 [[목릉|목릉(穆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왜란이 끝난 뒤 1604년에 호성(扈聖)·선무(宣武)·청난(淸難) 등의 공신을 녹훈하여 전쟁의 마무리를 짓고 전후 복구 사업에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흉년이 거듭되고 [[동인]]·[[서인]]의 당쟁은 더욱 격심해져서 커다란 시련을 받았다. 더욱이 죽기 직전에 측근을 불러 적자 [[영창대군]]을 보필해달라고 유언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광해군]]의 즉위와 함께 [[영창대군]]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만 가져왔다. 두 대비 모시기를 친어머니 섬기듯 효도가 지극하였다. 성품이 본디 검소하여 화려한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성색(聲色)이나 오락에 괘념하지 않았고, 음식과 의복도 절제하여 비빈이나 궁인들이 감히 사치하지 못하였다. 항상 절용(節用)하고 농민들의 노고를 생각해 한 톨의 낟알을 땅에 떨어뜨리는 것도 용납하지 않았다. 서화에도 뛰어났다. 이를 안 명나라 [[이여송|이여송(李如松)]]이 [[조선 선조|선조]]의 어필(御筆)을 청했으나 거절하였다. 시호는 소경정륜입극성덕홍렬지성대의격전희운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이고, 묘호는 선조(宣祖)이며, 능호는 [[목릉|목릉(穆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12 선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2017년 10월 5일 (목) 16:21 판
조선 선조(朝鮮 宣祖) | |
대표명칭 | 조선 선조 |
---|---|
한자표기 | 朝鮮 宣祖 |
생몰년 | 1552년-1608년 |
본관 | 전주 이씨 |
이칭 | 이연(李昖) |
시호 | 소경정륜입극성덕홍렬지성대의격전희운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 |
출생지 | 한성 인달방 |
사망지 | 한성부 정릉동 행궁 정침 |
시대 | 조선 |
국적 | 조선 |
배우자 | 의인왕후 박씨 인목왕후 김씨 |
부 | 덕흥대원군 |
모 | 하동부대부인 정씨 |
자녀 | 광해군 임해군 영창대군 |
전임자 | 조선 명종 |
후임자 | 광해군 |
능묘 | 목릉 |
성격 | 왕 |
유형 | 인물 |
목차
정의
1552년(명종 7)∼1608년(선조 41). 조선 제14대 왕.
내용
조선 선조의 가계와 즉위과정
재위기간은 1567-1608년이며,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균(鈞), 뒤에 연(昖)으로 개명하였다. 1552년 11월 11일 한성(漢城) 인달방(仁達坊)에서 출생하였다. 조선 중종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 초(德興大院君 岧)의 셋째아들이고, 어머니는 증영의정(贈領議政) 정세호(鄭世虎)의 딸인 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이다. 비는 박응순(朴應順)의 딸 의인왕후(懿仁王后)이며, 계비는 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후(仁穆王后)이다. 조선 명종의 사랑을 받았으며 성장하자 하성군(河城君)에 봉해졌고, 1567년 조선 명종이 후사없이 죽자 즉위하였다.[1]
선조의 즉위 전반기 활동
즉위 초년에 오로지 학문에 정진하여 매일 강연(講筵)에 나가 경사(經史)를 토론하였다. 훈구세력(勳舊勢力)을 물리치고 사림(士林)들을 대거 등용하였다. 명유(名儒) 이황(李滉)과 이이(李珥) 등을 극진한 예우로 대하여 침체된 정국에 활기를 불러일으키고자 힘을 다하였다. 그 밖에 기묘사화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에게 증직(贈職)하는 등 억울하게 화를 입은 사림들을 신원(伸寃)하고 그들에게 해를 입힌 남곤(南袞) 등의 관작을 추탈하여 민심을 수습하기도 하였다. 또한 을사사화를 일으켜 윤임(尹任)·유관(柳灌) 등을 죽이고 녹훈(錄勳)의 영전(榮典)까지 받았던 이기(李芑)·윤원형(尹元衡) 등을 삭훈(削勳)하였다. 명나라 『대명회전(大明會典)』 등 중국 역사에 이성계(李成桂)가 고려의 권신(權臣) 이인임(李仁任)의 후예라는 그릇된 사실이(종계변무) 선조 대까지 200년간이나 전해 내려온 것을 윤근수(尹根壽) 등을 사신으로 보내어 시정하도록 하였다.[2]
당쟁이 일어나고 정치가 혼란해지다
선조 대에 들어와 정국을 주도하던 사림들은 1575년(선조 8)에 이르러 김효원(金孝元)·심의겸(沈義謙)을 각각 중심 인물로 하는 당쟁을 벌여 동인(東人)·서인(西人)으로 분당되었으며, 정론(政論)이 둘로 갈라져 조정이 시끄러워졌다. 이이의 양파 조정에도 별로 효과를 보지 못하다가 1581년 세자책봉 문제로 집권한 동인도 서인에 대한 논죄 문제로 남북으로 다시 분열되었다. 이로써 정계는 당쟁에 휘말렸으며 국력은 더욱 쇠약해졌다.[3]
임진왜란 시기 조선 선조의 활동
임진왜란 전반기 조선 선조의 활동
1590년 일본의 동태가 수상하여 통신사 황윤길(黃允吉), 부사 김성일(金誠一) 등을 일본에 파견해 그 곳 동향을 살펴오게 하였다. 그러나 다음 해 돌아온 두 사람은 서로 상반된 보고를 하였다. 이에 국방 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못하고 있던 중, 1592년 4월에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부산진을 필두로 각 고을이 무너지고 왜군이 침략한 지 보름 만에 서울도 위급하게 되자 수성(守城) 계획을 포기하고 개성으로 물러갔다가, 의주로 피난하는 한편, 고급사(告急使)를 명나라에 보내 원병을 요청하였다. 이와 아울러 세자 광해군(光海君)에게 분조(分朝)를 설치하게 하여 의병과 군량 확보에 열중하도록 하였다. 각처에서 의병이 봉기해 적의 후방을 위협했고 무기력했던 관군도 전력을 가다듬어 각처에서 승첩(勝捷)을 거두었다. 바다에서는 이순신(李舜臣) 등 우리 수군이 제해권(制海權)을 완전 장악했고, 명나라 원군이 와서 우리 관군과 함께 빼앗겼던 평양성을 수복하였다.1593년 4월에 강화를 조건으로 한성에서 철수하여 남으로 퇴각하자, 이 해 10월 왕이 환도하였다. 다음 해 훈련도감을 설치, 군사 훈련을 강화시키고 투항해 온 왜군에게 조총(鳥銃) 쏘는 방법과 탄환 만드는 기술을 관군에게 가르치도록 하였다.[4]
임진왜란시기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안정시키려 하다
임진왜란 초기에는 왜군을 격퇴하는 것이 급선무였으므로 군공사목(軍功事目)을 규정하여 군공을 세운 자는 신분에 따라 응분의 논공(論功)을 시행하는 등 비상책을 강구하였다. 그런데 전쟁이 장기화되고 명나라 원군이 오랜 기간 머물게 되어 군량미 조달이 심각한 국면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납속(納粟)을 한 자에게도 납속사목(納粟事目)에 규정한 논공을 설시하도록 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굶어 죽는 사람이 속출하고 심지어 사람끼리 서로 잡아먹는 일까지 있어 백성들의 생활이 극도로 궁핍하게 되었다. 이에 매일 왕에게 공급되는 쌀의 양을 줄여서 굶주리는 사람을 진휼하는 데 보태도록 하였다. [5]
정유재란 발발과 조선 선조의 활동
1597년 명나라와 일본간에 진행되던 강화 회담이 깨지고 재차 왜군이 침입하자(丁酉再亂), 다시 명나라에 원병을 청하는 한편, 관군의 정비를 촉구하였다. 임진왜란 중에 3궁(三宮)이 소진되고 귀중한 전적(典籍)을 보관한 춘추관(春秋館)이 불타 귀중 도서가 소실된 것을 애석해 하여 각처에 흩어져 있는 서적들을 거두어 모아 운각(芸閣 : 校書館)에 보관하도록 하였다. 정유재란 때, 우리 수군 함대가 부산에 총집결하자 이를 염려하고 병(兵)은 뜻하지 않은 곳에 나올 수 있는 것이니 부산에만 강한 군사를 집결시킬 것이 아니라 호남 지역도 소홀해서는 안되며 육지에도 험한 곳에 군대를 배치하는 것이 계책임을 역설했다는데 그 추측은 들어맞았다.[6]
전쟁 후 전후 복구 사업과 조선 선조의 마지막 활동
왜란이 끝난 뒤 1604년에 호성(扈聖)·선무(宣武)·청난(淸難) 등의 공신을 녹훈하여 전쟁의 마무리를 짓고 전후 복구 사업에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흉년이 거듭되고 동인·서인의 당쟁은 더욱 격심해져서 커다란 시련을 받았다. 더욱이 죽기 직전에 측근을 불러 적자 영창대군을 보필해달라고 유언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광해군의 즉위와 함께 영창대군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만 가져왔다[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 선조 | 초 | A는 B의 아들이다 | A ekc:hasFather B |
하동부대부인 정씨 | 조선 선조 | A는 B의 어머니이다 | A ekc:hasSon B |
의인왕후 | 조선 선조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인목왕후 | 조선 선조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중종 | 초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조선 선조 | 사림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림 | 이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림 | 이이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삼강행실 | 조선 선조 | A는 B에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조선 선조 | 종계변무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선조 | 동인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선조 | 서인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동인 | 김효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서인 | 심의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조선 선조 | 임진왜란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 황윤길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 이순신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 권율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 정유재란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조 국문 유서 | 임진왜란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 이여송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조 국문 유서 | 조선 선조 | A는 B에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임진왜란 | 광해군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선조 | 광해군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조선 선조 | 영창대군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조선 선조 | 목릉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67년 | 조선 선조가 재위에 올랐다 |
1575년 | 당쟁이 일어나 동인과 서인으로 붕당이 일어나다 |
1589년 | 종계변무가 마침내 해결되다 |
1592년 | 임진왜란이 일어나다 |
1597년 | 정유재란이 일어나다 |
1608년 | 조선 선조붕어하여 목릉에 안장되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625657 | 127.133236 | 조선 선조가 여기에 안장되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경철, 「선조대 ‘동서분당’ 전개의 초기 양상」, 『民族文化』, Vol 43, 2014, 259-300쪽.
- 이근호, 「선조의 광해군 양위 과정」, 『한국불교사연구』, Vol 10, 2016, 141-166쪽.
- 윤정, 「17세기 李舜臣 사적 정비와 宣祖대 역사의 재인식」, 『진단학보』, Vol 125, 2015, 61-92쪽.
유용한 정보
- 이장희, "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