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삼 공신도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공신도상의 제작 및 보관)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공신도상의 제작 및 보관=== | ===공신도상의 제작 및 보관=== | ||
<이삼 공신도상>은 1728년 [[분무공신]] 2등에 녹훈된 이삼의 공신화상을 반신상으로 이모한 것으로 1750년에 [[충훈부]]에서 제작한 분무공신화첩에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조현명]]이 지은 기문과 [[이삼]] 장군의 아들인 [[이희일]]이 쓴 발문이 붙어 있다. 기문에 따르면 [[조현명]]이 15명의 [[분무공신|분무공신(奮武功臣)]] 화상을 각자 집에서 보관하고 [[기공각|기공각(紀功閣)]]에는 보관하지 않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공신가에서 보관하고 있던 화상을 공신화상으로 옮겨 그리고 [[조현명]], [[박문수]], [[김중만]], [[이보혁]]의 화상은 새로이 그려 소첩으로 만들었다고 한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52쪽.</ref><br/> | <이삼 공신도상>은 1728년 [[분무공신]] 2등에 녹훈된 이삼의 공신화상을 반신상으로 이모한 것으로 1750년에 [[충훈부]]에서 제작한 분무공신화첩에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조현명]]이 지은 기문과 [[이삼]] 장군의 아들인 [[이희일]]이 쓴 발문이 붙어 있다. 기문에 따르면 [[조현명]]이 15명의 [[분무공신|분무공신(奮武功臣)]] 화상을 각자 집에서 보관하고 [[기공각|기공각(紀功閣)]]에는 보관하지 않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공신가에서 보관하고 있던 화상을 공신화상으로 옮겨 그리고 [[조현명]], [[박문수]], [[김중만]], [[이보혁]]의 화상은 새로이 그려 소첩으로 만들었다고 한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52쪽.</ref><br/> | ||
− | <이삼 공신도상>은 원래 [[이삼]] 장군 집안의 [[백일헌]]에 모셔져 있다가 현재는 논산의 [[백제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반신상의 작은 그림이지만 현재는 전하지 않는 이삼의 공신화상 정본의 모습을 유추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 + | <이삼 공신도상>은 원래 [[이삼]] 장군 집안의 [[논산 백일헌 영당|백일헌]]에 모셔져 있다가 현재는 논산의 [[백제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반신상의 작은 그림이지만 현재는 전하지 않는 이삼의 공신화상 정본의 모습을 유추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
2017년 10월 4일 (수) 02:02 판
이삼 공신도상 | |
한자명칭 | 李森 功臣圖像 |
---|---|
작가 | 미상 |
제작시기 | 1750년 |
소장처 | 백제군사박물관 |
유형 | 공신도상 |
크기(세로×가로) | 62×36㎝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무신인 이삼(1677∼1735)의 모습을 그린 공신도상.
내용
공신도상의 제작 및 보관
<이삼 공신도상>은 1728년 분무공신 2등에 녹훈된 이삼의 공신화상을 반신상으로 이모한 것으로 1750년에 충훈부에서 제작한 분무공신화첩에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조현명이 지은 기문과 이삼 장군의 아들인 이희일이 쓴 발문이 붙어 있다. 기문에 따르면 조현명이 15명의 분무공신(奮武功臣) 화상을 각자 집에서 보관하고 기공각(紀功閣)에는 보관하지 않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공신가에서 보관하고 있던 화상을 공신화상으로 옮겨 그리고 조현명, 박문수, 김중만, 이보혁의 화상은 새로이 그려 소첩으로 만들었다고 한다.[1]
<이삼 공신도상>은 원래 이삼 장군 집안의 백일헌에 모셔져 있다가 현재는 논산의 백제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반신상의 작은 그림이지만 현재는 전하지 않는 이삼의 공신화상 정본의 모습을 유추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이삼 공신도상>은 높은 오사모에 단령을 입고 공수자세를 취한 모습의 반신상으로 흉배는 해치흉배가 그려져 무인임을 알 수 있다. 얼굴은 무인다운 다부진 인상을 보여준다. 이삼은 무인으로 자태는 두 눈이 언제나 빛났으며 , 다소 야윈 서생 같았으나 늠름한 용력은 당시에 따라갈 자가 없는 외유내강의 무인이었다.[2] 그림에서도 강인한 인상이 느껴진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삼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이삼 공신도상 | 이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이삼 공신도상 | 백제군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이삼 공신도상 | 분무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사모 | 이삼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단령 | 이삼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해치흉배 | 이삼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750년 | 이삼 공신도상이 제작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1923720 | 127.1813760 | 이삼 공신도상은 백제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특별전 도록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의 공신』, 장서각, 2012.